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젊은 날, 춘천에 미미(美美) 다방이 있었다.

시내 한복판에 있던 거북당빵집 건물의 맞은편 건물 2층에 있었다. 이름이 얼마나 예쁘나. 한자로도 예쁘지만 그냥 우리말로도 예쁜 미미’.

2층에 있으므로 지상의 입구에서부터 층계를 하나하나 밟아 올라가야 했다. 다 올라가서 문을 열면 연한 꽃무늬 장식의 30여 평 공간에 팝송이 흐르고 있었다. 폴모리아 악단의 ‘LOVE IS BLUE'라든가 샌프란시스코에 가면 머리에 꽃을 꽂으세요가 자주 나왔다. 한편에 뮤직박스가 있어서 전문 DJ가 희망음악을 신청 받았다. 딴 음악다방과 다른 점이라면 신청 받은 음악을 항상 나지막하게틀어주었다는 사실이다. 톰존스가 우렁차게 불러 세계적인 팝송이 된 딜라일러조차 폴모리아 악단의 경음악으로 나지막하게잔잔하게 틀어주었다.

나는 1971년에 한동안 미미 다방 가기를 좋아했다. 커다란 엠프스피커가 설치된 구석이 내 자리였다. 강의가 없는 날이면 그 자리에서 점심도 거르면서 음악을 들으며 이런저런 생각에 잠겼다. 사랑문제도 쉬 풀리지 않고 학교 다니기도 따분했다. 따분한 것은 둘째고 어려운 집안 형편상 다음 학기부터 휴학할지 몰랐다. 서툰 줄담배를 피우면서 고뇌에 잠겨 보내던 미미 다방의 날들.

어느 날이다. 빈속에 줄담배를 태우며 음악을 듣다가 오줌이 마려워졌다. 뮤직박스 앞을 지나 화장실에 들어갔다. 소변기 앞에 섰는데 눈높이에 작은 창이 나 있었다. 소변을 보면서 바깥 풍경도 즐기라고 창을 그리 만들어 놓은 것 같았다.

창밖으로 파란 하늘이 보였다. 요즘 같으면 다른 건물들에 가려 하늘이 보이지 않았을 텐데 당시는 그럴 만한 건물들이 별로 없었다. 그런데 번쩍하며 창밖 하늘을 번개가 지나갔다. 나는 오줌 누다 말고 얼떨떨해서 계속 하늘을 지켜보았다. 비는 내리지 않았다. 마른번개였다.

집에 돌아와서 일기장에 한 줄 적었다. 의미 없는 듯, 있는 듯한 한 줄.

창밖으로 번개 한 마리가 지나갔다.’

 

내 젊은 날 춘천에 미미 다방이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춘심산촌 농장이 어언 8년째다. 그러는 동안에 갖가지 나무들이 자리 잡았다.

크게 세 종류의 나무들로 대별할 수 있다.

첫째는 아내와 함께 나무시장에서 사다 심은 나무들이다. 밤나무, 목련나무, 철쭉나무가 해당된다.

둘째는 지인들한테서 선물 받아 심은 나무들이다. 내 친구김태림이 선물한 매화나무, 아내 친구가 선물한 뽕나무.‘화천 사창리의 목회자 에벤에셀 님'이 선물한 보리수나무 대추나무 홍매나무 등이다. 요즈음 에벤에셀 님이 준 보리수나무 묘목들이 한창 자라고 있다. 벌써부터 아내는 보리수 열매 수확을 꿈 꾸고 있다.

셋째는 우리도 모르게 슬그머니 자생하는 나무들이다. 농막으로 가는 길가의 세 그루 뽕나무가 그렇다. 처음에는 우리가 나무시장에서 사다 심은 것인 줄 알았다. 그런데 아내가 이렇게 말했다.

“동편 뽕나무들은 내가 심은거 맞는데. 서편에 있는 농막으로 가는 길가의 뽕나무들은 자생한 거예요.”

뽕나무는 시원한 그늘도 만들어줄뿐더러 맛있는 오디까지 제공한다. 우리 내외는 모처럼 횡재했다.

 

차단봉을 설치한 농장 입구에 우뚝 자리 잡은 굴참나무를 빠트릴 뻔했다. 이 굴참나무 또한 우리 내외 모르게 그곳에 자리 잡고는 아주 왕성하게 자라고 있다. 부탁도 안했는데 수문장 역할을 자임한 것이다.

오늘, 고마운 마음에 그 모습을 촬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웬만해서는 한 번 본 영화를 또 보는 일 없는 내가 살인의 추억은 세 번이나 보았다. 연쇄살인범을 잡고자 분투하는 시골 경찰서의 강력계 형사 송강호에 매료된 때문이다. 그는 영화 상영 중에 배우가 아니라 강력계 형사로서 내 눈앞에 있었다. 영화 마지막에 시체가 발견되었던 도랑을 고개 숙여 살피면서 생각에 잠기던 표정. 소설의 결말 방법 중 여운을 주는 결말이 있는데 바로 그런 결말의 진수를 보여주던 것이다.

 

송강호 그가 최근의 기생충영화에서는 반 지하 셋방집의 가장으로 나왔다. 빵을 뜯어먹다가 곱등이가 눈에 뜨인 순간 손가락으로 그것을 튕겨버리던 동작과 표정 연기. 무료하게 사는 궁핍한 가장 모습으로서 100% 성공한 순간이었다.

여기서 나는 궁금한 게 있다. 그 하찮은 곱등이를 어떻게 출연(?)시켰을까 하는 점이다. 아무리 봐도 CG 같지는 않았다. 영화 속 디테일로 명성이 높은 봉준호 감독의 솜씨라고 이해하면 될까? 글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내가 나와 대화하다가 당신 가는 귀 먹은 게 아니야? 왜 엉뚱한 말을 하지.’ 면박 주기를 여러 번. 결국 내 청력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으며 그 원인은 농장에서 잡초들 깎느라 수시로 예초기를 돌린 때문이라는 데 도달했다.

 

예초기를 안 돌린다면 낫을 써야 했다. 농사 준비할 때 농막 창고에 있는 낫이란 낫들은 다 꺼내다가 숫돌에 날을 간 게 그 때문이다. 가볍고 경박하게 생긴 왜낫, 무겁고 투박하게 생긴 조선낫 모두 꺼내 놓으니 열댓 자루다. 낫을 쓰다가 날이 무뎌지면 숫돌에 갈지 않고 그냥 새 낫을 사다 쓴 결과다. 사실 낫은 생각 외로 값이 싼 농기구다. 비싼 예초기를 구입하면서 때가 되면 고물상에 갖다 줄 생각으로 창고에 방치해 두었던 낫들4년 만에 복권(復權)됐다.

 

아내는 밭을 김매기(잡초들을 뿌리째 뽑기) 시작했고 나는 낫으로 밭 주변의 무성해진 잡초들을 쳐내기 시작했다.

만일 밭 주변의 잡초들을 방치한다면 금세 뱀이 기어 다녀도 모를 정도로 무성해지며밭의 작물들까지 잡초에 묻혀버릴 수 있다.

 

잡초들이 내 낫질에 다스려지는가 싶었는데 문제는 하도 팔을 휘둘러 팔이 아프기 시작한 데다가 풍경도 영 마음에 들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마치 헌 가위로 깎은 머리털처럼 잡초들이 들쑥날쑥하다. 깎아도 깎은 것 같지 않았다. 하는 수 없었다. 다시 예초기를 돌리기로 했다.

그러려면 사전에 준비할 게 있다.

첫 번째: 휘발유 한 통 사기. (경유는 안 된다.)

두 번째: 2행정 엔진오일 사기. (4행정 엔진오일도 있는데 자동차에나 사용하는 것이란다. 오토바이나 예초기 엔진오일은 2행정 엔진오일이어야 한다는 사실.)

세 번째: 휘발유와 엔진오일을 약 101 정도의 비율로 섞기.

 

창고 한편에서 잠자고 있던 예초기를 밖으로 꺼내놓았다. 예초기를 볼 때마다 느끼지만 정말 필요한 부품만으로 이뤄진 기계다. 동력원(動力源)인 엔진, 회전 날을 부리는 긴 대와 그 끝의 손잡이, 엔진에 달린 연료통. 이게 전부다. 땅바닥에 놓인 예초기는 인체 해부실에 있는, 두개골과 등뼈모습을 연상시킨다.

 

연료통에 혼합유를 부어놓고서엔진의 시동 줄을 잡아 당겼다. 8개월만의 시동이라 잘 걸리지 않는다. 푸드득거리다가 꺼지는 엔진. 어쩌면 엔진의 점화플러그가 닳아서인지도 모른다. 몇 번을 더 시동 걸어보고서 그러고도 안 된다면 농기구 서비스센터로 들고 가는 수밖에. 비용도 비용이지만 시간 낭비가 만만찮다.

푸드득 푸드득 하더니 !’하면서 엔진이 되살아났다. 회전 날이 무섭게 돌기 시작했다. 다행이다.

예초기 엔진을 등에 메고 대를 두 손으로 잡았다. 시행착오는 끝났다. 들쑥날쑥한 잡초 밭을 향해 나아갔다. 전통 방식의 늙은 이발사가 그러듯 하나하나 놓치지 않고 털을, 아니 풀을 자르기 시작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대중가요 슬픈 인연의 노랫말에 대해 글을 써 올린 적 있다. (수필: ‘슬픈 인연’)노랫말의 아름다움을 찬미하면서도 정작 작사가와 작곡가에 대한 언급을 생략했는데 까닭이 있다. 마음 불편하게도 작곡가가 일본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자키류도우란 분이다.

그렇다. ‘슬픈 인연은 일본 사람이 작곡하고 노랫말은 우리나라의 박건호 씨가 한 특이한 경우다.

박건호.

그는 우리나라 대중가요 작사가로서 한 획을 그은 분이다. 그 예로써 가수 박인희가 부른 모닥불의 노랫말을 들 수 있다. 사실 6,70년대 학원가를 풍미한 지난 시절의 노래라 요즈음 젊은이들은 금시초문일 수 있다. 안타깝다. 이제 한 번 그 노랫말을 보기로 한다.

 

<모닥불>

 

모닥불 피워놓고 마주 앉아서

우리들의 이야기는

끝이 없어라

인생은 연기 속에 재를 남기고

말없이 사라지는

모닥불 같은 것

타다가 꺼지는 그 순간까지

우리들의 이야기는

끝이 없어라

 

타다가 꺼지는 그 순간까지

우리들의 이야기는

끝이 없어라

 

 

어찌 이를 대중가요 노랫말이라며 경시할 수 있을까. ‘인생은 연기 속에 재를 남기고/ 말없이 사라지는 / 모닥불 같은 것이라고 삶의 유한(有限)을 안타까워하면서 타다가 꺼지는 그 순간까지 /우리들의 이야기는/ 끝이 없어라하면서 결코 허무나 좌절에 빠지지 않고 삶을 누리자고 마무리 짓는다.

숱한 철학자들이 인생의 바른 길을 목소리 높여 제시해 주었는데 작사가 박건호는 모닥불노랫말 하나로 간단명료하게, 그러나 아름답게 제시해 주었다. 목소리를 높이지도 않았다. 모닥불 가에서 건네는 얘기처럼 넌지시 했으니 말이다.

 

 

덧붙임: ‘박건호는 대중가요 작사가이자 시인이다. 작사한 대중가요로는 모닥불’ ‘잊혀진 계절’ ‘! 대한민국’ ‘그대는 나의 인생’ ‘우린 너무 쉽게 헤어졌어요’ ‘단발머리등이 있다. 시집으로는 타다가 남은 것들’ ‘고독은 하나의 사치였다’ ‘추억의 아랫목이 그립다. 강원도 원주시 무실동에 박건호 공원이 조성됐으며, 이 때 그의 노랫말비도 세워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