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에도 얘기한 거긴 하지만) 내가 유일하게 듣는 라디오 프로그램이 있다면 <세상의 모든 음악> 입니다. 지금은 인연이 끊기긴 했지만 오래 전 알고 지낸 후배 하나가 이 프로 정말 좋다며 해 저물녁 어쩌다 만나면 자기 차 안에서 이 프로를 틀곤 했습니다.
지금은 전기현 씨가 하지만 그땐 배우 김미숙 씨가 했던가 그랬던 것 같습니다. 좋다고 무작정 따라하는 그런 스타일은 아닌데 그후 제가 이 프로에 꽂힐 거라곤 상상도 못했죠. 물론 그렇다고 제가 라디오를 전혀 안 들었던 건 아닙니다. 팝송 프로가 아니면 라디오를 듣지 않았던 라디오 키즈를 거치기도 했었죠.그런데 성인이 되니까 모든 게 시큰둥해지더군요. 간간히 봐 왔던 TV 드라마도 거의 안 보고 오직 본다면 영화와 책 나부랭이 정도? 한때 좋아했던 클래식도 거의 안 들었습니다. 모르긴 해도 그때 사춘기를 겪었거나 그때까지도 겪고 있었거나 둘 중 하나였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유독 <세상의 모든 음악>을 들었던 이유가 있긴 합니다. 물론 들어보니 나쁘지 않더군요. 아시죠? 이 프로가 저녁 6시 클래식 FM에서 하고 있다는 거. 클래식 전문 채널인만큼 틀어두면 클래식이 좔좔 나오지만 그게 그렇게 항상 들어재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모든 게 시큰둥 한데 클래식인들 온전히 귀에 들어왔겠습니까. 근데 이 프로는 들을만 하더군요. 클래식 전문 채널인데도 이 프로는 한 곡인가, 두 곡만 나오고 나머지는 제3 세계 음악만 나오더군요. 팝송을 편곡 변주한 노래도 많이 나오고. 물론 어떤 건 형만한 아우 없다고 제가 왕년에 팝송 좀 들어봐서 아는데 역시 오리지날버전이 훨씬 좋은 경우가 많죠. 물론 편곡이 나쁘다는 건 아니고.
근데 이것을 들을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제가 이 프로를 그 후배에게서 안 즈음 이사를 했는데 거실에 TV가 있었고 그건 거의 저의 엄니 차지였지요.제 방은 거실과 몇 발자국 떨어져 있지 않았습니다. 저녁 때 책 좀 읽을라치면 밖에서 들리는 TV 소리 때문에 방해를 받는 겁니다. 그게 음악 소리면 좋겠는데 사람 목소리가 대부분인 드라마나 정보 프로니 그나마 그것을 차단해 주는 게 라디오를 키는건데 그게 하필 <세상의 모든 음악>이라는 거죠. 이이제이라고 소리으로 소리를 물리치겠다는 공산이었죠.
저는 지금도 TV를 보지 않으면 꺼야한다는 주의인데 울엄니는 끄면 금방 킬텐데 뭐하러 끄느냐 전기 요금이 더 나올 거라고 맞서고 있죠. 저는 일단 TV를 보지 않으면 그건 소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요즘 TV에 대한 개념이 바뀌었더군요. TV는 보지 않아도 항상 틀어 놓는 거랍니다. 라디오나 오디오를 틀어 놓는 것처럼. 아니 언제 이렇게 바뀐 걸까요. 저는 그동안 안드로메다라도 다녀왔나 봅니다. 그런 줄도 모르고 TV를 안 끄는 엄니와 항상 대치중이었으니 저도 참. 그래도 밤이면 TV를 끄는 건 거의 접니다. 어떻게 우리 엄니는 TV를 켜 놓고도 잠을 잘 자는 건지. <세상의 모든 음악>을 듣는다는 건 이제 거의 습관이 됐죠. 그 시간에 듣지 않으면 귀가 허전한.
그런데 지난 주부터 특별한 코너가 한시적으로 편성되었더군요. 아시는지 모르겠는데 '코로나 시대 내게 힘이 되어 준 음악'이란 코너입니다. 뭐 한 달 전부턴가 청취자의 참여를 독려하는 예고 멘트를 듣고 있었는데 이게 뭐 그리 대단할까 싶었는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그렇지가 않더군요. 매일 하루 하나씩 월요일에서 금요일까지 읽는데 새삼 와, 우리가 이런 시대를 살아가고 있구나. 지금까지는 주로 확진자와 방역대책, 점점 조여오는 사는 문제만 집중되어 있었는데 2년을 거쳐오면서 이렇게 살아가고 있구나 한마디로 가슴이 뜨거워지고 절절해지더군요.
코로나로 부모님을 잃고 배우자와 함께 아픔을 이기며 사는 사연, 직장을 잃고 택배 일이 엄청 고되 일주일만 채우고 그만 두자 했다가 1년째 그 일을 하는 어느 청취자의 사연. 어제는 면역이 너무 약해 직장을 그만 두고 집 밖을 나가지 않던 자신이 어느 음악 프로의 사회를 맡아 달라는 요청을 거절하지 못하고 연주장에 가 그건 어느 발달장애를 가진 클라리넷 연주를 격려하기 위해 간건데 오히려 자신이 감동을 받았다고 보낸 사연 등. 모르긴 해도 그 발달장애인은 그날의 연주를 위해 몇천 번은 클라레넷을 연주했을 겁니다.
그리고 그들 각자의 힘이 되어준 음악을 듣는데 음악이 이렇게 사람에게 힘을 줬던가 새삼 뭉클해지더군요. 전염병은 전쟁도 멈추게 했다는데 이런 속에서도 사람은 이렇게 감동을 주기도 하는구나. 그들이 저는 지금 여기서 잘 지내고 있어요라고 안부를 전하고 있는 것만 같습니다.
아, 정말 제가 이 프로를 듣고 있는 중 가장 좋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이 코너가 아쉽게도 내일이면 끝이라고 하네요. 이런 글을 쓸 줄 알았으면 좀 더 빨리 쓸 걸 그랬나요? 예전엔 다시듣기가 가능해서 1주전쯤 건 마음만 먹으면 휘리릭 들을 수도 있었는데 지금은 들을 수 없게 되었으니 제가 늦긴 늦었나 봅니다. 그래도 오늘과 내일 이틀은 들을 수 안 들으셨던 분들은 한 번 들어보시죠. 혹시 반응이 좋아 연장도 한다고 하지 않을까 기대도 해 보면서 저는 오늘도 들어 볼까 합니다.
하루속히 코로나가 지나갔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빨리 옛날 얘기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