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년 전 라디오에서,믿음에 관한 일화를 들은 후로...내게 믿음은 이런 것이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자리잡고 있었나 보다.
누군가 왕을 죽이려해서 잡고보니 아주 반가운 친구였단다.
둘은 얼싸안고 회포를 푼 뒤,
"내가 두렵지 않은가?자네를 죽이려 했는데..."
"무슨 오해나 그럴만한 사정이 있었겠지."
"실은 여행 중에 돈이 떨어졌는데,돈 안들이고 여기까지 올 수 있는 방법이 이 방법 밖에 없었네.
물론 자네가 나를 믿어줄거란 전제하에 말이네."
이 얘기를 듣고는,비록 얘기 속의 그들이지만...참 멋지다 싶었다.
왕이 자신을 죽이지 않으리라는 믿음도 믿음이지만,
왕의 경우 친구가 자신을 죽이려했는데도,무슨 오해나 그럴만한 사정이 있었겠지...
얘기할 수 있는 쿨함이 부러웠다.
남편과 나는 6년 연애 끝에 결혼을 한 올해 15년 차의 부부이다.
처음 연애할 때는 부처님이 웃으니까 가섭이 따라 웃는 다는 염화시중의 미소가 가능했었던 것도 같은데,
실토하자면 남편이 거하게 사업을 세번이나 말아 잡수시는 과정에서 말없음은 부부사이의 골을 만들었었다.
다시말해,무슨 오해나 그럴만한 사정이 아니라,체념에 가까웠다.
기실 남편은 아주 감성적이고 로맨틱한 사람이었다.
연습장에 쓰는 글씨도 단정히 시처럼 내려 쓸 수 있는 사람이었고,
대학 방송국 아나운서였던 그는 마지막 방송이라며 울먹울먹하다가 멘트를 버벅거리는 바람에,
사유서까지 쓰고 졸업반에 유래없는 운동장을 10바퀴 도는 벌을 받기도 했다.
여행을 다니며 사진 찍는 걸 좋아했던 그는,
필름의 처음이나 끝은 꼭 나를( 내 손이나 ,머리카락,신발 등) 찍어줬다.
결혼 후,남편은 감성과 로맨틱함을 같이 말아 잡수셨었다고 생각하고 체념했었다.
그런데,한걸음 물러서 객관적으로 바라보니,
남편은 그대로인데 내가 바뀌어 있었던 거였다.
직장생활에 지친 나는 쉬는 날이면 방바닥에서 들러붙어 뒹굴거려야 다음 일주일을 지탱해 나갈 수 있었고,
여행은 일로 인한 워크 숍이나 세미나 따위가 전부였이며,
가족끼리의 여행은 주로 아들의 현장학습 증빙용 이었다.
그런 나를 남편은 체념하지 않고,
무슨오해나 그럴만한 사정이 있겠지 생각하며 15년동안이나 믿고 기다려준 거 였다.
결혼 15년만에 남편과 둘이 여행을 다녀왔다.
대학시절 같이 갔던 그 여행지였고,
비록 디카였지만,그 카메라의 처음엔 내 눈을 찍어줬다.
둘이 여행을 많이 다니자는 약속은 지킬 자신이 없다,저질 체력인고로...
하지만,대화를 많이 하자는 약속은 지키려고 노력을 할 것이다.
염화시중이나 이심전심이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말을 해도 자신의 의중을 상대방에게 제대로 전달하기가 힘든데,
말을 안 하고서는,
우리는 부처님이나 가섭의 고매한 사고방식은 물론이거니와,
가장 믿는 한 사람의 마음상태를 헤아리기엔 턱없이 가벼운 존재들이니까 말이다.
그래서, 이쯤에서 생각을 살짝 비틀어 보게 되는데...
높은 기대치의 믿음은 이보다 좋을 순 없는 일이지만,
낮은 기대치의 믿음에 대해서 말이다.
"노력한 만큼 대가를 얻는다."
"주는 만큼 받는다."
까지는 뭐 그럭저럭이다.
하지만,
"믿는 만큼 배신감을 느낀다."
"아픈 만큼 성숙해 진다."
"사랑하는 만큼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 되려고 노력해요."(김훈의 한 구절이었던 것 같다.)
이런 문구는 이해관계가 개입된 얄미운 문구이다.
'노력했으니까 댓가를 얻는다'
는 바꾸어 말하면,노력이 없다면 댓가도 없다는 조건부의 냄새가 짙다.
주었으니까 받는다.
믿었으니까 배신감을 느낀다.
아프니까 성숙해진다.
까지는 억지로 넘어가겠는데...
사랑하니까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 되려 한다는 이 부분에서 '턱~' 하고 숨이 막힌다.
내가 이율배반적인 건지 모르겠지만,
'있는 모습 그대로를 사랑할 수는 없는건가요?'하고 묻고 싶어진다.
내가 그(또는 그녀)를 사랑하는 것이...
그(또는 그녀)가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어서는 아니다.
그냥 내 멋에 겨워 사랑하는 것이니까,
내가 그 사랑에 지쳐서 다른 사랑을 찾을 때까지는 그냥 그 자리에 그렇게 있으면 되는 게 아닐까?
<그대 이름 내 가슴에 숨쉴때까지>라는 좋은 처방전도 있으니까 말이다.
가끔씩 그대 마음 흔들릴 때는
- 이 외 수 -
가끔씩 그대 마음 흔들릴 때는 
한 그루 나무를 보라
바람부는 날에는
바람부는 쪽으로 흔들리나니
꽃 피는 날이 있다면
어찌 꽃지는 날이 없으랴
온 세상을 뒤집는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는 뿌리
깊은 밤에도
소망은 하늘로 가지를 뻗어
달빛을 건지리라
더러는 인생에도 겨울이 찾아와
일기장 갈피마다
눈이 내리고
참담한 사랑마저 소식이 두절되더라
가끔씩 그대 마음 흔들릴 때는
침묵으로
침묵으로 깊은 강을 건너가는
한 그루 나무를 보라.
또 한권 생각난 책,<하찮은 인간,호모 라피엔스>

존 그레이 지음, 김승진 옮김 / 이후 / 2010년 8월
호모 라피엔스(Homo Rapiens)는 ‘약탈하는 자’라는 의미다. 인류를 중심에 놓지 않은 그의 견해는 책의 원제 ‘Straw Dogs(지푸라기 개)’에 더 잘 나타난다. ‘지푸라기 개(추구·芻狗)’는 노자의 도덕경 ‘천지불인 이만물위추구(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천지는 어질지 않아 만물을 짚으로 만든 개와 같이 여긴다)’에서 나왔다. ‘추구’는 고대 중국에서 제물로 만든 개 모형으로 제사 때는 존귀한 대우를 받다가 제의가 끝난 뒤에는 하찮게 여겨지는 존재였다. 자연은 애증 없이 존재하며 스스로 변화하고 생멸할 뿐이고 인간도 그런 자연의 일부일 뿐이라는 의미다.
내가 아침부터 왜 이리 시니컬한 페이퍼를 쓰느냐 하면 다 '박승화' 때문이다.
박승화와 알리가 부른 이 노래를 아침부터 들었기 때문이다~
디지털 싱글이어서 알리딘엔 이미지가 없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