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과 학습공동체 이야기 - 미래핵심역량을 키워주는
솔밭중학교 학습공동체 지음, 미래교육공감연구소 감수 / 테크빌교육 / 2019년 4월
평점 :
교육관련 글을 쓸때마다 동어반복하게 되지만 지금 세계 교육선진국들의 교육과정은 역량중심교육과정이다. 그리고 그 역량은 자신이 학습한 지식, 기능 등을 실생활의 맥락에서 스스로 적절하게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할수 있는 것이다. 이런 역량의 특징은 바로 프로젝트 수업과 맞닿는다. 프로젝트 수업은 실생활은 문제를 학생이 스스로 혹은 친구들과 협력하여 학습한 내용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프로젝트 수업은 학생 역량 배양의 가장 직접적인 수단이라 볼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학교에서 가르치는 각 교과가 실생활과는 유리된 분절적이고 비맥락적이며 탈지역적인 매우 일반적이고 이상적이며 이론적인 성격이라는 점이다. 때문에 학교에서 프로젝트 수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거의 대부분의 경우 교과 간의 통합 혹은 융합 혹은 연결이 반드시 수반된다. 초등학교에서는 이 교과 간의 연결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초등학교를 졸업한지 오래된 성인들은 잘 기억이 안나겠지만 초등학교에선 담임교사가 거의 모든 과목을 혼자 가르치는 원맨쇼를 펼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수학이나 체육, 영어나 국어처럼 서로 기름과 물과 같은 교과마저 섞는데는 심리적인 혹은 어떤 물리적 저항도 없다. 오직 그 교과들을 학생 교육을 위해 화학적으로 융합시킬 교사의 교육적 역량이 문제가 될 뿐이다.
하지만 중고등학교는 다르다. 중고등학교의 교사들은 사범대학에서 자신의 전공 교과에 대해 준전문가 수준의 이론적 기능적 전문성을 쌓게 된다. 때문에 각 교과에 대해서는 상당한 전문성을 갖게 되지만 다른 교과에 대해서는 거의 알지 못하게 된다. 때문에 중학교 이상의 학교에서 프로젝트 수업은 시작자체가 어렵다. 프로젝트 수업을 설사 잘 잡았더라도 각 교과에서 어떻게 서로 융합하여 공동의 목표를 향해 학습을 해나가야할지 어렵고, 교사마다 다른 생각의 간극을 좁히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에 나오는 솔밭 중학교의 선생님들은 그 어려운걸 해냈다. 상당히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여러 교과 선생님들이 합심하여 이뤄냈는데 그 성과가 놀랍고, 훌륭했다. 10개 정도의 프로젝트가 보였는데 흥미롭게도 프로젝트마다 상당한 규칙성이 있었다.
먼저 프로젝트 주제들이 공정무역이나 지구온난화, 다문화가족, 인권, 지진 등 사회과나 윤리과에서 비롯되는 것들이 많았다는 점이다. 이는 각 교과의 성격에서 기인하는 어쩔수 없는 측면이란 생각인데 프로젝트 수업이 실생활의 문제해결을 다루는 만큼 교과중 실생활의 문제를 가장 많이 다루는 사회과나 가치의 문제를 다루는 윤리과가 아무래도 주제를 제공할수 밖에 없는 측면이 있다. 다음으로는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서 학생들의 지식이나 개념을 심화하거나 그 문제자체에 대한 학습 또는 문제해결을 위한 기능을 배우는 단계에서 사회과나 국어과 과학과 수학과 등의 주지교과가 많이 사용된다는 점이다. 이 역시 그 교과들이 그러한 지식과 기능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당연해 보인다. 마지막은 포로젝트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단계인데 이 부분에선 기술가정, 영어, 미술 등의 교과가 많이 사용된다는 점이다. 프로젝트의 결과물은 포스터나 카드뉴스, 동영상, 기계장치 등인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성과물을 내는 과정이 해당교과들에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정리하면 중등 아니 분명 초등에서도 프로젝트 수업은 대개 주제 설정 단계에서 사회과나 도덕과에 주로 의존하게 되며, 프로젝트의 심화과정인 지식, 기능, 개념학습 단계에서는 주지교과인 국어, 수학, 사회, 과학 등의 교과에 주로 의존하고 마지막인 결과물의 산출에선 영어, 미술, 기술가정등의 교과가 주로 이용된다는 점이다. 이는 제법 흥미로운 점이며 오래전부터 어렴풋하게 느껴오던 점이 이 책을 보면서 체계화된 느낌이다. 그 만큼 이 책들의 프로젝트는 일관성이 있었고, 각 주제는 다르지만 일관되게 유사했다.
글을 마무리하며 중등에서의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실현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내실화 방안을 생각해보게 된다. 일단 떠오르는건 대학 단계에서의 부전공이다. 중등교사가 지식 기능 측면에서 반드시 준전문가 수준까지의 심화가 필요하단 생각은 들지 않는데 주전공에 주력하면서 적어도 관련이 있는 교과가 다른 교과의 2,3전공이 필요해 보인다. 그래야 좀더 깊이 있고 연결성 있는 교과융합이 가능하지 않을까. 또 다른 생각은 교과간 융합을 유도하는 교육부 차원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변경이다. 중학교의 자유학기제가 대표적인 예인데 그런 것들을 보다 활성화 하고 지원해나간다면 그런 기회는 자연히 많아질 것이다.
모처럼 책 내용과 관련해 여러 생각을 가질 기회였다. 좋은 책이며 프로젝트 수업에 관심이 있는 여러 사람이 보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