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청소 로봇 씨싹 독깨비 (책콩 어린이) 73
키키유 지음, 백용원 그림 / 책과콩나무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바다 청소 로봇 씨싹> 이라는 환경도서를 소개해줄게요.

환경에 관심이 많은 엄마라서 아이들에게 이 책을 읽혀주게 되어서 너무 기뻤어요.



최근 "인류세" 라는 책을 통해서 바다쓰레기 섬 GPGP의 존재를 알았는데요

이 책의 주제가 그 GPGP 였어요.



GPGP는 태평양 해역에 위치한 거대 쓰레기 섬으로

2018년에 발표한 내용에 의하면 면적이 약 155만 제곱킬로미터에 플라스틱쓰레기의 개수는 1조 8000억개에 이른다고 해요.



엄청나죠. 이 책에서는 쓰레기 산처럼 묘사를 했는데 실제로는 물에 플라스틱이 떠다니구요. 오히려 5밀리미터 이하의 미세플라스틱이 94퍼센트를 차지한다고 해요. 위치는 캘리포니아와 하와이 사이의 바다라고 하구요.




이 책은 아이들을 위한 동화책이니까 쓰레기산을 표현하기 위해 거대하게 했지만

차이가 있었습니다.




어쨎든.. 동화로 돌아가서 바다를 청소하는 임무를 부여받은 씨싹이라는 로봇은 보트를 타고 태평양 바다로 나가

쓰레기를 수거해와 압착손으로 1만분의 1크기로 압착하여 미생물이 분해하는 곳으로 쓰레기를 옮겨요.

쓰레기는 치워도 치워도 끝이 없죠. 인간들이 계속해서 쓰레기를 버리기 때문이예요.




이 책에서는 단순하게 쓰레기가 많으니 바다가 오염이 된다.

그래서 우리가 쓰레기를 많이 버리지 말아야 한다. 라는 내용만을 담고 있지는 않아요.



씨싹의 가족이 되는 장쓰와 범벅이 알배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쓰레기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수 있어요.


많은 동물들이 바다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먹이로 착각하여 먹다가 죽는 일이 많이 발생하고 있어요.

바다쓰레기 때문에 생태계가 망가지고 있는 것이죠.




동화책이라서 쓰레기를 많이 버리지 않기로 ... 희망적인 결말이 나왔지만

실제로는 ,,, 플라스틱이 지난 1950년부터 현재까지 약 83억톤이 생산되어 그 중 63억톤이 버려졌다고 해요.

우리가 재활용하고 재사용한다지만 그 비율이 현저히 낮다는 것이죠.

소각비율은 20퍼센트 정도인데 소각시 공기 오염이 생길수 있어서 현재 많은 국가들이 규제를 하고 있어 소각도 어려움이 있어요.



그렇다면 소비자들이 아껴쓰고 다시쓰는게 답일까요?




플라스틱을 최대한 생산하지 않아 탄소발자국을 줄이는 것!

그리고 플라스틱을 사용했던 기업들이 다른 방식으로의 전환!

소비자들은 쓰레기를 줄여나가는 것!



이 책을 읽고 나서 아이들과 쓰레기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는 시간이 필요할것 같아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