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상집에 모인 손님들은 서로 잘 알지 못한다. 때로 손님들은 옆자리에 앉아 인사를 나누면서 서로를 알게 된다. 그처럼 글쓰기를 통해 각기 떨어져 있던 체험들은 한자리에 모이고 관계를 갖게 된다. 글 쓰는 사람은 고인故人일까, 상주喪主일까.(171쪽)
글에 하나의 주제와 관련한 체험들을 모이게 하라.
2.
이삿짐센터 직원이 혼자서 피아노를 들어 올리는 것은 피아노의 구조와 무게중심 등을 잘 알기 때문이다. 즉 그는 급소를 아는 것이다. 그 급소가 글쓰기에서는 ‘디테일’이다. 정확히 말해 글쓰기는 수많은 디테일 가운데 바로 급소가 되는 디테일을 찾아내는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그 어떤 디테일도 급소 아닌 것이 없다는 사실을 밝혀내는 것이다.(175쪽)
똑같은 상황일지라도 디테일 묘사에 따라 느낌이 다르다. 디테일로 작품을 살려 내는 글을 써라.
3.
밭을 갈 때는 멀리 보이는 큰 나무를 향해 나아간다고 한다. 똑바로 갈기 위해 발밑을 살피다 보면 밭고랑은 삐뚤빼뚤해진다. 옷감을 끊을 때도 천은 보지 말고 맞은편에서 잡고 있는 사람을 보아야 한다. 글쓰기 또한 눈길을 멀리 두고 나아가야지, 그렇지 않으면 지리멸렬해지기 십상이다.(172쪽)
어릴 때 하던 잡기 놀이. 반드시 한 발을 고정시켜야 하지, 두 발 다 떨어지면 무효가 된다. 컴퍼스로 원을 그릴 때도 마찬가지다. 침 끝이 움직이면 원은 망가지게 마련이다. 글쓰기 또한 아무리 먼 데로 나아가더라도 애초의 중심에서 벗어나면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끝말잇기 놀이’ '수정 모드 타이핑‘ ’다른 샘 파기‘가 된다.(176쪽)
처음부터 끝까지 주제의 끈을 놓치지 말라.
4.
글쓰기의 마지막은 「따오기」 노래처럼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아야 한다. 마지막에 독자를 빈손으로 돌아가게 함으로써 다시 찾아오게 만들어야 한다. 초콜릿을 선물할 때 껍질을 까서 주는 것은 예의가 아니며, 아무도 이미 씹어 놓은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을 것이다. 선물은 포장을 벗기기 직전까지이다.(180쪽)
다 알려 주지 말고 의미가 감추어 있게 써라.
5.
스케이팅하는 동작은 글쓰기의 모습을 정확히 보여 준다. 스케이트를 타고 나아갈 때는 한 다리를 삐딱하게 뻗고, 다음 다리도 삐딱하게 뻗어 주어야 한다. (바로 앞으로 내밀어서는 나아갈 수가 없다.) 그리고 멈추어야 할 때는 다리를 완전히 반대쪽으로 꺾어 더 나아가지 못하게 한다. 아름다운 글쓰기의 끝맺음 방식도 이와 같지 않을까.(180쪽)
예상 밖의 결말을 보여 줘라.
이성복 저, <고백의 형식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