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로 간 토리 단비어린이 그림책
홍민정 지음, 황여진 그림 / 단비어린이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TV프로그램 《TV동물농장》을 좋아하는 애청자로 프로그램을 보면서 자주 웃기도 하고 화내기도 하고 때로는 가슴 뭉클해지기도 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내용 중에는 유기동물에 대한 사연들이 많이 등장해왔습니다. 버려졌지만 가족을 하염없이 기다리며 그 자리를 떠나지 않는 동물들을 보면 안타깝기만 하지요. 다행이 새 가족을 만나는 동물들의 이야기에는 제 일처럼 기뻤답니다. 하지만 여전히 새 가족을 만나지 못한 채 길 위를 떠돌는 유기동물들이 많습니다. 그래도 연예인이나 유명인사들이 유기동물에 대한 관심과 봉사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 이슈가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유기동물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사실이 희망을 엿보게 하지요. 그 중에 문재인 대통령이 입양한 세계 최초 유기견 출신 퍼스트 도그인 토리는 사람들에게 유기동물에 대해, 입양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했어요. 단비어린이 《청와대로 간 토리》는 토리가 입양되기까지의 과정을 담아내고 있답니다.

 

 

《청와대로 간 토리》는 토리를 1인칭으로 해서 진행되는 이야기입니다. 토리는 떠돌이 개였어요. 길에서 잠을 깨고 길에서 떨어진 음식을 주워 먹고 길에 누워 잠을 잤지요. 작은 작은 강아지였던 토리는 길에서 마주치는 모든 것이 무서웠어요. 그러던 어느 날 토리는 우연히 집에 사는 개를 보게 되었어요. 토리보다 작은 개는 무척 용감해보였어요. 토리는 집에서 살면 자신도 용감해질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하며 날마다 집에서 사는 꿈을 꾸게 되었답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떠돌이 개를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집에서 사는 건 어려운 일이었고 토리는 점점 겁쟁이가 되어 갔답니다. 그러다 누군가 토리를 번쩍 들어 올리더니 집으로 가자고 했지요. 토리는 차갑고 좁은 곳에 갇혀 갑갑하고 무서웠지만 이제 집에서 살게 되었다는 생각에 상관없었습니다.

 

 

 

하지만 그 집은 토리가 꿈꾸던 집이 아니었어요. 떠돌이 개로 살 때보다 조금도 나아진 게 없었지요. 아니 오히려 더 나빠졌답니다. 짧은 줄에 묶여 있었으니까요. 토리를 데려온 사람은 정말 무서운 사람이었어요. 화가 나면 밥그릇을 발로 차고 그래도 화가 안 풀리면 토리를 발로 찼지요. 몸 여기저기 상처가 생겼지만 토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아파도 참는 것 뿐이었습니다. 함께 있던 친구는 너무 많이 맞아서 끙끙 앓다가 죽고 말았어요. 잠결에 부스럭하는 소리, 사람들의 말소리를 들려 사람들을 쫓아내려고 몸을 일으켰지만 토리는 다리에 힘이 없어서 자꾸만 주저앉았지요.

 

 

 

토리가 눈을 떴을 때 낯선 사람들이 보고 있었어요. 사람들은 먹을 것을 주고 깨끗하게 씻겨 주었고 가끔 산책도 시켜주었어요. 그리고 처음으로 '토리'라는 멋진 이름을 지어주었지요. 그곳은 언제나 사람들과 친구들로 북적거렸어요. 날마다 새로운 친구들이 들어왔고, 새로 온 친구 중에 멀쩡한 녀석은 하나도 없었지요. 겉에 보이는 상처 말고도 마음속에 상처 하나씩을 꽁꽁 숨기고 있었답니다. 가끔은 낯선 사람들과 그곳을 떠나는 친구들도 있었지만 사람들은 토리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답니다. 검고 못생긴 토리에게 가족은 쉽게 생기지 않았지만 토리는 기다리고 기다리고 또 기다렸어요.

 

 

 

그러던 어느 날, 대통령 후보 한 분이 찾아왔고 그 사람은 토리를 퍼스트 도그로 입양하겠다고 말했어요. 그리고 드디어 토리에게 새 가족이 생겼지요. 토리는 마루 형이랑 장난치고 노는 게 중요한 일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제 토리에게는 새로운 꿈이생겼어요. 친구들이 자신처럼 좋은 가족을 만나는 꿈이지요.

 

 

이 그림책에서 우리는 많은 것을 볼 수 있었어요. 떠돌이 개의 혹독한 삶, 학대를 받으며 사는 개들의 고통스러운 삶 등 안타까운 현실을 생생하게 보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토리를 구해준 보호소 사람들, 그리고 토리를 입양해준 문재인 대통령님을 보면서 우리는 희망도 엿보았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 1000만, 한 해 버려지는 동물 8만, 보호소에서 새 가족을 기다리는 반려동물이 2만이라고 합니다. 모든 유기동물이 새 가족을 만날 수는 없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져주면 그 숫자가 점점 줄어들 수 있지 않을까요? 그림책이지만 많은 생각과 넓은 사고를 전해주는 내용이었어요. 덕분에 추운 겨울 마음이 따뜻해졌네요.

 

(이미지출처: '청와대로 간 토리'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