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시간과 살면서 느끼는 시간 사이의 관계는 모래시계를 보면 알 수 있다. 미래의 시간은 흘러내리면서 점점 짧아진다. 과거의 시간은 점점 불어나고 쌓인다. 미래는 비단 인간의 삶뿐만 아니라 모든 영역에서 셀 수 없는 기회를 제공하는 듯하다. 현재에서 실현되어 과거로 바뀌는 개별적인 미래의 시간 속에 많은 것들이 제외된다. (p5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주주의의 이상은 현실 속에서 지속적으로 가다듬어진다. 프랑스 같은 나라가 백 년 가까이 가져왔던 민주주의의 실현. 1980년의 아픔과 1987년의 저항으로 이루었다고 생각한 민주주의가 실은, 그저 첫 걸음을 떼었을 뿐이라는 사실을 이제서야 절감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사람이 나면서부터 시민이 될 수는 없다. 시민은 하늘에서 뚝 떨어지지 않는다. 시민은 ‘형성되고 ‘교육‘되어야 한다. 돌과 화염병으로 민주주의를 일구어 냈던 사람들조차 저절로 민주주의를 제대로 가꾸고 운영할 수 있는 좋은 시민이 되지 못했음을 우리는 지난 몇십 년 동안 너무도 생생하게 확인해 왔다. (1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 우리의 직관 너머 물리학의 눈으로 본 우주의 시간
카를로 로벨리 지음, 이중원 옮김 / 쌤앤파커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계는 시간을 나타내는 도구가 아니다. 그러나 우리가 시계로 시간을 인지한다고 느끼는 것은, 우리 모두가 관계맺을 수 있는 공간을 공유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리가 공유하는 것은 함께 경험하는 ‘사건’이며 그것이 우리의 시간이 마치 공통의 것으로 보이도록 만드는 것이 아닌가라고 이해해 보았다.

결국, 시간은 각자의 것이며, 고유한 것이다.

이 책은 참 인상적이었다. 그동안 문과 출신으로 이런저런 과학 교양서적을 읽으며 군데군데 알아왔던 물리학 지식이, ‘시간’이라는 키워드로 확 묶이는 놀라운 경험을 이 책은 하게 해 주었다. (아직도 문과 수준일 뿐이지만)

무엇을 착각했는지 조금은 알게 되었다. 우리는 같은 공간에서 같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그저 같은 사건을 경험하고 있을 뿐인데 그것을 공간과 시간이라는 개념으로 범주화하고 있었던 듯 싶다. 이제는 알겠다. 모두의 시간은 다르다. 확실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ubito ergo cogito.

스스로를 주체라고 생각한 경험은 일차적인 경험이 아니다. 수많은 생각들에 기초한 복합적인 문화의 산물이다. (이 경험이 어떤 의미가 있다고 인정한다면) 나 자신이 아닌, 내 주위의 세상을 보는 것이다. (중략) 우리는 우리와 닮은 존재들이 우리 자신에 대해 가졌던 생각의 반영이다. p183-1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을 사건과 과정의 총체라고 생각하는 것이 세상을 가장 잘 포착하고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다. 상대성이론과 양립할 수 있는 방법은 이것뿐이다. 세상은 사물들이 아닌 사건들의 총체이다. (p1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