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표 첫 종이접기 - 엄마와 함께 하는 뇌 균형 발달 놀이 교육
뇌 균형 발달 연구회 지음, 이인화 그림 / 로그인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처럼 장난감이나 게임이 많이 없던 저의 어린시절에 종이는 가장 좋은 장난감이었습니다. 그림을 그려 오리고 붙히면서 인형 놀이를 하기도 했고, 배를 접어 대야에 띄워 누가누가 오래 떠있나 내기를 하기도 하고 비행기를 접어 멀리멀리 날리기 놀이를 했고, 딱지를 접어 딱지치기 놀이를 하기도 했지요. 종이만으로도 정말 신 나는 놀이가 가능했던 때였습니다. 반면 요즘은 셀 수 없이 많은 장난감과 각종 프로그램이 방영되는 텔레비젼, 다양한 게임 등 아이들을 사로잡는 장난감과 놀이가 너무도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왜 종이접기에 관심을 갖는 걸까요? 이는 종이접기가 아이들의 지능 발달에 아주 유익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런 탓에 저희 집에도 종이접기 관련 서적이 두 권 있음에도 불구하고 또다른 구성의 종이접기 책에 꾸준히 관심을 갖게 되나 봅니다.

 

 

 

종이접기, 왜 좋을까요?

● 종이는 유아가 가장 손쉽고 안전하게 가지고 놀 수 있는 장난감이에요.

● 종이접기는 유아의 지능 발달에 아주 유익해요.

● 종이접기는 다각형, 길이와 각의 등분, 대칭, 비교 등 기하학의 기초 개념이 녹아 있는 흥미로운 놀이예요.

● 종이접기는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놀이예요.

● 종이접기는 논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훈련이에요. (표지 中)

 

 

 

이번에 로그인 <<엄마표 첫 종이접기>>를 접하게 되면서 종이접기의 다양한 장점을 더 많이 알게 되었어요. 눈-손 협응 과정을 통해 좌뇌와 우뇌가 균형 있게 발달하고, 색종이를 통해 다양한 도형의 모양을 익히고 성질을 이해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기하학의 기초를 쌓을 수 있으며, 그럴 듯한 작품을 만드는 경험을 통해 자신감이 생기고,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하는 지식을 쌓을 수 있다고 하니 종이접기는 우리 아이들에게 재미와 교육적인 면에서 최고의 놀이가 아닐까 싶네요. 이 책의 구성은 여타의 종이접기와는 좀 차별화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종이접기 책은 모양을 만드는 순서를 그림을 통해 배열하는 구성이지만 로그인의 <<엄마표 첫 종이접기>>는 동식물과 물체의 생생한 모습을 사진으로 수록함으로써 관찰하고 특징을 포착해서 종이로 표현하는 간접 체험으로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학습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 모양마다 [부모님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아이가 익혀야 할 중요한 개념과 대화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해주고 있습니다.

 

 

 

 

 

책을 읽을 수 없는 유아를 위한 첫 종이접기 책으로는 정말 최고의 구성이 아닐까 싶네요. 특히 수박, 버스, 피라미드와 같은 종이접기는 한 번만 접어서 만들 수 있으며, 돛단배, 나비, 뾰족한 지붕의 집은 두 번만 접어서 완성되는 종이접기로 첫 종이접기에 적합하지요. 이러한 종이접기를 통해 아이들의 자신감을 쑥쑥 높아질 것입니다. 이렇게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가는 구성이 아이들의 자신감, 지능 발달을 점차적으로 쑥쑥 향상시켜줄 것입니다. 부록으로 다양한 크기의 원형 색종이나 그림이 그려진 문양의 색종이 그리고 스티커가 수록되어 있어서 아이들의 작품을 더욱 실남나게 만들어 줄거에요. 칭찬스티커도 수록되어 있으니 아이들이 종이접기를 하나씩 완성할 때마다 붙여 준다면 아이들의 재미는 더욱 커지겠지요?

 

 

생생한 사진을 보며 자연 관찰을 하고, 엄마와 이야기하며 하는 종이접기를 통해 좌뇌와 우뇌가 함께 쑥쑥! 재미도 두 배로 쑥쑥! 올라가는 엄마와 함께 하는 뇌 균형 발달 놀이 교육 <<엄마표 첫 종이접기>>는 이렇듯 종이접기를 시작하는 첫 유아들에게 적합한 놀라운 구성을 갖추고 있답니다. 어떤 종이접기 책으로 시작할지 고민하는 엄마들에게 정말 강추 또 강추하고 싶네요. 아이를 위한 최적의 종이접기 책이라는 것을 실감할 수 있을 거에요. 아이에게 최고의 선물이 되어줄 것입니다.

 

(이미지출처: '엄마표 첫 종이접기'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