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학교에 점차로 보급되어가는 중인 디지털교과서의 모습이어야 한다. 또는, 아마도 디지털 방식의 텍스트가 넘쳐남에도 종이책의 장래가 확고한 까닭이, 디지털 텍스트와 아날로그 텍스트가 본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임을 설명하는 부분인지도 모르겠다.

거대 출판사 하퍼콜린스HarperCollins의 독립 출판브랜드인 하퍼스튜디오 HarperStudio의 부사장은 "전자책은 단지 전자 형태로 전달되는 종이책이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우리는 이 매체를 이용하고 그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언가 역동적인 것을 창조할 필요가 있다. 링크와 이면의 이야기 그리고 내레이션, 동영상, 대화를 원한다"는 것이다. 책에 링크 기능을 투입하고 또 인터넷과 연결하자마자, 즉 이를 확장하고 향상시켜 역동적으로 만들자마자 책을 읽는 경험은 물론이고 책 자체를 변화시키게 된다. 온라인 신문이 신문이 아닌 것처럼 전자책은 더 이상 책이 아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1-08-27 06: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민주 사회가 결정적 분기점을 맞이할 때, 어떤 의사 결정을 할 것인가가 중요하지 않은가.

‘결정적 분기점’, p1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마항쟁은 소득의 분배로 인한 권력의 분배를 목적하였던 민중의 목소리인가?

권력이 군부 엘리트에게 집중된 채로 십팔년동안 장기집권하였던 박정희 정권의 독재는, 실은 우리가 경제발전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착시일 수도 있음을 반증하는 것인가?

김재규 부장이 박정희 전 대통령을 시해(암살)하지 않았다면, 과연 정권은 어떻게 되었을까? 계속 독재정권을 이어갔다면, 위 저자의 견해에 따르자면, 우리의 경제제도는 경제 발전을 추동한 것이 아니라는 귀결에 도달할 것이고, 독재정권이 민중의 혁명으로 (이승만 독재처럼) 막을 내렸다면, 저자에 따르자면, 경제 발전은 독재정권이 제 무덤을 판 격이 되어버리는데...

경제 제도의 포용성과 정치 제도의 포용성이 서로 길항관계에 있다는 저자의 견해는, 비록 흘러갔지만 우리의 현대사에 시사하는 점이 있을 듯 싶기도 하다.

경제 발전의 밑거름이 되는 인센티브를 마련해주는 경제제도는 동시에 소득과 권력을 고루 분배하게 되고 착취를 일삼는 독재자 등 정치권력을 가진 엘리트층은 오히려 형편이 나빠지게 된다. p130-1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정한 입시 논의에서 시험 제도의 공정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본질을 회피하는 태도이다. 사회를 변혁할 혁신가를 찾고 싶다면, 시험 제도 논의에 모든 것을 얽매지 말고, 어릴 때부터 싹이 꺾여버린채 꽃 피울 엄두도 못내고 있는 가능성을 어떻게든 찾아내어 꽃 피우도록 돕는 논의부터 시작해야 한다.

“어떤 사람들은 자신이 3루에서 태어났으면서 3루타를 친 줄 알고 살아간다.”

시험 제도에 대한 논의는 홈에 들어오는 결과의 공정함만을 논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공정한 입시 논의는 교육의 메스로만 처치할 수 없다. 교육 현장의 키워드가 협력과 융합이라면, 이제 입시 논의 또한 교육의 관점으로만 바라볼 수는 없는 노릇이다.

세 살 무렵에 이미 저소득층 아동이 유복한 가정환경에서 자란 아이들보다 3,000만 개나 더 적은 수의 단어를 들으면서 성장한다. 이런 불이익을 겪으면서 자란 저소득층 아이들은 이런 경험이 장차 그들의 학업성취도에 계속 영향을 미친다. (4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분명한 것은, 더 자유롭게 하기 위해 강제하는 방법에는 너도나도 공감하고 수긍하겠지만, 그 원인이자 대전제인 마땅히 해야할 일에 대한 일반의지에의 합의에는 모두가 눈을 감은 채 각자도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만약 누군가가 법을 준수하는 것이 공동체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면 그 사람은 ‘자유롭도록 강제되어야 forced to be free’한다... (중략) 자신이 속한 사회에 정말 이익이 되는 것을 반대한 사람은 스스로는 자유롭게 선택하고 있다고 느낄 수 있지만, 일반의지를 따르고 순응하지 않았다면 진정으로 자유롭지 않을 거라는 취지이다. (중략)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분별하지 못하는 사람은 그것을 따르도록 강제됨으로써 더 자유로워질 것이다. (149-15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