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미세먼지가 심한 날이라서 공기가 맑았던 날에 찍은 하늘 사진을 올린다.
2018년 11월 6일
제목 : 닮고 싶은 사람
돌아가신 아버지는 겁이 없으셨다. 아버지에 비해 어머니는 겁이 많으시다. 예를 들면 이렇게 설명할 수 있다. 사랑니 문제로 치과를 찾았다가 의사가 사랑니를 빼야 한다고 하면 두 사람의 대응이 다르다. 아버지는 의사에게 사랑니 빼는 정도는 하나도 겁이 안 난다는 목소리로 이왕 온 김에 두 개를 빼라고 하시고 어머니는 의사에게 걱정과 불안이 섞인 목소리로 안 빼면 안 되느냐고 물으신다.
어머니는 내가 아버지를 많이 닮았다고 하신다. 생각이나 행동이 비슷하다고 하신다. 그러나 병원에서 겁을 먹는 건 아무래도 어머니를 닮은 것 같다. 병원에서 어떤 검사를 하고 검사 결과를 기다리는 상황에 처할 때가 있는데 이럴 때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며 내 표정은 경직되고 만다.
그래서인지 겁이 없는 사람이 나는 좋다. ‘이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야.’라고 말하는 사람이 나는 좋다. 심각함을 가벼이 넘길 수 있는 사람을 닮고 싶다. 심각한 문제가 있을 때 심각한 생각에 잠긴다고 그 문제가 해결되는 건 아니고 마음이 괴롭기만 할 뿐이기 때문이다. 지나고 나면 아무것도 아닌 일로 찜찜한 기분으로 살았던 경험이 내게 얼마나 많았던지.
그저께 친척 결혼식이 있어서 가게 되었는데 거기서 사촌 여동생(고모의 딸)을 만났다. 나보다 일곱 살이 아래다. 몇 년 전 유방암 판정을 받고 암 치료로 고생을 했던 동생이었기에 남다른 관심을 갖고 반갑게 손을 잡았다. 예전에 통통했던 몸이 말라 있어서 걱정되었지만 동생이 기분 상할까 봐 살이 빠진 이유를 물을 수 없었다. 그런데 고모의 말씀을 듣고 깜짝 놀랐다. 동생이 다이어트도 하고 운동도 해서 일부러 살을 뺐다는 게 아닌가.
다행이다 싶었다. 몸매 관리를 하고 산다는 것은 유방암을 이겨 냈다는 뜻이니까. 날씬한 몸매를 갖게 된 것에 응원을 하고 싶어졌다. 그런데 내 입에선 엉뚱한 말이 나갔다. 살을 너무 빼면 안 된다고 운동량을 줄이라고 말한 것이다. 살을 많이 빼다가 다른 병을 얻을까 걱정되어서다. 어쨌든 병을 이겨 낸 동생은 표정이 밝아 보기 좋았다.
앞으로 겁쟁이인 내가 어떤 병이 생기든 본받을 사람이 생겨서 좋다. 그 사촌 동생의 정신을 닮고 싶어서 좋다. 닮고 싶은 사람이 가까이에 있어서 더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