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론>을 읽다가 책 뒤쪽에 있는 ‘옮긴이의 주’에서 이런 글을 봤다.

 

 

 

 

 

밀은 <자서전>에서 글 쓰는 사람이 명심해야 할 말을 남긴 바 있다. “신문이나 잡지에 글을 써서 생활하는 것은 문학이나 사상 방면에서 무엇인가 할 수 있는 사람에게는 부적합하다. 생활 방도가 불확실할 때는 양심을 가지고 글을 쓰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동시에 생활 수단으로 쓰는 글은 생명이 없을 뿐만 아니라 필자 또한 최선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괜찮은 사상을 담은 글은 쓰는 데 너무 오래 걸리고, 또 쓴다 해도 세상에 너무 늦게 알려지기 때문에 생활 수단으로서는 도움이 안 된다. 그렇기 때문에 글을 써서 생활을 도모하는 사람은 부득불 시시하거나 대중 영합적인 글을 만들어내기가 쉽다.”

 

- 존 스튜어트 밀 저, <자유론>, 251쪽.

 

 

 

 

이 글을 읽으니 무엇에 구애되지 않고 자유롭게 글을 쓰는 게 바람직하다는 걸 알겠다.

 

 

 

그러나 나는 아무래도 읽는 이들을 의식하며 글을 쓸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읽는 이들이 좋아할 만한 글을 쓰고 싶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깊이’와 ‘재미’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다 잡은 글을 쓰고 싶기 때문이다. ‘지적인 성찰’(깊이)을 ‘유쾌하게’(재미) 풀어낸 글이 될 것 같다. 물론 이런 글을 쓰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어려워서 노력해 볼 만한 일이다. 노력할 때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정신을 갖게 된다. 이 도전 정신이 나의 능력의 한계를 뛰어넘게 해 줄 것이라 믿는다. 그래서 도전 정신을 사랑한다.

 

 

 

그래도 존 스튜어트 밀의 말을 기억해 두고 싶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3-06-26 01: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게 또 딜레마이긴 하지만, 새겨둘 말입니다. 좋은 인용글 고마워요, 페크님.

페크pek0501 2013-06-26 15:13   좋아요 0 | URL
책에서 좋은 글을 보면 남들에게도 보이고 싶은 심리가 있어요.
좋은 영화 보면 친구에게 보라고 권하고 싶듯이 말이죠.

인생 자체가 딜레마의 연속인 거죠.
지금 걸레질을 할까 말까 고민 중이에요.
이것도 딜레마예요. 내 몸이 피곤하지만 실내 청결, 내 몸이 편하지만 실내 청결하지 않음...
어느 쪽을 택해도 만족스럽지 않군요. ㅋㅋ
좋은 하루 보내세요.

세실 2013-06-30 11: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을 쓰는 철학이 담겨 있네요.
하루키 보면 깊이와 재미 두가지를 넘나 들던데~~ 하긴 하루키의 글은 소설과 수필이라 밀이 보기엔 가벼워 보일수도 있겠어요.

페크pek0501 2013-07-02 13:35   좋아요 0 | URL
세실 님. 안녕하세요?
전 하루키 책을 네 권 읽었는데, 썩 마음에 든 건 없었어요.
그런데 이번에 나온 신작은 구입하려는 사람들의 열기 때문에
기대가 되네요.

가벼워 보이는 글이 사실은 우리 인생을 말하는 글 같아요.
우리의 인생이란 게 얼마나 가볍게 생각되는지요.ㅋㅋ
또 봐요. 반가웠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