바람벽에 등을 기대고 - 어느 혁필화상의 불법체류 호주 인생 이야기
조규태 지음 / 바른북스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저자는 교직에 있다가 이민을 갔고
그곳에선 혁필화를 직업으로 생활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내게 기억속 혁필화는 손에 꼽을 만큼 적은 기억속 공간이지만
그 명칭의 기억부터 드문드문한 그 기억이 잊혀지진 않았으리만큼
허투로 보진 않았음을 이 책을 보며 느꼈다.
책을 읽기 전, 이 저자의 혁필화 작품들을
책을 통해 볼수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기대가 있었는데
책 말미에 그 작품들이 이민생활 등과 함께 실려있어
귀한 저자의 작품들을 감상할 기회를 얻어 행복했다.
그리고 또하나 기대가 현실로 추가된 부분이 있었는데
혁필화란 것이 어떻게 연습하고 그릴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과 도구들에 관한 설명들이 있었음 했는데
그또한 책에 짧게나마 자세히 들어있는 편이라
저자에게 고마워할 또하나의 부분이라 느꼈다.
사실 이 책은 혁필화가로써의 얘기가 주로 그려졌다기 보다는
호주로 이민간 저자의 자서전에 가깝다고 봐야한다.
혁필화에 대한 사랑과 삶과 함께 묻어있는
혁필화와 관련된 여러 일들이 책들에 있지만
결국 한 사람의 기록이자 기억이 책의 주된 바라 하겠다.
그의 나이를 얼추 꼽아보니 80이 넘은 분이시다.
책을 읽다보면 특별한 느낌을 주는 저자들과
어찌됐건 같이 호흡하며 시대를 살고는 있구나란 생각에
행복해질 때가 있는데 이 분의 책도 그러하면서도
실제 만약 볼 기회가 생긴다면 그렇게 여유로운 시간을
가지고 있진 않겠구나란 생각도 함께 들었다.
게다가 먼 호주이지 않은가.
그래도 기회가 된다면 그의 혁필화와
내가 당신의 책을 잔잔한 감명을 받으며 읽었음을
직접 얘기나눌 기회가 있으면 영광이겠다는
상상을 해보며 책을 읽었던듯 싶다.
호주에서의 그의 삶은 정착하기까지 그리 편해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고생이 삶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느껴졌다.
그럼에도 예술의 감수성이 삶 전체를 지배해서일까
오닥지고 강인하게 잡초처럼 산 인생이라기 보다는
순응과 이해 그리고 많은걸 아우르는 포기까지
예술가적인 삶으로 그의 궤적이 읽혀졌다.
뭣보다 혁필화가로써 호주에서의 삶이라니.
대단하기도 하고 혁신적이기도 했다.
남들이 잘 안하는 분야를 넘어선 도전 이상의 것을
시도했고 일정 이상의 것들을 이룬 분 같았으니까.
그리고 왠지 고마웠다.
그가 선택한 삶이고 삶을 이어나가게 해준
수단이기도 했던 혁필화이지만,
대중적이지 않은 그 혁필화란 것의
아름다움과 소개란 측면에서
저자는 분명 일조를 한 삶을 사셨다고 느낀다.
내 기억속 혁필화는 돈이 되지 않았다.
나처럼 길을 걷다 우연히 보게 되더라도
거의 구경하다 스쳐지나 갈 뿐
실제 혁필화 그림 자체를 구입해가는 사람이 많았거나
도리어 이건 팔려고 하고 있다는 생각보다는
묘기같은 그림과 그 기술을 대중들에게
보여주는 정도란 기억이 떠오른다.
일필휘지처럼 순간 완성해내는 혁필화는
그 색감의 강렬함과 신기함도 오래 각인됐지만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 속에서
외로이 한장한장 퍼포먼스처럼 보여지는 공간같기도 했다.
그런 기억속 혁필화란 것이
이렇게 머나먼 호주란 공간안에서
직업이 되고 그 삶이 한권의 책으로 담겨있다는게
감사했고 또 감사했다.
호주로의 여행기회가 된다면 꼭 한번 뵙고 싶다.
헌데, 우스개소리가 될 수도 있겠으나
한국인에게 정착과정 중에 큰 실망을 했던 경험을 가진 분이
생면부지의 한국인과의 일방적인 대면을 어찌 생각할지.
그래도 기회가 된다면 당신의 책과
혁필화에 대한 정성을 감명깊게 읽은 독자였다고
읽었던 책을 내밀며 짧은 대화라도 나눠보고 싶어진다.
고맙고 소중히 읽은 예술가의 삶으로 기억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은영의 화해 - 상처받은 내면의 ‘나’와 마주하는 용기
오은영 지음 / 코리아닷컴(Korea.com) / 2019년 1월
평점 :
품절


 

 

 

 

 

 

 

 

 

 

 

 

 

 

 

 

 

 

 

 

 

 

 

 

 

 

 

 

그 선생님이라거나 그 교수님이라고 불러드려야 당연한데
그냥 그 사람이란 단어가 낮춰부르는 느낌이 아니란 생각에
편안하게 그러나 정중하게 그 사람이라 써봤다.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으 그 사람. 그 사람이 오은영 교수다.
이 프로의 애청자까지는 아니었어도
시쳇말로 국민프로란 느낌으로 봤던 기억이 있다.
그런 프로가 꽤 있었고 있다는 생각도 새삼 해본다.
동물농장 속 개과천선의 이웅종.
우리 개가 달라졌어요의 강형욱.
골목식당의 백종원.
그리고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의 오은영.
그러고보니 사람이 주가 됐건 동물이 주가 됐건
뭔가를 교정해 나가고 드라마틱한
반전을 선사해준 프로란 공통점이 있다.
어느 회차에서였던가 남자 아이를
오은영 교수가 마주보고 앉아서 훈육을 하는 장면이었다.
꽤 힘좋아 보이는 남자아이였는데
그러면 안되란 메세지를 계속 던지면서
아이와 마주앉아 팔다리를 제압한 오교수가
단호한 자세로 그 아이와 맞서고 있었다.
흔히 말하는 기싸움.
내 기억으론 3시간이란 자막을 본듯하다.
그 장면이 유독 기억에 남는건
그 아이가 발광에 가까운 행동을 보이다가
어느 순간엔 저자의 얼굴에 침을 뱉었는데
어찌나 독기와 원망이 느껴지는
아이의 행동이던지 당황스럽기도 하면서
상상못한 장면이라 눈길을 더 끌었다.
그때 저자의 표정과 모습이 더욱 인상적이었다.
침을 뱉은 아이를 대하는 훈육자로써의 모습 때문만은 아니었다.
아무리 아이라도 침을 마구 뱉어내는 그 상황 속에서
먼저 떠올려지는 나라면 어땠을까란 상상속 대응은
아이의 팔다리를 잡고 있는 상황이라도
그 침이 얼굴에 닿았을 때 닦고 싶다는 느낌이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내가 오은영 교수였다면
분명 그녀의 표정속에서 약간은 당황함이 보이거나
혹은 더러운 침을 닦고는 싶어하는게 맞다고 생각됐다.
하지만, 그녀는 눈하나 깜짝이지 않는 단호하지만
엄마같은 여성스러움도 느껴지는 묘한 추상같은 느낌이었다.
그래 저건 성공하겠구나 하는 응원과 함께
어떤 결과일지를 궁금해하는 시청자로써의 모습도 함께.
결국 그 아이는 껶였고 오은영 교수는 부드럽게 마무리를 했다.
당시 목표했던 훈육의 결과로써 해피엔딩이었다.
그런 그녀의 책을 이렇게 읽게됐다.
내 기억때문인지 지금 이순간에도
책속 가장 인상적인 문장은 훈육과 매에 대한 부분이다.
절대 때리면 안된다. 필요한 매가 전혀 없을 순 없다 부정하진 않지만
부정이라고 할 정도로 절대 매를 든다는 건 있을수 없는 일이란 설명.
그 이유로 저자는 말한다.
어떤 식으로던 매라는 행위가 가해지게 됐을때
진정 때리는 훈육자의 감정이 섞이지 않는다는게
매우 어렵기에 아예 그 감정이 개입될 상황인
매든다는 행위 자체를 말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말이 더욱 와닿는 건
실제 저자가 훈육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았기 때문일거 같다.
그와 동시에 아이러니 한 것은
내가 봤던 유독 그 장면이 어떤 체벌보다
강력하고 강력한 느낌 때문은 아니었을지.
가족이 방송에 신청할 정도로 감당안되던 아이를
매가 아닌 전문가의 제압법으로 해결해내는 그 모습.
그런 이가 또 한권의 책을 냈는데
이전 책들보다 좀더 대중적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유아교육쪽의 전공자라고 생각할 캐리어가 아니라
정신과 의사라는 그녀의 캐리어도 새삼스러웠다.
내가 기억을 못했던 건지 아님 처음 본건진 모르겠다.
오은영씨의 정확한 직함은 정신과 의사 같다.
책이 아이위주의 얘기들이라 추측할지 모르겠다.
아님 부모가 읽어야할 책이라던지.
그냥 전체를 아우르는 책이다.
아이와 부모 어느 한쪽이 아닌 모든 사람의 심리에 적용할 만한 그런.
책의 서술은 개인적으로 약간 러프한 면이 있지만
어딘지모르게 느껴지는 현장감이 주는 묘한 느낌같은게 있다.
이것도 선입견일까.
난 누구보다 필드에서 뛰는 의사가 줄 수 있는
러프한 충고로 듣듯 읽으며 좋았다.
다른 사람들은 어떨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