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사회 - 타인의 공간에서 통제되는 행동과 언어들
김민섭 지음 / 와이즈베리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방대학 시간강사가 대리기사가 되었다. 대학의 '유령'이 밤거리를 달리는 '몸'으로 변한 것이다. 그러나 주인 옆에서 주인 자리에 앉는 몸은 행위가 통제되고 말이 통제되며 사유가 통제된다. 핸들과 액셀과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손과 발이 남아 있지만 그조차 내비게이션의 규율 아래 있다. 그리하여 《대리사회》는 정확히 은유한다. 우리 모두 스스로 주체라고 믿지만 실은 '거대한 타인의 운전석'에 앉아 있는 대리인간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_추천의 말 中

=

=

《대리사회》라는 책 제목을 보고 가장 먼저 떠오른 것은 우리나라의 시국이었다. 나라를 통치해야 할 대통령이 자신의 의지가 아닌 다른 사람의 말에 의해 그저 대리인으로서 국정을 운영해왔다는 사실 때문이리라. 국민들은 자신들의 의지로 촛불집회에 참석했고 대통령의 탄핵을 요구하고 있지만 한 국회의원은 종북세력에 의한 선동이라 말하고 있는데, 그 속내를 들여다보자면 그 역시도 대리라고 말하고 있는 것과 다를바 없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자리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리인간으로 살아가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는 지방대학 시간강사에서 대리운전기사가 된 저자 김민섭을 통해 《대리사회》의 단면을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다. 스스로 주체적인 사람으로서 살아가고 있다고 믿고 있는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사실이 무엇인가를 알아야만 한다. 그래야 우리가 스스로 하고 있는 촛불시위에 대해 누군가로부터 대리인간이라는 어처구니없는 말을 듣지 않을테니.

=

저자 김민섭은 대학.대학원을 떠나본 일이 없는 현대소설 연구자로 대학을 세상의 전부로 살았다. 그런 그는 어느 날 '나는 대학에서 노동자로 존재하고 있는가'하는 의문이 들었고 노동자로도, 학생으로도, 나아가 사회인으로도,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쉽게 규정할 수 없었기에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라는 글을 쓰기 시작했다. '지방시'를 쓰며 스스로의 삶을 쉽게 규정할 수 없었기에 낙담하고 깊이 절망하면서 대학의 맨얼굴과 마주하게 되면서 그는 대학을 나와 맥도날드에서 일하게 된다. 그는 맥도날드에서 '노동자'로, 그리고 '사회인'으로서의 대우받았음을 느낀다. 그는 대학에서 조교와 시간강사로 존재했던 8년을 '유령의 시간'으로 규정지었으며 그것은 '대리의 시간'이었다고 말한다. 온전한 자신으로서 존재하지 못하고 타인의 욕망을 위해 보낸 시간이었기 때문이란다. 그런 그가 대리운전 기사를 하면서 이 사회가 거대한 타인의 운전석이며, 모든 개인은 타인에게 순응을 강요하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

이 사회는 거대한 타인의 운전석이 된다. 모든 개인은 주체와 피주체의 자리를 오가면서 주체가 되기를 욕망하고, 타인에게 순응을 강요한다. 그런데 그것은 사회가 개인에게 보내는 욕망과 그대로 일치한다. 특히 국가는 순응하는 몸을 가진 국민을 만들어내려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그 어떤 비합리와 비상식과 마주하더라도 그에 대해 사유하지 않는 국민이 늘어나기를 바란다. 대신 순응하지 않는 이를 감시하고 격리해 나가면서 자신들의 욕망을 대리할 '대리국민'을 양산해 낸다. 그러한 국민/개인들은 국가/조직이 얼마든지 간편하게 통치/통제할 수 있다. (본문 35,36p)

=

=

이에 저자는 1부 통제되는 감각들 / 2부 대리인간이 되는 가족들 / 3부 주체가 될 수 없는 대리노동 / 총 3부로 나누어 "내가/우리가 이 사회에서 주체성을 가진 온전한 나로서 존재하고 있음을 증명할 수 있는가"하는 질문에 답을 찾아간다. 그에게 대리운전은 '대리의 시간'을 몸의 언어로 확인하는 과정이었고 타인의 공간에 침투해 대리사회의 일원으로 살아왔음을 확인하는 시간이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타인의 운전석이라는 가장 좁은 공간에서 바라본 우리 사회의 모습 그대를 보았고, 그곳에서 '행위''말''사유'라는 세 가지 통제를 경험했으며 이를 통해 우리를 통제해 온 대리사회의 괴물인 이 사회가 만들어낸 견고한 시스템과 마주해야하며 온전한 나로서 사유하고, 또 주변의 또 다른 나를 주체로서 일으켜세워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

=

사회는 우리를 '대리인간'으로 만든다. 나아가 소중한 사람들에게 희생을 강요하게 한다. 그러한 대리사회의 욕망은 결국 모두를 집어 삼키고, 주체로서의 자리 역시 빼앗는다. 하지만 그러한 고난의 시간을 추억으로 남겨서는 안된다. (본문 138p)

=

대리운전의 경험은 대리사회, 대리인간으로 사유를 넓혀갔고 온전한 나로서의 존재를 생각케 한다. 폭넓은 사유를 주고 있지만 저자는 대리운전을 하면서 겪은 에피소드를 통해 웃음을 건네기도 한다. 곳곳에 수록한 웃음코드를 통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지만 대리인간으로서의 의미를 생각해보게 되는 책이기도 하다. 한 국회의원은 우리 국민모두가 대리인간으로서 광장에 나가고 있는 듯 이야기하고 있지만 우리는 온전한 나로서의 존재로 대리사회를 벗어나고자 하고 있다. 지금 우리는 온전한 나로서 촛불을 들고 있는 것이다. 강요된 타인의 욕망이 아닌 자신의 욕망으로 앞으로 자신의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우리는 아이러니하게도 지금 이 현 상황에서 엿볼 수 있을 듯 싶다.

=

우리 모두는 경계에 있다. 다만, 한 걸음만 물러설 용기를 가지면 된다. 대리인간으로 밀려날 것인지, 스스로 물러서고 다시 나아오는 주체가 될 것인지, 우리는 선택해야 한다. (본문 252p)

p.s 저자의 의도와 달리 현 시국으로 인해 서평이 좀 감정적으로 쓰여진 것에 대해 양해바랍니다

(이미지출처: '대리사회' 본문, 표지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