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사람의 집 - 조선 최고 지식인.권력자 11인의 집과 사람 이야기 사람을 향한 인문학
박광희 지음 / 가치창조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혹 오래된 집을 보게 되면 그 집은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을까? 라는 궁금증이 인다. 우리나라 굴곡진 역사를 묵묵히 이겨내고 그 자리를 지키고 있었으며, 이런저런 사연을 가진 사람들이 오갔을 집에는 땅의 역사와 사람의 역사를 모두 품고 있을 게다.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이 집 역시, 우리 가족의 역사를 고스란히 품고 있으리라. 집은 그저 우리가 쉬는 곳이라는 단순한 목적만으로는 설명하기에는 우리의 많은 것을 품어내고 있다.

 

집의 역사는 곧 땅과 사람의 역사다.

집의 역사는 땅의 역사이고, 땅의 역사는 곧 사람의 역사다.

집은 곧 그 속에서 산 사람의 삶의 철학과 원형질이 그대로 녹아 있는 공간이다. (작가의 말 中)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옛집과 그 집 안의 인간의 역사를 통해 세월이 지나도 변치 않는 참가치의 모습을 들여다보고 싶었다고 말한다. 그리하여 이 책에서는 조선 시대의 최고의 지식인과 권력자 11인-조선 황실과 덕혜옹주의 마지막 비운의 공간인 창덕궁 낙선재, 흥선대원군의 운현궁, 김정희의 추사고택, 정약용의 여유당과 다산초당, 기대승과 애일당, 이내번과 선교장, 양산보와 소쇄원, 산천재, 명재 윤증 고택, 청빈과 검박(儉朴)이 빛나는 역설의 미학을 보여주는 맹사성과 맹씨행단, 섬김과 낮춤의 미학 정여창 고택-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순종비 윤황후, 덕혜옹주, 영왕비 이방자와 그 아들 이구 등으로 주인이 바뀌면서 지난 164년간 조선왕조의 몰락 등 영욕의 아픈 생채기를 쓸어안고 있는 비운의 역사 공간으로 남아있는 창덕궁 낙선재는 단청하지 않은 소박함, 후원은 한국식 조경의 백미를 보여주고 있다. 흥선대원군의 실각과 조선왕조의 멸망, 일제의 침탈과 8.15 해방, 6.25전쟁을 겪으면서 파란 많은 세월을 보내면서 해방 후 이승만 정권에 의해 왕실 재산 모두가 국가 소유로 귀속되는 상황 속에서도 개인 재산으로 살아남아 지난달의 용욕을 곱씹고 있는 운현궁, 영조 임금 명으로 53칸으로 지어 기둥의 주련에선 예향이 물씬 풍기는 김정희의 추사고택, 조선 최고 지성의 극적인 삶의 흔적들이 담인 다산초당, '애일당'이란 말은 글자 뜻 그대로 '오늘을 아끼고 사랑하라'는 말로 고봉의 핵심 가르침이 그대로 녹아든 것으로 일제시대 때 일본인 건축 기술자들이 지은 건물이어서 일본의 건축양식과 한옥 양식이 혼재되어 있다. 고봉의 13세손인 기세훈 고택 애일당엔 기세훈 선생이 반석을 마련한 고봉학술원이 차려져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 조선 사대부가 주택의 한 전형을 보여 주는 양식을 갖추고 있는 선교장 건물은 통일감, 균형미 같은 짜임새는 없는 듯이 보이지만, 자유스러운 너그러움과 인간 생활의 활달함이 가득 차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퇴계 이황과 함께 조선 성리학의 양대 산맥이요, 실천실학의 비조로 일컬어지는 남명 조식이 '경의의 도'를 세우고 후진 양성에 힘썼던 마지막 11년간의 말년 행적을 고스란히 살필 수 있는 산천재, 중요민속자료 제190호로 지정돼 있는 명재고택, 청빈을 몸으로 실천하며 올곧게 80 평생을 살다 간 고불 맹사성이 직접 은행나무 두 그루루 심고 축대와 단을 쌓은 다음 후학들에게 강학을 한 '맹씨행단', 조선 시대 영남의 대표적인 문벌의 하나로 꼽혔던 하동 정씨 일두 정여창의 옛집은 고택을 찾는 민박 손님들에게 방을 내어주기도 한단다.

 

여기에 소개된 옛사람의 집들은 시대의 모순을 온몸으로 싸안으며 서슬 퍼런 열린 정신의 날을 벼리던 당대 최고 지성이자 선각들의 살모가 정신을 들여다볼 수 있는 공간이지만, 민초들보다 조금 더 가지고 누렸던 사회적 지배 계층의 공간이라는 한계가 있음은 커다란 아쉬움이다. (작가의 말 中)

 

 

그 속에서 산 사람의 삶의 철학과 원형질이 그대로 녹아 있는 공간인 집, 이 책은 이렇게 조선 최고 지식인 권력자 11인의 삶과 영욕의 역사를 조명하고 있다. 집을 들여다봄으로써 시대의 모순과 지성인들의 삶과 정신 그리고 역사의 슬픔과 영욕까지도 살펴보면서 '집'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보게 한다. 간혹 고택을 바라볼 때 고풍스럽다는 단순한 느낌만 갖곤 했는데, 이 책을 통해서 이제눈 그 집이 가지고 있을 사람의 역사와 땅의 역사를 같이 바라볼 수 있는 눈을 갖게 된 듯 싶다. 결혼하고 처음 살았던 집 근처를 지날 때마다 느끼게 되는 감정들은 바로 그 집이 가지고 있는 내 가족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생겨나는 것임을 비로서 깨닫게 된다. 사람과 땅의 역사를 스토리가 집이 가지고 있는 느낌을 최대한 살려낸 사진을 통해서 더욱 진하게 다가오는 듯 싶다.

 

(이미지출처: '옛 사람의 집'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