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몽의 알을 찾아라 ㅣ 책읽는 가족 51
백은영 지음, 김재홍 그림 / 푸른책들 / 2007년 2월
평점 :
요즘 TV에서 한꺼번에 역사극이 방영되고 있다. 특히 우리가 설화로만 접근했던 주몽 설화를 근거로한 드라마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런데 이번에는 책까지 주몽이다. 확실히 역사가 주목을 받고 있는 것만은 맞나 보다. 한때 역사가 과목에서 거의 등한시 되었던 것을 생각하면 지금의 열기는 대단한 변화다. 여하튼 이런 변화가 반갑기 그지없다.
대개의 사람들은 무슨무슨 상을 탔다고 하면 일단 믿는다.(그 대개의 사람들에는 물론 나도 포함된다.) 그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기에... 이 책도 푸른문학상을 받은 작품이란다. 그렇다면 너무 교훈적이거나 뻔한 이야기는 아닐까 살짝 의심을 하며 책을 펼쳤다. 그런데 갑자기 배경이 졸본이다. 어~~ 이것은 중국인데... 더구나 주몽이 처음 자리 잡았던 곳... 그리고 바로 다음 장소는 서울과 평양으로 이동한다. 현재 나와있는 동화책이 대부분 우리 나라를 무대로 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시작부터 스케일이 크다. 거기다가 평양까지 무대를 확장하다니... 그러면 완전 허구적인 소설이겠구나를 눈치챌 수 있다. 그러기에 마음의 문을 활짝 열기가 쉬웠을 것이다.
이야기는 그렇게 한동안 세 군데를 번갈아가며 보여준다. 한쪽에서만 길게 서술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장소에서 빠른 호흡으로 전개되기 때문에 긴장을 늦출 수가 없다. 평양과 서울에 사는 같은 또래의 아이들이 같은 시간대에 겪는 이야기를 이렇게 장소를 이동해가며 서술하고 있어서 마치 한 편의 영화를 보는 것 같다. 어느 곳이나 아이들의 생활이란 비슷하며 그들끼리는 아무리 단절되어 있었더라도 금방 무언가 통하는 게 있나보다. 남한의 현우와 수한이 북한의 금옥이와 룡길이는 서로 사이가 별로 좋지 않았다가도 공통의 관심사로 인해 친해지고 또 다른 체제에 살고 있어도 금방 친해지고 진작부터 알고 있었던 것처럼 느끼니 말이다.
서로가 발견한 청동거울로 상대방을 비춰보며 이야기하고 책도 주고 받으며 그렇게 같은 민족임을 깨닫는다. 무엇보다 역사적 사실을 토론하는 장면을 보며 이게 바로 같은 민족이기에 가능한 일이라는 것을 실감했다. 6.15 남북 정상 회담 때 통역없이 회담을 하던 장면이 떠올랐다. 그리고 사당을 지키던 고구려의 후손이면서도 그 사당에 있는 보물을 훔치려는 검은 늑대가 어쩐지 읽는 내내 밉지가 않았다. 직감적으로 검은 늑대가 결국은 다같은 고구려인의 후손임을 인정하리라는 것을 알았기 때문일 것이다.
외국인들이 현우네 집에 있는 청동거울을 찾아서 서울로 왔을 때 그림은... 한성 백제의 유적 바로 몽촌 토성이었다. 이 그림을 보자 큰아이도 바로 알아차린다. 지난 여름에 갔다 왔었기에 기억에 남았나 보다. 하지만 통사적 지식이 없는 아이에게는 이야기 속에 들어 있는 역사적 이야기가 조금 어려웠는지 그 부분을 잘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한다. 이야기 자체를 이해하지 못했다기 보다 연관성을 찾지 못했다는 표현이 맞을 것이다.
동굴에서 탈출하는 마지막 부분은 이 책에서 가장 숨막히는 부분이다. 마치 한편의 영화를 보듯 머릿속에서 영상이 흘러갔다. 끝까지 긴장감을 늦출 수 없게 만드는... 아니 마지막에서 더 긴장하게 만드는 힘을 가졌다. 매 방학이면 아이들을 위한 판타지 영화가 상영되곤 한다. 그 대부분은 모두 외국을 배경으로 하는 외국의 작품들이다. 그렇다면 이 책을 영화로 만든다면 어떨까? 애니메이션이어도 좋고 사람이 출현하는 영화여도 좋다. 책을 읽는 내내 <나니아 연대기>가 연상되면서 이 책도 그와 같은 영화로 만들어지면 얼마나 좋을까를 내내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