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히 프롬이 들려주는 사랑 이야기 철학자가 들려주는 철학 이야기 41
오채환 지음 / 자음과모음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음과모음 <철학자가 들려주는 철학 이야기> 41번째 이야기는 불안감, 수치심, 죄책감 등을 극복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노력은 바로 사랑이며, 그런 사랑을 위해서는 '사랑의 기술'이 필요하다고 설파한 철학자 에리히 프롬의 '사랑'이야기를 담은 <<에리히 프롬이 들려주는 사랑 이야기>>입니다. 사람은 사랑으로 산다는 이야기가 있지요. 가족간의 사랑, 친구간의 사랑, 이성간의 사랑 등 우리는 사랑을 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랑은 감성적이기 때문에 사랑을 제대로 알기는 어렵습니다. 이에 사회심리학자이자 사상가인 에리히 프롬은 <사랑의 기술>이라는 책을 통해 사랑에 관한 많은 것을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에리히 프롬은 사랑도 '사랑의 기술'을 배워야 한다고 했는데요, 그 오묘한 의미에 대해 이 책의 주인공 은진이와 은혜 자매를 통해 에리히 프롬이 말하는 사랑에 관해 동화를 통해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동생 은진이의 첫사랑 지훈이에 대해 쓴 일기를 훔쳐보며 키득키득 웃는 은혜 역시 버스에서 우연히 본 좋아하는 가수를 쏙 빼닮은 남학생에게 첫눈에 반했습니다. 명찰에 '이승한'이라고 적혀 있던 남학생의 이름은 잊으려고 해도 잊혀지지 않았는데, 한참 그 남학생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자니 그 남학생은 친구와 사랑에 대한 책을 쓴 프롬인가 뭔가 하는 사람 얘기를 하고 있었습니다. 은혜는 혹시 나중에라도 그 남학생과 얘기할 기회가 생기면 프롬에 대해 아는 척하기 위해 그 책을 열심히 읽었어요. 그 책에는 '사랑은 기술이다, 배워야 하는 거다'라는 내용만 있었지요. 그 책에는 사랑이라는 감정의 유효 기간은 길어야 2년이라고 했는데, 생각해보니 양가의 엄청난 반대를 무릅쓰고 결혼한 부모님도 다투고 며칠씩 말씀도 나누지 않는 걸 보면 엄마 아빠의 사랑이 식은 건 아닌지 걱정이 됩니다. 은혜의 이런 이야기에 사랑을 왜 배워야하는지 궁금한 은혜는 엄마에게 물어보기로 합니다. 헌데 엄마는 엄마와 멀어지면서 사랑이라는 기술을 터득하게 된다는 아리송한 말씀을 하시네요.

 

"멀어진다는 것은, 그만큼 은혜가 어른이 되어 간다는 뜻이란다.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이 점점 많아지고, 그러면서 자신이 다른 사람이나 주위 환경과 거리를 두고 있는 걸 느끼는 거지. 그게 바로 외로움이야. 외로움을 느끼면 다시 누군가와 혹은 무엇인가와 합치고 싶은 마음이 들겠지? 어릴 때 경험한 그런 어머니의 사랑, 한 몸이 되었던 경험을, 사랑의 기술이 대신하는 거야. 어머니 배 속에 있었던 것처럼 하나가 될 수는 없지만, 다른 사람을 위하고, 생각하고, 같이 시간을 보내면서 조금 더 가까워지는 거지." (본문 33,34p)

 

은진이는 다른 일은 하나도 안 하고 오로지 자식을 하루 일과를 체크하는 친구 윤정이의 엄마의 잘못된 사랑과 관심을 통해 사랑할 줄 모르는 어머니의 증상인 이기심을 보게 되고, 은혜는 짝사랑 지훈이를 따라 교회에 갔다가 아버지의 사랑, 어머니의 사랑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이렇게 두 자매는 사랑의 여러 가지 모습을 보게 되고, 프롬이 말하는 사랑의 기술이 무엇인지 조금씩 이해해 가지요. 그리고 이들은 그렇게 사랑하기 프로젝트를 통해 사랑을 실천해갑니다.

 

어린이들을 주인공을 내세워 그들의 일상을 통해 철학에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한 이 책은 동화형식을 통해 에리히 프롬의 사상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인간이 성장할수록 사랑의 기술을 애써서 배워야 한다는 사랑의 근본 원리, 존재 양식과 소유 양식으로 구분된 사랑의 두 가지 양식, 사랑을 실천하기 위한 네 가지 조건 등 에리히 프롬의 사상이 동화 속에 잘 녹아들어 있지요.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알찬 내용이 철학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 같아요.

 

인간이 취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노력이 바로 올바른 사랑이며, 그런 사랑을 위해서는 사랑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학문과 예술 또는 자신의 신체 단련 같은 것도 외로움을 이기는 노력 가운데 하나입니다. 그렇지만 가장 바람직한 노력은 다른 사람과 나누는 사랑입니다. 그 시작은 따뜻하게 열려 있는 마음으로 나누는 대화입니다. 그리고 거기에는 공통적으로 관심, 지식, 보호, 존경, 책임이 따라야합니다. (본문 128p)

 

이 작품은 에리히 프롬의 사상을 동화적 스토리로 재미있게 풀어내고 있다는 장점외에도 철학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을 담아내고 있는데, [통합형 논술 활용노트]는 사고력과 논리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지요. 철학을 이렇게 쉽고도 재미있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이끄는 책이 또 있을까요? 우리의 현실과 접목시켜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어 접근하기가 더 용이했던 거 같습니다. 고로, 아이들에게 적극 추천하고픈 시리즈랍니다.

 

(사진출처: '에리히 프롬이 들려주는 사랑 이야기' 표지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