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칼럼> 환상이 없다면 사랑도 없다


서로 사랑하던 연인들이 이별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자신이 변했든지, 상대가 변했든지, 둘 중 하나일 가능성이 크다. 그런데 헤어지는 이유 중 특히 상대에게 실망하게 되어 헤어지는 경우엔, 누구나 상대가 변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렇다면 상대는 왜 변했을까. 이에 대한 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상대가 변한 게 아니라 변한 것처럼 보인 것일 뿐이다. 자신이 처음부터 상대에 대해 잘못 알았기 때문.


예를 들면, 단점이 많은 사람을 장점이 많은 사람으로 둔갑시켜 상상했던 자신에게 잘못이 있다는 얘기다. 연인들 간에 “그가(그녀가) 내게 그럴 줄 몰랐어.”라고 말하는 것도 자신이 상대에 대해 잘못 알고 있었음을 드러내는 말이다. 좋아하는 사람에게 자신의 단점을 빨리 드러내는 사람은 드물어서 시간이 지나야만 밝혀질 이런 오해는 충분히 일어날 만하다. 여기서 기억해 둘 것은 사람은 사고방식이든 성격이든 습관이든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또 이런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만약 나를 사랑한다고 믿었던 상대가 변심을 했다고 판단된다면 반대로 자신에게 문제가 있지 않나 생각해 봐야 한다. 나의 어떤 점에 실망이 되어 내게 싫증이 났는지 모를 일이기 때문이다. 이 역시 상대가 나에 대해 엉뚱한 환상을 가졌을 확률이 높다. 연인들 사이에서 “이제 너를 만나는 게 하나도 즐겁지 않아.”라는 말이 나왔다면, 그 말이 진심인 경우에 한하여 그 연애는 끝장이 난 것이다. 더 이상 상대가 아름다워 보이지 않는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알랭 드 보통의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에서 주인공 남자는 “클로이가(그녀가) 아름답기 때문에 내가 그녀를 사랑할까, 아니면 내가 그녀를 사랑하기 때문에 그녀가 아름다울까?”하고 자문한다. 또 주인공은 “그녀가 아름답기 때문에 나를 행복하게 해주었던 것일까, 아니면 그녀가 나를 행복하게 해주기 때문에 아름다웠던 것일까? 그 답은 자기 확인적인 순환논법이었다. 나는 클로이가 나를 행복하게 해줄 때 클로이가 아름답다고 생각했으며, 클로이는 아름답기 때문에 나를 행복하게 해 주었다.”라고 생각하였다.


마음속에서 사랑이란 감정이 싹트고 자라나는 것은 인간에게 상상력의 힘이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눈에 어느 한 부분이라도 매력적으로 보이는 이성을 발견하게 되면, 상상력은 그 상대에게 전체적으로 아름다운 옷을 입히게 된다. 그래서 그리 아름답지 않은 사람을 아름답게 만들고 평범한 사람을 비범한 사람으로 만들어 놓기도 한다. 여기서 상상력의 다른 이름은 ‘환상’이다. 환상은 사랑을 낳는다.


사랑은 자신이 마음먹은 대로 생기는 감정이 아니라 의도하지 않은, 자신도 모르게 생겨나는 감정이다. 사랑한 것도, 변심한 것도 무죄라고 말할 수 있는 건 사람의 마음이 마음대로 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사랑의 감정이 환상이 만들어 낸 것이라면, 탓할 것은 사람 자체가 아니라 그 사람의 환상이겠다.


자신이 누구를 사랑하는지조차 몰랐던 스칼렛


마가렛 미첼의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라는 소설이 있다. 이 소설을 원작으로 영화가 만들어져 이 작품은 영화로 더 유명하다. 스칼렛이라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여 남북전쟁 직전의 시대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주위의 많은 남성들은 스칼렛의 매력에 반해 사귀고 싶어 했으나 애슐리만은 그녀에게 무관심하였는데, 그런 무관심한 애슐리에게 그녀는 끌리고 만다. 그리고 애슐리에 대한 사랑을 마음속으로 키워 가며 그 역시도 자신을 사랑하고 있는 것이라고 착각한다. 이미 멜라니의 남편이 되어버린 애슐리에게 미련을 버리지 못한 스칼렛은 레트와 결혼한 뒤에도 애슐리에 대한 사랑을 버리지 못한다. 오히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기에 안타까운 마음이 사랑을 더 키웠는지 모른다.


그러다가 애슐리의 아내 멜라니가 병을 얻어 죽게 되는 병석에서 애슐리는 멜라니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하는데, 그것을 들은 스칼렛은 그때서야 애슐리가 사랑하는 사람은 자신이 아니라 그의 아내 멜라니였음을 알게 되고 충격을 받는다. 그러고 나서 지난 일들을 생각해 보니 자신이 사랑한 사람도 애슐리가 아니라 자신의 남편인 레트였다는 것을 깨닫는다.


스칼렛은 애슐리도 자신을 사랑할 거라는 착각을 하며 그에 대한 사랑을 품은 것이다. 그녀는 애슐리가 자신을 사랑하고 있음을 자신만이 알고 있다며 나름대로 애슐리를 이해하고 있다고 여겼으나, 그 이해는 결국 오해에 불과하다는 게 밝혀진 셈이다. 결국 자신이 누굴 진정으로 사랑하는지 모른 채 사랑한 것을 보면, 사랑이란 비현실적 환상의 산물이라는 것을 스칼렛이 입증한 것이다.


누군지도 모르고 사랑에 빠졌던 소녀


은희경의 소설 <새의 선물>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진다. 여주인공인 소녀는 ‘허석’이란 이름의 젊은 남자를 예전에 염소 옆에서 하모니카를 불던 사람으로 알고 짝사랑하게 된다. 하모니카를 불던 그 모습을 그리며 그를 그리워했던 것이다. 그런데 어이없게도 자신이 잘못 알았음을 깨닫게 되는 일이 생긴다. 소녀가 짝사랑에 빠졌던 그 모습은 ‘허석’이란 멋있는 남자가 아니었고 초라한 낯선 아저씨였던 것. 어느 날 그 낯선 아저씨가 염소 옆에서 하모니카를 부는 걸 보게 되었던 것.


“그날 하모니카를 불던 사람도 바로 이 사람이었다. 허석이 아니었다. 하모니카와 염소의 실루엣은 허석의 것이 아니라 바로 이 낯선 남자의 것이었다. 내 사랑이 이 이미지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나는 마땅히 허석이 아닌 이 더러운 낯빛의 구부정한 아저씨를 사랑했어야 하는 것이었다. 그런 거였다.” - <새의 선물> 중에서.


자신을 사랑에 빠지게 만들었던 그 이미지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사람의 것이었다면 그 소녀가 진정으로 사랑한 건 무엇이었을까. 역시 환상의 산물이 사랑이었다.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는 사람을 사랑한 엘라


토마스 하디의 <환상을 쫓는 여인>이란 소설에서는 기혼 여성인 엘라가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는 시인 트리위를 사랑하게 되는데, 그것 역시 환상이 빚어내는 사랑이었다. "그녀는 최근에 나온 트리위의 시집을 외울 정도로 반복해 읽었고 그의 시를 능가하는 시를 한 번 써 보려고 많은 시간을 허비하였다." 그녀의 남편은 총기 제조업을 하고 있었는데, “그녀는 남편이 만들어 내는 물건들이 생명을 빼앗기 위한 도구라는 것에 생각이 미칠 때마다 남편의 직업에 대해 더 이상 상세히 알고 싶지 않았다.” 그녀의 시각에선 본 남편은 그저 천박하면서도 물질주의적인 사람이었다. 그녀는 환상을 주지 못하는 그런 남편과 살면서 환상을 주는 한 시인을 마음속으로 사랑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 세 소설작품의 공통점은 환상이 사랑을 만들어 냈다는 점이다. 아마 인간에게 환상이란 상상력이 없다면 사랑에 빠지는 일도 없지 않을까.


....................................................................................................................


이 글과 관련한 책들


알랭 드 보통 저,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마가렛 미첼 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은희경 저, <새의 선물>

토마스 하디 저, <환상을 쫓는 여인>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02-18 05: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페크pek0501 2010-02-18 11:14   좋아요 0 | URL
급하지 않습니다. 이 달 안으로 해 주시면 됩니다. 제가 20권의 목록을 미메일로 보내 드릴게요. 저도 오늘 도서관에 가고 바쁜 일 있어서 내일이나 모레에 이메일 보내놓고 댓글로 알릴게요. 감사합니다.

페크pek0501 2010-02-19 09: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제 무슨 일이 있었나요? 어제 하루의 방문자 수가 126명이나 되네요. 어떤 경로로 들어오시는지, 궁금해지네요. 여기 들어오시는 모든 분들, 좋은 하루 보내세요.

순오기 2010-02-19 15: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거 블로거뉴스 특종 당첨이네요, 축하해요!
5권 추천하는 건 일도 아닌데요.^^ 다만 20권과 중복되지 않는 책을 추천하려고 알려달라 했지요. 어쨋든 조만간 페이퍼로 작성해서 올릴게요.

페크pek0501 2010-02-19 15:40   좋아요 0 | URL
매우, 퍽, 무척, 무지, 감사 드립니다. 저도 제 글이 당선된 것 지금 알았어요. 책을 구입할 게 있어 홈페이지 들어가서 책을 신청했는데 적립금이 들어와 있잖아요.ㅋ 여러 가지로 감사 드립니다. 아, 전 왜 이리 인복이 많은지요. ㅋㅋ

gimssim 2010-02-20 16: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환상이 없으면 사랑도 없다'는 말씀에 공감^^
찬찬히 풀어서 쓰신 글 잘읽었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페크pek0501 2010-02-20 10:35   좋아요 0 | URL
방금 중전님의 블로그에 댓글 남기고 왔어요. 반갑습니다. 글이 잔잔한 호수 같더군요. 좋은 글 많이 쓰세요.

페크pek0501 2010-02-20 1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족간에 사소한 신경전이 벌어지는 중전님의 식탁풍경을 그린 글이 재밌어서? 제가 쓴 댓글을 여기에 옮깁니다.

"행복은 멀리서 보는 숲처럼 아름다운 것"- 쇼펜하우어의 <사랑은 없다>236쪽.

정말 아름다운 한 폭의 그림입니다. 그 식탁퐁경을 저는 멀리서 보니까요. 그런데 숲 속에 있는 사람은 행복을 감지하지 못하지요. 왜냐하면 숲 속에 있는 사람은 숲 안에 있는 벌레들과 쓰레기가 먼저 눈에 띄거든요. 좋은 방법이 있지요. 그 식탁퐁경을 먼훗날 회상하는 거지요. 그러면 거리가 생겨서 먼 숲을 보는 사람이 되어 멀리 보는 숲처럼 그 식탁풍경도 아름답게 보이고 행복하게 생각될 것입니다. 아, 재밌는 글입니다.

바밤바 2010-02-21 01: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글이네요. '타인의 욕망'과 자신의 욕망을 구별하는 것만큼 제 자신의 욕망을 살피는 일도 중요한 것 같아요. 그래서 '그리스인 조르바'같은 사람이 4대 성인보다 위대할 수 있다고 봅니다. 욕망의 층위가 달랐을 수도 있지만 4대 성인은 조르바의 넉살 앞에선 초라해 진다고 봐요.^^

페크pek0501 2010-02-21 21:47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사실 칼럼을 쓸 적마다 '이렇게 써도 말 되나, 너무 나의 주관적인 생각의 글이 아닌가'하고 자신이 없을 때가 있어요. 제 나름대로 알고 있는 사랑과 연애에 대한 글을 쓰는 것인데,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을 수도 있으니까요. 늘 오늘은 여기까지 배웠다, 내일은 더 배워야지, 하는 자세로 새로운 책을 찾아 읽습니다. '아는 만큼 글을 쓴다'는 것을 잘 아니까요.

바밤바님 덕분에 제 닉네임을 페크로 하겠습니다. 님이 처음 사용하신 이름인데 마음에 듭니다. 이것도 감사...

페크pek0501 2010-02-22 12: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느 지인 덕분에 이 글의 어느 부분을 방금 고쳤습니다. 첫 문단의 끝문장에서 '상대에 대해 오해하며 인지했기 때문'이라는 부분입니다. '인지'라는 말은 심리학 용어라서 어색하니 다른 자연스러운 말로 바꾸는 게 좋겠단 말씀에 따라 '상대에 대해 잘못 알았기 때문'이라고 고쳤습니다. 글이란 참, 어렵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 배웠으니 즐거운 날입니다.

지적해 주신 그 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참고로, 예전에 문학강의에서 되도록 한자어보다 순수 우리말을 쓰는 게 더 좋다고 배웠는데, 글을 쓸 때 잊을 때가 있어요. 예를 들면 각성-보다는 깨닫다-라는 낱말을 쓰는 게 더 좋다는 것이지요. 이런 차원에서도 보면 '인지'라는 말도 순수 우리말로 풀어 쓰는 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