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 와이너, <소크라테스 익스프레스>
‘에피쿠로스처럼 즐기는 법(185~214)’에서 발췌함.
에피쿠로스는 쾌락을 대부분의 사람들과는 다르게 규정했다. 우리는 존재의 차원에서, 심리학자들이 말하는 긍정 정서positive affect의 차원에서 쾌락을 떠올린다. 반면 에피쿠로스는 결핍과 부재의 측면에서 쾌락을 규정했다. 그리스인은 이러한 상태를 아타락시아ataraxia라고 불렀다. 말 그대로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우리를 만족으로 이끄는 것은 어떤 것의 존재가 아니라 바로 불안의 부재다. 쾌락은 고통의 반대말이 아니라 고통의 부재를 뜻한다. (197쪽)
⇨ 나는 큰 욕심을 갖지 않는다. 무탈하게 지낼 수만 있다면 포도 한 접시로 즐거울 수 있고 커피 한 잔으로 즐거울 수 있다. 큰 병을 앓고 난 사람이라면 이에 동의할 것이다. 고통은 작은 것에서도 행복을 느끼게 만드니까. 힘들고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 본 사람이라면 행복하기 위해서는 고통이 부재한 상태가 되는 것이 첫 번째 요건임을 알게 된다. 이는 고통의 가치를 말해 주기도 한다. 고통을 겪어 본 자만이 삶의 진정한 행복을 알 수 있다.
난 ‘행복’의 가까운 친구가 ‘감사’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감사를 느낄 줄 알면 행복할 수 있고, 감사를 느낄 줄 모르면 행복하기 어렵다고 보기 때문이다.
에피쿠로스는 “우리가 가진 것이 아니라 우리가 즐기는 것이 우리를 풍요롭게 한다”며, 올바른 마음가짐만 갖춘다면 아주 적은 양의 치즈만으로도 소박한 식사를 성대한 만찬으로 바꿀 수 있다고 말한다.(202쪽)
⇨ 예를 들면 자기가 가진 고급 핸드백이나 비싼 보석이 우리를 풍요롭게 하는 게 아니라 즐길 줄 아는 마음이 우리를 풍요롭게 한다는 것이다. 사실 고급 핸드백이나 비싼 보석으로 며칠간 즐거울 수는 있으나 일년 내내 즐거울 수는 없다.
나는 커피 한 잔 들고 책을 보거나 글을 쓸 때 행복하다고 느낀다. 이런 행복은 매일 느끼는 것도 가능한데, 이런 행복을 느끼기 위해서는 행복을 방해하는 요인이 없어야 하므로 다음과 같은 요건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건강한 몸과 마음, 경제적 안정, 가족 간의 화목, 큰 고민거리 없음 등등이다. 예컨대 부부 싸움을 하고 난 뒤 커피 한 잔으로 행복을 느끼기란 쉽지 않다.
“고통 없는 순수한 쾌락은 극히 드물어요.” 톰이 말한다. “그래서 에피쿠로스의 철학이 저한테 딱 맞는 거예요. 전 엄청 우유부단한 사람이거든요”(210쪽)
⇨ 예를 들어 즐거운 여행을 하고 싶다면 피로를 감수해야 한다. 피로를 감수하기 싫다면 즐거운 여행을 할 수 없다. 등산도 마찬가지다.
에피쿠로스는 우정이 인생의 커다란 쾌락 중 하나라고 보았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축복받은 삶에 이바지하는 여러 가지 중에 우정만큼 중요하고 유익한 것은 없다.” 그리고 지금의 톰과 나처럼 친구는 식사의 필수 요소라고 덧붙였다. 친구 없이 먹고 마시는 것은 “사자와 늑대처럼 게걸스레 먹는 것”과 같다. (중략) 전체적으로 보면 우정은 고통을 완화하고 쾌락을 증진한다. 우정과 관련된 고통은 우정이 주는 쾌락으로 상쇄되고도 남는다.(213쪽)
⇨ 내가 갱년기 증상이 나타날 때 이런 나를 가장 잘 이해해 준 것은 남편도 아니고 아이들도 아니고 내 또래의 친구들이었다. ‘갱년기 여성’이라는 공통점이 있어서다. 친구가 없는 사람이 가장 외롭다고 하는 이유를 잘 알 수 있는 경험이었다.
....................
저자 :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강연가, 철학적 여행가, 칼럼니스트. 미국. 1963년생. 글이 재밌고 사색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