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로코피우스의 비잔틴제국 비사
프로코피우스 지음, 곽동훈 옮김 / 들메나무 / 2015년 11월
평점 :
꼭 뭐 호사가가 아니더라도 비밀스러운 이야기에는 누구나 마음이 솔깃하고 귀가 쫑긋해진다. “돼지야, 이건 정말 비밀인데 있잖아...,,놀라지 마래이...니 옆집에 사는 늙은 암퇘지가 사실은.....” 이러면 누가 뭐라 안해도 자동으로 의자를 바싹 당겨앉게 되는 것이다. 인지상정이다. 소생은 뭐 돼지인 주제에 비록 인간은 아니지만 어쨌든 ‘비사’라고 하니 관심 폭발이었다. 특히나 소생이 깊이 애정하는 바 비잔틴 제국의 비사라니 말해 무엇하겠나. 설상가상에 국 쏟고 밥상이 엎어진 격이다. (항상 그렇지만 어째 비유가 적절치 않다....)
본처가 아닌 첩이라고 하면 뭔가 구리면서도 야리한 향내가 나는 듯하고, 제때에 먹는 삼시 세끼보다는 아무 때나 땡길 때 먹는 군것질이 역시 맛은 그만인데, 소생은 이 ‘비사’가 당연 ‘정사’가 아닌 ‘야사’이니 보드라운 살들도 살아 펄떡이고 달달한 냄새도 솔솔 풍기는 그런 유토피아 지상낙원 주지육림을 얼마쯤 기대했지만 이건 다 소생의 헛된 꿈이었다. 그건 뭐 그렇다고 치더라도 야사에는 역시 유머와 위트, 노골적인 야유와 은근한 비난이 뒤석여 있어야 하고 더 나아가서 ‘나쁜 짓 하는 못된 놈은 벼락을 맞는다.’는 교훈까지 가미된다면 첨상첨화요 화룡점정이 되겠다. 고려 정지상 귀신이 뒷간에서 응가하는 김부식이 불알을 잡아당겨 죽인 이야기처럼 말이다. 연이나 본 도서를 일독한 작금의 느낌이란 국 쏟고 손 데이고 뺨까지 한 대 맞은 그런 기분이다.
‘비사’라는 것의 99%는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와 테오도라 황후에 대한 적나라한 욕설이다. 욕도 뭐 말하자면 쌍욕이다. 두 연놈이 바로 인류를 멸절시킬 악마라는 것이다. 프로코피우스는 웃음기 하나 없는 목소리로 계속 진지하게 같은 이야기를 주장하고 있다. 아!!! 읽다가 지겨워 죽는 줄 알았다. 로마의 네로나 칼리쿨라 황제, 혹은 중국 하은주 시대의 주왕이나 걸왕 등등 기타둥둥 유사이래 폭군, 혼군, 망군, 암군으로 양명한 이들이 수다하지만 이 책에 등장하는 유스티니아누스 부부에 비하면 새발의 피요, 새끼 발가락과 네 번째 발가락 사이 골짜기에 끼인 때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소생은 이른바 저명한 역사학자가 왜 이런 쓰레기보다 못한 글을(노리치의 표현을 빌리자면 ‘거의 귀담아 들을 가치가 없는 이야기’) 썼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비잔티움 연대기>의 저자인 줄리어스 노리치는 프로코피우스를 가리켜 ‘짐짓 신안심 깊은 체하는 늙은 위선자’라고 했고, 에드워드 기번은 ‘비사’의 역사서로서 효용에 대해서는 “악의에 찬 독설이 증발되고 남은 ‘비사’에서는 공적인 역사서에는 신중하게 살짝 언급만 한 불명예스러운 사실들까지 그 내적 증거와 당대의 권위있는 문헌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로마제국쇠망사 4권 p45-46)고 했지만 프로코피우스 개인에 대해서는 ‘속을 알 수 없는 역사학자’라고 몇 번이나 이야기하고 있다.(로마제국 쇠망사 p78,80) 소생이 보기에 독설이 증발하고 남은 것은 속이 새까맣게 탄 빈 냄비 밖에 없는 듯하고 당연하게도 음흉한 인물들의 심사를 알기란 열길 물 속을 살피기보다 어려운 법이다.
기번은 프로코피우스가 <전사>에서 벨리사리우스 장군을 너무 치켜세우다가 그만 결과적으로 자존심 강한 황제에게 상처를 입혔고, 이를 만회하고 용서와 보상을 바라는 마음에서 황제를 찬양한 <건축에 대하여>를 저술하여 헌상했지만 아마도 원하는 보상을 받지 못해서 실망한 나머지 은밀한 복수로 매일 밤 남몰래 써내려간 것이 바로 이 ‘비사’일지도 모른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거 변태 아니가? 정녕 프로코피우스가 이 ‘비사’를 썼다면 그를 역사학자라고 칭하기 낯부끄럽다. 어둑한 방구석에서 꿍꿍거리며 연예계 악성루머를 생산하는 찌라시 제작자와 한가지다. 모름지기 진정한 사관이란 바른 소리를 했다는 이유만으로 불알이 까이는 그 엄청난 치욕 속에서도 이른바 ‘춘추필법’에 입각하여 엄정하게 역사를 기록해야 하는 것이다. 비록 불알은 까였으되 털붓은 꼿꼿하게 세웠느니, 아!!! 생각할 수록 드높아라!!! 사관의 매운 얼이여!
<비잔틴제국 비사>에 나오는 몇 구절을 옮겨본다. “그들을 보면 인간의 몸을 뒤집어쓴 악마 둘이서 머리를 맞대고 어떻게 하면 가장 빠르고 쉽게 인류를 멸절시킬 수 있는지 궁리하는 모습이 연상되곤 했다.”(p142), “유스티니아누스가 인간이 아니라 인간의 형상을 한 악마였다는 사실은 그가 인류에게 초래한 재앙의 규모만 봐도 알 수 있다.”(p175), “이제부터 황제가 어떻게 제국의 토지 소유자들을 파멸시켰는지 설명하겠다.”(p201), “황제가 병사들의 등골을 빨아먹었던 사실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p206), “이제부터 유스티니아누스가 자신의 신하들을 약탈한 방법에 대해 좀 더 서술하겠다.”(p211), “이제부터 나는 황제가 얼마나 거짓말쟁이이자 위선자였는지 보여주겠다.”(p236)
위키백과에 나오는 프로코피우스에 대한 설명이다. “프로코피우스(생몰년 미상)는 6세기의 동로마 제국의 역사가. 팔레스티나의 카이사레이아 출신. 유스티니아누스 1세 때에 활약했던 장군 벨리사리우스의 비서관 겸 법률 고문으로서 페르시아 전쟁, 동고트 왕국 정복전 등에 종군하여 기록을 남겼다. 저작으로 《전사(戰史)》(전8권), 유스티니아누스의 건축 업적을 찬양한 《건축에 대하여》, 동로마 제국의 은밀한 뒷이야기가 담긴 《비사(秘史)》가 남아있다. 그의 문체는 고대 그리스의 사가 헤로도투스나 투키디데스의 것을 이어받아, 동로마 제국 초기의 역사서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