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블로그 : 고양이라서 다행이야-
1,ㅡ B형을 속이지 말아라.

 

 " 괜찮아. B형 재들은 허황 된 꿈 자주 꾸는 족속들이니까. 이 정도 거짓말 정도는... "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 사람 있다면 오늘 당장 그 생각 수정 하라. B형이 대부분 남의 말 잘 믿어 주기는 하지만, 거짓 말 까지 믿어 주지는 않는다. 혹, 그것이 거짓이 아닌 줄 알고 믿어 주다 거짓으로 들어 났을 때, 이 견인이 박 정희 저주하 듯, 평생 이 바득 바득 갈며 저주한다.

 

 

2,ㅡ B형을 굶기지 말아라

 

 " 어, 하루 굶는다고 죽냐 ? 괜찮아. 그렇지 B야 ? "

 

 다른 B는 어떤지 잘 모르겠으나, 이 견인과 내 주변 B들은 밥 때, 놓치는 걸 죽는 것 보다 더 겁내 한다. 왜 그렇게 까지 식탐 강한지는 잘 모르겠으나, 유독 다른 혈액형에 비해 B들 대부분이 굶는다는 사실을 인내하지 못하는 경향 무지 강하더라. 혹, 주변에 친함 유지하는 B있거든 굶기지 마라. 웬수 될수도 있으니...

 

 

 

 3,ㅡ B형에게 헛 꿈을 꾸게 하지 말라.

 

 " 야, B야 너 내가 로또 먹음 너에게 타워 팰리스 사 줄께... "

 

 이런 허황된 말에도 기달림의 인내 발휘 하는게 우리 B다. 왜 그럴까 ? 도 생각하고 싶지 않을 정도로 나 견인 마저도 부푼 기대 안고 기다리는 습성 보이니... B는 꿈꾸는 아이들 같다고나 할까 ? 그 허황된 꿈이 사라지면 우울해 지고 마니... 병도 아주 큰 병이다.

 

 

 4,ㅡ B형에게 함부로 능력 없단 말 하지 말라.

 

 " 야, B 넌 안돼. 임마. 너 말야. 도대체 할 줄 아는게 뭣냐 ? "

 

 이런 말 B에게 어제 저녁 했다면 어서 생사부터 확인해 보라. 죽지 않았다면, 그 말 들은 B 아마 핸드폰 마저 꺼 놓고, 이불 뒤집어 쓰고 울고 있을 것이다. 살아 온 날들이 서러워서 죽기전에 마음 껏 울어나 보려고...

 

5,ㅡ B형에게는 절대로 B가 사랑하는 사람 씹지 말라.

 

 " 야 B야. 니 앤 영숙인 애가 왜, 그 모양이냐 ? 근본도 없는 집 애 같애... "

 

 이런 말 해 놓고도 B 곁에 머물러 있는 분 계시다면 그 분 정말 용기 있는 분이다.

 

 

 

 6,ㅡ B형을 의문에 들게 하지 말라.

 

 " B야. 있잖아. 철수가 그러는데... 됐어. 너한테 그런 애기 하느니... 낼 보자. "

 

 혹, 이렇게 말해 놓고 B와 헤어진 다음 편하게 주무신 분 있다면 손 들어 보라 ? 그런 분 있다면 아마도 그 말 들은 B 궁금해 미친 관계로 전화 번호 마저 상실해 버렸기 때문일게다.

 견인이 잡학에 대가가 된 이유도 내가 전형적인 B이기 때문이다. 궁금하면 이 견인 지구 끝까지 쫓아가 알아야만 아하 ! 하고 두 발 뻗고 자는 성격이다.

 호기심 때문에 망한 족속이 있다면 그건 B와 여자가 아닐까 ?

 

 

 

 7,ㅡ B형에게 말뚝처럼 살라 하지 말라.

 

 " B야. 너 여기서 쭉 잘 버티면 금방 자리 잡을 수 있을거야. 그러니, 꾹 참고 견뎌내야 해. "

 

 B는 바람이다. B는 구름이다. B는 나그네를 선조로 둔 마지막 보헤미안들이다. 그런 B에게 태양처럼, 달처럼 한 곳만 바라 보고 살라 하면, B는 말라 시들어 죽는다.

 

 

 

 8,ㅡ B형을 팔지 말라.

 

 " 야 C야. B가 그러는데... 너희 집에 문제 있다더라... "

 

 이렇게 B를 곤경에 둔 적 있는 분은 어서 B는 안그랬다고 말해 줘라. 우울에 들어 힘없이 살아가는 친구 모습 보기 싫거든... 아님, 장수를 꿈 꾸고 있거든...

 

 

 

 9,ㅡ B형을 궁지에 밀어 넣지 말라.

 

 " 야 B야. C가 그러는데 넌 밥맛이래... 아...D도 그러더라... "

 

 B가 이 지구 상에서 영원히 사라지길 바라면 이런 말 수시로 하라. 이런 말 듣고도 살아 갈 의지 보이는 B는 드물테니... 단, 그게 사실이 아니었을텐 각오 하라.

 

 

 

 10,ㅡ B형을 친구로 두고 싶다면 솔직해 져라.

 

 " 야 B야. 난 니가 좋아. 니가 이런, 저런 면만 고치면... 더 좋은 친구로 남을 수도 있겠는데... "

 

 B는 아무리 험한 말이라도 자신을 위하는 쓴소리는 잘 듣는 편이다. 그렇다고 일방적인 매도까지 충고로 받아들이진 않으니, 충고와 매도 정도는 구분해서 하라.

 

 

 

진짜진짜! 맞다니까요!; B형분들 공감하지 않아요? ;ㅗ;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ira95 2004-08-07 15: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공감합니다^^ 특히 2번 그리하여 매일 다이어트에 실패하는 저 아닙니까? 퍼갈게요...

panda78 2004-08-07 15: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흐- 울 옆지기 B형.. 말뚝박고는 못 사는 B형....ㅠ_ㅠ

stella.K 2004-08-08 2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라님/ 저도 그래요. 다이어트는 제 사전엔 없지요. 더 이상 찌지나 않으면...먹는 게 얼마나 중요하고, 좋은 건데 굶어요.
판다님/ 저는 B형인데 움직이는 거, 환경 바뀌는 거 별로 좋아하지 않거든요. 저 같은 사람도 있답니다.^^

비로그인 2004-08-10 09: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A형인데, 결과가 궁금하네요. ^^

stella.K 2004-08-10 1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쎄 말예요. 저도 퍼 온 거라서, 이 글 올리신 분이 B형인가 봐요. 제가 B형이라 퍼왔습니다.^^
 



 

 

 

 

 

 

 

 

 

 

 

 

 

 

 

 

 

확인해 보십시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anda78 2004-08-05 18: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옆지기랑 저랑은 시끄러워지는군요.. 좋은거야 아니야.. ^^;;

꼬마요정 2004-08-05 18: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AB형인 저는 B형만 빼고 다 만나도 되겠네요~~^^
다행히 제가 좋아하는 사람은 B형 아니에요~^^*
퍼 갈게요~

stella.K 2004-08-05 18: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런...꼬마요정님, 전 B형이랍니다. 우린 만날 수 없는 건가요? ㅠ.ㅠ

물만두 2004-08-05 18: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린 A형 네명에 O형 한명인데... 오호...

ceylontea 2004-08-05 19: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들뜬 기분.. 남편은 기분이 좋아지는... 아주 좋군요... ^^
그러고보니... 저희 친정은 아빠O형, 엄마와 우리 딸 다섯은 전부 A형..

꼬마요정 2004-08-05 19: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그래서 제가 스텔라님께 열등감을 가지고 있었군요...
서재 글들에 대한...^^;;

mira95 2004-08-06 0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럼 B형은 어떤 혈액형하고도 어울리지 않는 건가요? 전 B형인데...

아영엄마 2004-08-06 01: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남편이랑 저랑은 어떻게봐도 시끄러워지는군요..ㅠㅠ

stella.K 2004-08-06 1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물만두님/ 항상 웃음이 흘러넘치시겠군요.^^
실론티님/ 행복하시겠어요. 부럽습니다.^^
꼬마요정님/ 웬 겸손...
미라님/ 우리 B형끼리 잘 지내봐요. 유치한 게 꼭 나쁜 것마는 아니잖아요. 좋아하면 그럴 수도 있지 않나요?^^
아영엄마, 판다님/그게 사람 사는 멋 아니겠습니까? 미운 정이 고운 정 보다 더 진하다는...(내가 지금 무슨 말 하는 거야?)
 


                                                                                 

 
 
 
 
 
 
 
 
 
 
 
 
 
 
 
 
 
 
 
 
 
 
 
 
 
 
 
 
 
랜스 암스트롱
 
"얘야, 오늘은 앞으로 남은 네 인생의 첫날이란다."
 
이 말은 나의 어머니의 좌우명이었다.
1996년 나는 각광받는 사이클 선수였고
스물다섯의 나이에 이미 큰 돈을 벌고 있었다.
암이 내 몸을 덮친 건 바로 그 때였다.
나는 암에 걸리기 전에는 큰 어려움을 몰랐다.
불행이 뭔지도 몰랐다.
가장 좋아하는 사이클을 다시 탈 수 있을지 모르는 상황
일년반의 치료와 회복
또 다른 종양이 생길지도 모르는 두려움
꼬리에 꼬리를 부는 심각한 후유증과의 싸움 .
그러나 어머니는 내게 한달 전 아니 어제 일에도 연연하지 말고
마음을 가다듬고 지금부터 해야 할 일을 깨달을 수 있게 해 주셨다.
 
건강한 사람들은
아침에 눈을 뜨는 일이 얼마나 고마운 축복인지 알지 못한다.
요즘 나는 아침에 눈을 뜰 때마다
다시 내 눈 앞에 놓여있는 하루에 대한
흥분을 가눌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비발~* > 일본어투 용어 와 일제잔재 용어[펌]

일제에 의한 왜곡 또는 부적절한 용어 사용 예


□ 이씨조선
  ㅇ 일본 교과서의 이씨조선 서술
    - “조선반도에서는 이성계가 14세기 말 고려를 무너뜨리고 이씨조선을 건국하였다”라고 서술
  ㅇ 조선총독부 자료에 의한 서술
    - 서울 유래에 관한 서술에서 “이조시대의 경성”이라고 서술(조선총독부 2-5편)
  ㅇ 우리 학자 등의 견해
    - “이씨조선”은 일제가 한국을 격하시키기 위해 사용한 부적절한 용어이므로, “조선왕조”라고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이만열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 일제가 한국을 격하시키기 위해 우리의 황실가를 왕가로 바꾸어 일본 황실 밑에 소속시킴으로써 그때부터 “조선”이라는 정식 용어가 “이조”로 바뀌었다고 주장(박성래 한국외대 과학사 교수)
    - “고려가 왕씨고려”가 아니듯이 “조선왕조를 이씨조선”으로 부르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견해(한글학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ㅇ 이렇듯 “이씨조선”이라는 용어는 더 이상 사용되어서는 안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선왕조” 또는 “조선시대” 등으로 사용해야 할 것임.

□ 반도(半島)
  ㅇ 일부학자의 주장에 의하면 “한반도”라는 용어가 일제에 의해 왜곡되어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주장.
  ㅇ ‘반도’라는 용어 자체가 일제가 영어 ‘폐닌슐라’(peninsula)를 번역하여 사용하면서 “일본은 완전한 섬인데 반해 한국은 절반의 섬이라는 격하의 의미”로 반도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는 것.
  ㅇ 반도에 해당하는 우리말은 “곶”(내민 곳, 예:장산곶)으로 적절한 용어 사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봄.
□ 이조백자
  ㅇ 이조백자의 ”이조”라는 표현은 일제시대 때 조선을 격하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용어로서 이를 삭제하거나 “조선백자”로 칭해야 한다는 주장
  ㅇ 문화재청은 국보 제107호인 “이조백자철사포도문호”의 명칭을 “백자철사포도문호”로 변경하기 위해 문화재위원회(동산문화재분과)에 심의 상정 중에 있음(8.12. 심의 예정)

□ 남대문․동대문
  ㅇ 우리나라의 전형적 목조건축물을 대표하는 문화재로서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국보․보물 1호인 “숭례문”과 “흥인문”의 명칭을 일제가 우리 문화를 폄하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단순히 방향을 지칭하는 “남대문․동대문”으로 사용토록 하였음
  ㅇ 정부는 지난 ‘96년도 일제지정문화재의 재평가 작업을 거쳐 “남대문․동대문”을 “숭례문․흥인문”으로 공식 명칭을 변경하였으나 현재까지도 일반적으로는 “남대문․동대문”으로 부르고 있는 실정
  ※ 대조적인 사례로, 창경원은 창경궁으로 명칭변경(‘84년)이 이루어진 이후 국민들은 일반적으로 창경궁으로 부르고 있음.

□ 효창원(孝昌園)
   ㅇ 효창원은 조선 정조의 장자 문효세자의 묘소자리로 이후 경내에 순조의 후궁 숙의박씨 등을 안장한 곳이었으나 1984년 청일전쟁 발발직전 일본이 우리나라를 침범하여 효창원에 군대를 주둔
   ㅇ 일제는 1924년 효창원의 일부를 효창공원으로 하고, 1945년 3월에 문효세자 이하 다른 묘소들을 경기도 서삼릉으로 천장함으로써 효창원은 사실상 종말을 고하게 된 것임.
   ㅇ 조국 광복과 더불어 백범선생과 이봉창․윤봉길․백정기 등 3의사의 유해와 임정의 이동녕․조성환 선생 등의 유해가 안장됨으로써 민족성지로서 효창원은 “효창공원이 아닌 원래의 효창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사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우리부는 내년부터 5년에 걸친 중장기 사업으로 이를 추진해 나갈 계획으로 있음.

□ 납골당(納骨堂)
   ㅇ 당초 “납골당”이라는 용어는 일본의 묘지매장에관한법(1948년 제정)에서 사용하기 시작
   ㅇ 우리나라는 1961년 제정된 매장및묘지등에관한법률(1961년 제정, 현재는 장사등에관한법률로 변경)에서 일본이 사용하고 있는 “납골당”의 용어를 그대로 사용
   ㅇ “납골당” 용어는 일본식 색채와 함께 주민에게 혐오감을 주는 부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어 “추모관” 또는 “추모의 집” 등으로 명칭을 변경해 나갈 필요

□ 보부상(褓負商)
  ㅇ 정신문화연구원과 국사편찬위원회는 “부보상(負褓商)”이 바른 표현으로 “보부상(褓負商)”은 일제의 색채가 가미된 표현이라는 지적.
  ㅇ 부보상은 부상(負商:남, 등에 지고 다니는 상인)과 보상(褓商:여, 머리에 이고 다니는 상인)의 합성어로서 태조 이성계가 하사한 명칭으로 부보상으로 불려지다가, 일제가 “남존여비의 관념이 깃들여 있다”라는 명분으로 이를 보부상으로 기록하기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도 보부상으로 사용되고 있음
  ㅇ 보부상의 명칭도 역사적 고증과 연구를 거쳐 적절한 용어 변경 문제를 검토해 나갈 필요가 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금이라 해서 다 반짝이는 것이 아니며

헤메는 자가 다 길을 잃은 것은 아니다.

오래되었어도 강한 것은 시들지 않고

깊은 뿌리에는 서리가 닿지 못 한다.

타버린 재에서 불길이 일 것이며,

어두운 그림자에서 빛이 솟구칠 것이다.

부러진 칼날은 온전히 될 것이며

왕관을 잃는 자 다시 왕이 되리

                                                                      -J. R. R 톨킨-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태우스 2004-08-04 12: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사람이 혹시 반지의 제왕 쓴 사람 맞지요?? 멋진 말을 했군요.

▶◀소굼 2004-08-04 1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톨킨이 한 말이었군요. all is not gold that glitters. :)

tnr830 2004-08-04 17: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갑니다

stella.K 2004-08-04 2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이런 시가 좋더라구요. 그렇치 않아도 <반지의 제왕>에 나온 말이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