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M본부에서 금요일 새벽에 <문화사색>이란 프로그램을 했었죠. 그 프로는 한 주간 우리나라 문화 공연계를 조명하는 그런 프로입니다.
뒤늦게 이 프로를 발견하고 너무 좋아 늘 12시를 넘기지 못하고 자는 저는 목요일 늦은 밤 TV를 끄지 않고 기필코 보고 자곤했습니다.
이 프로가 제법 오래 전 한 모양인데 거의 1년 좀 넘게 보다가 폐지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얼마나 아쉬웠는지 M 본부에 항의 메일을 써 볼까도 생각했죠. 결국 포기하고 있었는데 올해 초인가 우연히 K 본부에서 이와 비슷한 <문화스케치>란 프로를 발견하고 얼마나 좋아했던지.
위의 두 프로는 그저 단순히 문화 예술을 소개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을 만든 또는 기획한 작가나 기획자의 생각이나 작업 방식을 알 수가 있어 저 같이 시야가 좁은 사람에겐 정말 유익한 프로죠. 지난 월요일엔 사진가이며 작가인 문선희 씨의 개인전이 소개가 되었습니다.
여러분, 위의 두 사진은 무엇을 찍은 것 같습니까? 물론 이건 문선희 작가가의 작품입니다. 그다지 예쁜 사진은 아니죠?
사실 이 사진은 돼지 구제역 때 살처분된 토양의 모습입니다. 돼지를 묻었던 그땅은 지금도 물을 부어 물컹하답니다. 그리고 저렇게 곰팡이가 자라 있는 것이죠. 그리고 저런 게 언제 어떻게 우리의 밥상와 생명을 위협할지 모른다는 겁니다. 무엇보다 구제역이라는 건 돼지에겐 그저 감기 같은 건데 경제적 가치가 없다는 이유만으로 살처분 당하고 있었던 겁니다. 그리고 작가는 묻습니다. 살처분만이 답인지를.
그렇지 않아도 지금은 코로나 때문에 묻혀서 그렇지 해마다 뉴스는 구제역에 조류독감을 보도하느라 바빴습니다. 특히 구제역 같은 경우는 70도 이상의 고온에서 사라진다는데 굳이 살처분을 해야하는 것인가 의문을 가졌더랬죠.또 그 일에 투입된 사람들은 그야말로 돼지를 대량으로 죽여야하는 임무를 맡은 건데 정신적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는 어땠을까요. 이것을 일깨우기 위해 문선희 작가는 현장을 3년간 추적했다고 합니다.
작가가 찍은 고라니 작품 중 하나입니다. 사실 이 고라니는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종으로 되어있는데 우리나라만 유독 단순히 개체수가 늘어 난다는 이유만으로 포획되어 사라진다고 합니다. 고라니는 원래 한 두마리의 새끼만 낳는데 최근엔 3, 4마리씩 낳는다고 합니다. 사람들이 자꾸 포획을 하니까 종을 보호하려는 본능 때문에 그렇다는 겁니다. 도대체 이 인간의 무지함을 어쩌면 좋을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작가의 말마따나 우린 도대체 무슨 짓을 하며 사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밖에도 광주 5.18의 참상을 알리기 위해서도 노력하는 작가는 일찌감치 자신의 길을 정한 참 똑똑하고 야무진 사람이었습니다.
작가는 말합니다. 예술가란 누군가의 마음에 작은 불을 켜는 사람이라고. 또한 예술은 세상을 바꾸는 일이 아니라 사람들의 시선을 바꾸는 일이라고. 더 나아가, 광부는 항상 탄광에 들어갈 때 카나리아 새를 데리고 들어간다고 합니다. 그건 거기서 나오는 가스를 사람은 잘 감지하지 못하는데 그 새는 가스에 만감에 조금만 마셔도 죽는다고 합니다. 그럼 광부는 그것을 보고 얼른 탄광을 나올 수 있는 거죠. 말하자면 예술가는 그런 카나리아 같은 존재라고도 했습니다.
저는 이제부터 이 작가의 팬이되기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