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깃발 아래에서 - 아나키즘과 반식민주의적 상상력
베네딕트 앤더슨 지음, 서지원 옮김 / 길(도서출판)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벤 앤더슨의 <세 깃발 아래에서: 아나키즘과 반식민주의적 상상력>(2009, 서지원 역, 도서출판 길)을 읽는다. 원출판년도가 2005. 70세의 저자가 이렇게 '발랄한' 상상력의 책을 쓸 수 있다는게 놀라울 뿐이다. 근대 필리핀의 아버지라 불리는 호세 리잘H. Lizal의 소설들을 다루면서, 단순히 텍스트 분석에 그치지 않고 리잘의 삶의 궤적을 추적해가면서, 당시의 필리핀, 그리고 본국 스페인, 19세기 후반 비스마르크와 노벨(‘폭탄이자 동시에 미끄러지듯 소설일 수도 있는), 나아가 국제적 아나키스트 운동을 하나의 성좌(星座; constellation)로 그려내고 있다. 앤더슨 자신이 말하고 있는 것처럼, 허먼 멜빌이라면 정치적 천문학이라고 불렀을 하나의 실험, 혹은 벤야민이라면 성좌적 글쓰기의 한 실험을 저자는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리잘의 소설에서 그가 읽어냈던 '조마조마한'(anxious), '떨리는'(trembling), '잡아매어지지 않은'(unmoored) '기대하고 있는'(unexpected)을 모두 포함하는 글리샤’(Gelisha), 즉 도래의 예감은 책을 덮은 지금도, 마치 고토다마’(言霊)가 뇌리를 떠다니는 듯한 여운으로 남아 있다.  

 

2. 이 느낌을 어떻게 나의 언어로 다시 표현해낼 수 있을까. 리살의 첫 소설인 <놀리 메 탕헤레>의 앞부분에 등장하는 날카로운 구절 el deminio de las comparaciones(굳이 번역한다면 비교의 유령일까)로부터 시작해볼까. 앤더슨은 이 구절을 잘못 번역해서, 1998년에 출간한 책의 제목-The Spectre of Comparisons-으로 썼다고 고백한다. 그런데 무엇을 잘못 번역했다는 말일까. 이 책의 역자는 spectre(무시무시한) 유령 정도로 번역 가능하지만, 리살이 사용한 스페인어 단어 'demonio'는 귀찮은 꼬마 악마라는 느낌에 가깝다고 역주를 달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앤더슨은 어휘를 잘못 선택해서 번역했다는 변명을 하고 있다는 것인가? 어쩌면 앤더슨의 후반부 논의에서 가장 중요한 중심축일 수 있는 spectre라는 개념이 오역의 산물이라는 것인가

cf. Spectre라는 용어를 썼던 앤더슨의 의도에 대해, 역자는 진짜로 오역이라기보다는 공산당선언을 염두에 두다 보니 다소 의미를 늘여붙이게 되었다는 정도가 아닐까 라는 의견을 제시해주었다.. (왜냐하면) 비교의 경험에는 무시무시한 느낌은 없으니까..

 

2..1 자, 다시 앤더슨의 텍스트로 돌아가보자.

리살은 이 구절을 젊은 이바라가 풀 향기 가득한 마닐라의 식물원을 다시 보며, 도착적이게도(perversely) 유럽에서 지낼 때 종종 찾았던 대식물원들을 마음의 눈으로 어쩔 수 없이 상상하는 스스로를 발견한다는 기괴한 경험을 묘사할 때 사용한다. 그것은 마치 그가 더 이상 그의 앞에 놓인 것을 단순히 친숙한 대상으로만 바라볼 수 없게 된 것과 같았다. 그러나 이 악마(demonio)는 작가 스스로에게도 작용한다. 파리와 베를린에서 '저편' 마닐라에 있는 젊은이, '저편'... 즉 베를린과 파리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젊은이에 대해 쓰고 있는 작가에게도....

2.2. 사실, 리살의 이러한 의식(정치적 상상)이야말로, 전작 The Spectre of Comparisons에서 앤더슨이 담아내려고 했던 하나의 입장이었다. 그리고 서술은 리살의 의미심장한 이 구절의 출처를 찾으려는 여정으로 옮겨진다. 말라르메의 산문시 제목인 유추의 악마Le Demon de l'analogie에서 애드거 앨런 포의 도착자의 꼬마 도깨비The Imp of the Perverse(<그로테스크하고 아라베스크한 이야기들>, 1839)-말라르메의 산문시 제목은 포의 작품 도착자의 꼬마 도깨비를 보들레르가 프랑스어로 번역한 “Le Demon de la perversitè”의 창조적 오마주라는 것이 밝혀졌다-. 포의 신경심리학적인 꼬마 도깨비로부터 보들레르의 유사-신학적인 악마와 말라르메의 시적 영감의 신비스러운 원천으로까지 이어지는 상상력의 연쇄(물론 이 역시 상당한 오독의 산물이지만), 어떻게 당시 유럽에 있던 식민지 필리핀의 청년 리살의 정치적 상상력을 연결할 수 있을까. 앤더슨의 문제의식은 여기에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상상의 나래를 펼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으로, 앤더슨은 말라르메와 보들레르, 그리고 포가 한꺼번에 언급되는 조리-칼 위스망스의 소설 <거꾸로>를 자신의 쇠해 가는 기억속에서 찾아낸다. 위스망스의 소설을 리살이 읽었을까. 하지만 <거꾸로>와 <엘 필리부스테리스모>의 연결지점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cf. 라살의 독창성은 그가 읽은 것을 바꾸어 쓰고, 엮고, 변형하는 방식에 있었다. 이 장의 분석이 정확하다면, 그의 소설에서 포-보들레르-말라르메의 꼬마 도깨비-악마(imp-demon)가 식민지 하 지식인에 붙어 따라다니는 비교의 악마가 되고, 뒤마의 만연체 대화는 자유로의 길에 대한 절박한 논쟁으로 다시 만들어졌으며 파리의 사회구조에 대한 외젠 쉬의 파노라마는 식민지 사회의 병폐에 대한 개관적인 진단으로 다시 그려졌다는 것 등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후 젊은 필리핀 반식민주의 민족주의자들의 정치적 상상력을 자극하도록 위스망스의 아방가르드 미학을 차용하고 급진적으로 변형시킨 방식보다 라살의 창조성을 더 잘 드러내는 것은 없다(98-99).

 

물론 이렇게 유사성들을 찾아내어 연결선을 그려내는 작업을 대학원생이 시도했다면 어김없이 <낙제>를 당했을 것이다. 논리적으로 부정합하고, <과학적>으로도 적절하지 못하다. 그러나 이런 과감한 선긋기를 통해 만들어지는 세계의 풍요로움을 부정할 수는 없다. “대가니까 이렇게도 쓰는 거여라고 내뱉어버리기엔, 그러한 서술이 갖는 힘이 너무나 큰 것이다.

 

3. 일단 제 3장의 결론부를 인용하면서 잠시 호흡을 멈춘다. <사건>이 가지는 역동성, 혁명성, 혹은 도래coming라고 부를 수도 있을 형체를 알 수 없는 그 무엇인가에 대한 아름다운 주석이다.

이제 우리는 이 책의 예시적인 성격과 리살이 이 책에 붙인 '필리핀 소설'이라는 부제, 양자 모두의 중요성을 이해하기에 더 나은 위치에 있는 것 같다. 예시는 대부분 스페인에서 필리핀으로 교묘하게 대량으로 옮겨 온 실제의 사건들, 경험들, 감정들로부터 만들어진 것으로, 임박한 미래의 그림자로 나타난다. 또한 이 임박함은 이 책이 나올 때 아직 권력을 잡고 있었던 웨일레르 총독의 시대에 단단히 뿌리박힘으로써 확실해진다. 그러나 시모운은 완전히 다른 문제이다. 그는 <놀리 메 탕헤레>를 비롯한 전작들에 근원을 둔 인물이며, 스페인으로부터가 아니라 상상된 쿠바로부터, 그리고 지구를 도는 방랑으로부터 소설에 입장한다. 그는 이스키에르도가 한때 인터내셔널이라는 감추어진 마키아벨리적 네트워크를 공상했던 것에 대한 거울, 필리핀에 출몰하게 될 '세계적 유령'(espectro mundai)의 일종이다. 마치 그의 민족처럼, 아직 현실에는 없지만, 이미 상상되었으므로, 앞으로 오게 될..
...
1945년 말, 일본 점령이 끝난 지 겨우 두 달 뒤, 그러나 네덜란드 식민 지배가 아직 복귀하지 않았던 순간에, 인도네시아의 젊은 초대 총리 수탄 샤흐리르는 막 혁명을 시작하려는 겨레의 상황을 '겔리사'(gelisah)라는 단어로 묘사했다. 이 말은 영어로 쉽게 번역할 수 있는 말이 아니다. '조마조마한'(anxious), '떨리는'(trembling), '잡아매어지지않은'(unmoored) '기대하고 있는'(unexpected)을 포함하는 의미의 범위를 상상해야 한다. 이것이 <엘 필리부스테리스모>의 느낌이다. 무엇인가 오고 있다는..

 

cf. gelisah의 인도네시아 원발음이 글리샤에 더 가깝다고 지적해주신 분도 역자이다.. 이 자리를 빌어 거듭 고마움의 마음을 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