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 종말론적 환경주의는 어떻게 지구를 망치는가
마이클 셸런버거 지음, 노정태 옮김 / 부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으면서 내내 찜찜한 기분이었다. 뭔가 새로운 사실을 전달하고 설득이 되는 부분이 있었지만 반박하고 질문하고 싶은 내용들이 있었다.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까닭에 제대로 반론을 펼칠 수 없는 답답함을 안고 읽어갔다. 리뷰를 쓰는 것에 대해서도 고민했다. 잘 알지를 못하니.

 

환경과학 분야의 멜서스주의자와 기술만능주의자 사이에서 의견 차이는 오랜 시간에 걸쳐온 갈등의 역사를 갖고 있다. 멜서스주의자들은 지구자원은 한계에 다다를 것이고 지속가능하지 못함을 주장한다. , 기술만능주의자(Cornucopian)들은 기술의 발전이 풍요를 가져다 줄 것이고 이런 환경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일단, 이 책의 부제에 대한 의견부터 쓰고 싶다. 부제는 종말론적 환경주의는 어떻게 지구를 망치는가라고 되어 있다. 아마도 이 책의 원제 ‘Apocalypse Never’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 붙인 것이라 짐작한다. 절대로 지구 종말은 오지 않는다는 뜻이리라. 종말론적 환경주의자들은 실제로 환경과 지구 자원은 한계에 다다랐으며, 어느 지점을 지나면 절대로 회복 불가능하고, 멸망을 향해 점점 가속도가 붙을 것이고, 지구의 시간은 얼마 남지 않았다는 주장한다.

나의 문제의식은 이 책의 저자가 모든 환경의 쟁점이 되는 사항의 반대편에 있는 사람들을 종말론적 환경주의자로 몰아세우고 있다는 것이다. 극단적인 주장을 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지만 여러 단계에서 사항마다 입장을 달리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을 텐데……. 반대편에 있는 사람들을 극단으로 몰아놓고 해야 반론을 펼치기도 쉽고, 효과적이긴 하다. 이런 논리는 상대편의 의견을 단순화 시켜서 사람들을 호도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지구 종말의 모습은 콩고민주공화국 사람들의 삶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환경보다 개발을 더 원하고 있고 경제발전이 더 시급하다고 한다. 너무나 비참한 삶을 살고 있어서 야생동물 보호보다는 그 동물들이 농작물들을 망치는 것에 더 분개하고 있다고 한다. 멀리서 야생동물보호를 위해 운동하는 사람들은 그 콩고 사람들의 생존을 막는 행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방글라데시의 사람들이 생명을 잃거나 해를 입는 것은 낙후된 환경 때문이지 지구온난화로 인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아마존 밀림이 소를 키우거나 콩을 경작하는 농민들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비판하는 것도 그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브라질의 숲은 증가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부분적으로 과학적 근거가 있고 설득력이 있다. 하지만 아마존이 파괴되면서 그 안에 사는 다양한 생태의 계층을 이루는 생물계의 멸종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고 넘어간다. 또한 브라질에서 조림으로 숲이나 녹지가 늘었다고 하는데 인위적인 것으로 오랫동안 생태의 균형을 이뤄온 밀림을 대신할 수는 없다. 그것을 면적으로만 대비하고 있다는 것이 단순한 논리인 것이다. 또한 그들이 마음껏 아마존 경계의 숲을 밀어버리고 경작하고 목축하는 것을 하게 한다고 해서 경제상황이 나아진다고 보기 어렵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그가 비판하는 강대국의 제국주의적인 논리는 나도 공감한다. 그렇다고 기후와 환경에 대해 경고하고 있는 자들의 소리를 그저 양치기에 비유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들의 호각은 환경파괴에 대한 경계심을 갖게 해준 효과가 있다.

 

탄소연료보다 원전이 환경적이고 핵폐기물이 안전하다고 주장하면서 우리나라의 신고리 원전을 예로 든다. 잠깐 멈칫했다. 독일의 탈원전 정책을 예로 들면서 재생에너지가 그 전력소모를 감당하지 못하고 그 부족한 부분을 탄소에너지가 감당하게 되면서 환경공해가 더 심해졌다고 한다. 예로 든 풍력발전이 조류의 생태에 위협이 된다는 설명에는 공감한다. 하지만 슈피겔의 보도에 따르면 독일의 재생에너지는 탄소에너지를 넘어섰다고 한다. 결국 기술발전에 대한 투자를 어디에 하는가에 따라 재생에너지냐 원자력이냐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라는 생각이다. 계속 개발해가면서 그 단점들을 보완해 가는 투자를 해야 한다. 그는 그 경제적 실효성을 주장하는데, 지금까지 투자해오고 개발해왔던 기간이 길었던 것이 지금당장은 경제적 효과가 큰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는 핵폐기물이 안전하다고 주장하는데, 근거가 될 만한 실험이나 수치를 제시하지 않고 있어서 의혹이 생긴다. 후쿠시마와 체르노빌에서 유출된 방사선의 수치는 그리 치명적이지 않았고, 후쿠시마에서 사람들을 탈출하게 한 것은 잘못된 조치였다고 주장한다. 공포심을 조장해서 원전을 더욱 두려운 대상으로 만들었다는 이야기이다. 여기에는 증거가 필요한데 그의 주장으로 끝나고 있어 더욱 걱정스럽다.

 

작가가 하지 말았어야 할 말이 있다. 비판하고 있는 환경단체들이 석유회사나 어떤 이익집단의 금전적 지원을 받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렇게 되면 과학이나 학문적 글이 아니라 음모론이 되고 만다. 서로 이런 비판을 하게 되면 논리와 진실은 가려지고 서로 극단에서 돌아올 수가 없다. 어느 단체나 연구나 활동을 위해서는 지원을 받게 되어있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검은돈인 경우가 많은 것도 사실이지만……. 작가 자신도 이런 음모론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서는 삼가고 정확한 진실과 과학적 사실만 주장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작가는 이 책을 쓴 목표를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것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보편적 풍요를 누리게끔 하는 것이라고 한다. 낙후된 지역의 사람들이 환경보호라는 명목으로 풍요로운 삶에서 제외되면 안 된다는 것인데, 근본적인 원인이 환경보호에 있는가는 생각해볼 일이다. 이렇게 반박하면서 나도 너무 무지하기 때문에 이 작가의 단순화주장을 답습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답답하다. 그래서 반대편의 입장도 찾아보게 되었다.

 

피터 글릭의 비판

https://yaleclimateconnections.org/2020/07/review-bad-science-and-bad-arguments-abound-in-apocalypse-never/

https://newspeppermint.com/2021/05/10/m-apocalypse1/

 

암튼 아쉬움이 많은 책이었다.

두꺼운 책을 읽는 내내 계속 읽어야 할지를 망설였던 책이었다.

 

 

 


댓글(17) 먼댓글(0) 좋아요(5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1-06-30 17:51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문득 극단적인 비건 주의자가
물고기도 고통을 느낀다며
수산물을 취급하는 레스토랑
에 가서 항의를 했다는 기사
가 떠올랐습니다.

자신이 하는 건 갠춘하지만,
왠지 자신의 신념을 타인에
게도 강요하는 건 참 그렇더
군요.

그레이스 2021-06-30 17:53   좋아요 4 | URL
극단주의는 분열만 양산하죠
상대방을 극단주의로 몰아가는 것은 몰이해를 드러낼 뿐 해결점을 찾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mini74 2021-06-30 17:59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그레이스님 글 읽으니 이 작가분도 작가가 비난하는 환경단체만큼이나 극단적이고 편파적인것 같은데요 내 맘과 다른 책은 읽어내기 힘든데 ㅠㅠ 고생하셨어요

그레이스 2021-06-30 18:05   좋아요 5 | URL
감사합니다 ^^
맘고생 조금 있었어요 ㅋ

새파랑 2021-06-30 17:59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계속 읽기를 망설이면서도 완독하신건 대단한거 같아요~! 이런 장르의 책을 안읽어봐서 잘 모르겠지만 작가가 자신의 주장을 위해 극단적인 글을 쓴것처럼 보이는군요 ㅜㅜ

그레이스 2021-06-30 18:07   좋아요 3 | URL
제가 편파적일까봐 걱정도 했습니다.ㅠ

미미 2021-06-30 18:00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저 이 책 이런 얘기인줄 모르고 구입했다가 프롤로그 읽었는데 너무 어처구니가 없어서 바로 팔았어요. 시청자 우롱하는 뉴스같은 느낌.😔

그레이스 2021-06-30 18:06   좋아요 4 | URL
그러셨군요
제 맘 같았다니 반갑고 든든합니다 ^^

그레이스 2021-06-30 20:42   좋아요 3 | URL
저는 줄을 하도 많이 그어서 팔지도 못해요^^
잘 안읽히는 책은 읽으려고 줄을 더 많이 긋고, 여백에 질문이랑 반론, 근거 이런 것들을 적어놔서^^
‘why?‘ ‘So what?‘ ... 등등^^

미미 2021-06-30 21:19   좋아요 3 | URL
헉~멋져요!!! 그레이스님 보니 읽어보고 팔껄 아쉬워요. 그런 식으로 제대로 잘못된걸 집고 넘어가는게 더 필요하다 생각되요.👍👍

초란공 2021-06-30 21:20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애쓰셨내요^^ 무엇보다 이 책 추천사 쓴 사람들 책은 보다 의심해서 읽게될 듯 합니다. 스티븐 핑커와 리처드 로즈, 올리버 스톤 감독을 비롯한 유명인들 말이죠. 어쩌면 이 책이 거대한 백인 원전주위자 카르텔을 수면 위로 불러온 역할을 한 책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 그런 의미에서 올리버 스톤 감독이 쓴 미국 현대사도 의심의 눈으로 읽어봐야겠요.

그레이스 2021-06-30 21:25   좋아요 4 | URL
전문적인 지식과 관련되어 쟁점이 있는 지식은 어느 편의 주장이든 그대로 받아들이기 조심스럽죠^^
감사합니다 ~♡

희선 2021-07-01 01: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책은 안 봤지만, 이 책을 보고 쓴 글을 보고 그걸 믿어야 할까 하는 생각이 조금 들기도 했습니다 아주 틀린 말은 아닌 것 같으면서 맞다고 하기도 어려운... 과학이 발전해서 지구가 안 좋아진 건 맞기도 한데...


희선

그레이스 2021-07-01 07:05   좋아요 0 | URL
예쁜 보자기에 쌓인 가짜 꿀 같다고나 할까요? 과학적사실도 있고 논리적으로 맞는 말도 있어요. ^^

공쟝쟝 2021-07-01 22: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꼼꼼히 읽었어요! ㅇㅣ 책 읽어보고 싶었거든요… 음모론이라고 하시니까 갑자기 신뢰가 딱…. 전형적인 환경운동이 브루주아운동이라 깎아 내리는 뭐랄까 발전옹호좌파(?)냄시가 나는…. 안 읽어보고 뭐라고 하긴 그렇지만요… 휴..휴머니스트시네요… 아이참..

그레이스 2021-07-01 22:45   좋아요 1 | URL
꼼꼼히 읽으셨다니 겁이 나네요
제대로 비판한건지 두려워서요
감사합니다

공쟝쟝 2021-07-02 00:46   좋아요 1 | URL
겁내지마세여 ㅋㅋ 그레이스님 글 읽구 다른 책읽기로 ㅋㅋㅋ 호호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