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엔 강화도에 다녀왔다. 바람은 많이 불어 춥고 미세먼지로 공기는 너무 안 좋았던 날.
강화도에 북스테이, 북카페를 함께하는 책방이 많아졌다. 바다가 보이는 뷰에.
가보고 싶었던 곳은 <책방 시점>이었는데, 시점은 3월 한 달 방학이라는 공지가 있어,
마니산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책방 국자와주걱>이라는 재밌는 이름의 책방이 있어 가보았다.
시골동네 가운데 있는 시골 집이다. 북스테이도 같이 하고 있다.
입구는 이렇다. 시골 외갓집에 가는 기분?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321/pimg_7257841294229493.jpg)
마당 한쪽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321/pimg_7257841294229491.jpg)
사진을 찍으니 냐옹 냐옹하고 인사하더니 내려와서 몸을 부빈다. 인사성 밝은 냥이.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321/pimg_7257841294229492.jpg)
책은 이렇게 2권, 아니 이슬람 학교는 2권짜리니 총 3권.
<이슬람 학교>는 국내 유일무이한 이슬람 지역 전문가 이희수 교수의 책.
마침 이번달 <정희진의 공부>에서 정윤수님이 언급하신 이희수 교수라 궁금했는데
(그렇다고 이 책을 내가 고른 것은 아님. 아니 2권 중에서 뭐 살까 물어보길래 이걸로 골라주긴 했네)
강의를 책으로 엮었고, 사진도 있고 글자도 커서 청소년부터 읽을 수 있는 수준인 것 같다.
<가난한 아이들은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 제목만으로도 끌리는, 많은 분들이 읽은(산?) 그 책.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321/pimg_7257841294229494.jpg)
<영장류,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에 막혀서 일주일 째 헤매고 있다. 어렵다는 말만 계속하게 되는 책.
인상 깊고 핵심을 찌르는 몇몇 쉬운 문장들이 너무 좋지만, 거기까지 가는 길이 어떻게 연결되는 거야?
왜 이런 얘길 하는 거야? 문장 하나에 너무 많은 걸 담고 있다. 어지럽다.
암튼 주말에 친구네 놀러가기 전에 끝내는 것을 목표로 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