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블로 세르비뉴와 라파엘 스테방스는 《붕괴의 사회정치학》에서, 이대로 가면 금융적 붕괴, 경제적 붕괴, 정치적 붕괴 그리고 사회적 붕괴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본다. 정부가 당신을 돌봐줄 것이라는 희망이사라지고 동료가 당신을 돌봐줄 것이라는 믿음마저 사라진 다음에는, ‘인류의 선함‘에 대한 믿음마저 잃게 되는 문화적 붕괴까지 일어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이다. - P83

이보 모슬리는 《민중의 이름으로》(녹색평론사, 2022)에서 대의민주주의란 민중이 아니라 중간계급이 권력을 잡고 민중의 이름으로 통치하는 위선적인 체제라고 대놓고 비판한다. 서구의 근대사회가 이런 대의민주주의를 다른 나라들에 적극적으로 수출했고, 그렇게 수출된 선거대의제는 사회의 분열을 초래하고 신흥 엘리트들에게 권력을 몰아줬으며 민중의 경제적 독립성을 빼앗고 시민사회의 황폐화를 불러왔다. 대의민주주의를 외친 정치인들은 민중이 아니라 은행, 기업들과 손을 잡았고, "인간의 삶과 행위의 전 영역에서 기업구조가 공민적 구조를 대체해왔고, 전 세계가 부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개조되고 있다"(188쪽). 그 결과 "부유층과 빈곤층 사이에 거대한 골이 생겨나고 있다"(54쪽). 대의민주주의는 대안이 아니라 파국의 원인이다.
이런 설명에는 충분히 공감이 되지만 모슬리의 설명을 한국식으로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한국에서는 영국처럼 중간계급이 젠트리에 의한 정부를 세우기 위해 싸우지 않았고, 식민지와 한국전쟁, 군사독재를 거치면서 대의민주주의조차 전면에 부각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해방 이후 미군정을 통해 선거대의제가 도입된 것은 맞지만 식민지와 전쟁을 거치면서 중간계급이라 불릴 수 있는 계층이 거의 사라졌다. 그리고 강력한 반공 이데올로기는 선거조차 제대로 치르지 못하게 했고 진보정당, 진보정치의 등장을 봉쇄했다. 이런 상황에서는 선거 이상을 주장하거나 민중이 직접 권력을 쥐자고 주장하기 어려웠다. - P9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