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공원정대
배상민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배상민 작가의 작품은 <콩고,콩고>에 이어 두 번째 접하는 작품이다. <콩고, 콩고>는 작가의 첫 소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구성이나 내용면에서 탄탄한 면모를 갖추었던 작품으로 기억한다. 전작에서 작가가 주인공 부와 담을 통해 현 사회의 부조리한 모습을 조금은 허황된 느낌을 주는 SF 장르를 선보였다면, <<조공원정대>>에서는 지극히 현실적인 모습을 담아냈다. 그런 탓인지 전작보다는 이번 작품이 좀더 독자에게 어필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을 해본다.

 

 

취업도 연대도 결혼도 생계도 난망한 이 시대 하류 인생들의 생태 보고서 <<조공원정대>>는 8편의 단편수록집이다. 이 작품에서는 사회의 모순적인 모습을 담아냈는데, 문학평론가 이경재님은 이 부조화야말로 배상민 소설의 고유한 단독성이라 평한다. 요즘말로 '웃픈' 사회의 모습이 이 소설에 잔뜩 배어나있어 읽다보면 나도 모르게 그야말로 웃프게 되는 작품이기도 하다. 여기 수록된 단편들의 대부분은 IMF나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부실 사태로 인한 경기 침체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그로인한 청년들의 실업, 비정규직 등으로 인한 아픔을 현실적으로 그려냈다.

 

[안녕 할리]는 주인공 '나'가 엄마의 뜻대로 살아가는 현 청년들의 모습을 담았다. S라는 글자는 오직 Sex와 Sports로 귀결되던 때에도 엄마는 S대학과 S전자로 상징하는 자랑스러운 글자로 거듭나게 했고, IMF는 엄마들보다 더 확실한 선수들의 조련사이자 감독이 되어 주인공을 조련했다. 적성에 맞는 직장, 꿈은 먹고살 만한 집 자식들에게나 어울리는 말이었고, 그저 정규직이기만 하면 무조건 직장에 적성을 맞출 마음의 준비를 가져야만 하는 현실 속에서 비록 S대학과 S전자는 아니어도, K대학을 나와 L전자에 취직한 그는 일벌이나 개미에게 표정이 없는 것처럼 똑같이 지내야했고, 결국은 엄마의 뜻이 아닌 스스로의 뜻대로 오토바이 가게를 열게 된다. 하지만 오토바이 가게에서도 '어쩔 수 없이 하는 일'은 존재했고, 결국은 부끄럽지 않은 아들이 되기 위해 엄마에게 돌아가고 만다. 알파벳 S 글자 하나만으로도 자식을 성공시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엄마와 사육당하는 자식들, 그리고 꿈보다는 현실을 쫓아야 하는 주인공의 모습이 굉장히 웃프게 그려낸 독특한 작품이다.

표제작 [조공원정대]는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부실 사태에 따른 경기 침체로 일자리를 얻지 못하는 주인공이 친구 만석, 칠성과 함께 소녀시대를 만나기 위해 서울로 상경하면서 토니, 제리, 티파니가 되어 레스토랑과 나이트클럽에서 일하게 되고 결국 서울에 자리잡게 되는 과정을 재미있게 그려냈다. 너무도 슬픈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재미있게 그려낸 작가의 표현력이 빛나는 작품이다.

[유글레나]에서도 앞선 작품과 마찬가지로 주인공 '나'가 중간 정도로 공부하면서 중간 정도의 수도권에 있지만 그다지 알려지지 않는 대학을 다닌 후 인턴 사원을 전전하다 결국 야동을 다운받으며 자신의 유글레나를 감싸 쥐는 백수가 되고 마는 현실을 담았다. 여자친구 소라 역시 취직이 안되어 결혼을 하려 하지만, 결혼을 위해서는 직장이 필요한 아이러니를 맛본다. 청년실업으로 비참한 상황에 놓이는 청년들의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헤드기어 맨]의 주인공도 이들과 다를바 없다. 권투 선수였던 아버지가 남긴 유품인 헤드기어를 쓰면 자신도 알 수 없는 초능력이 생긴다고 믿으며 달동네에서 골목대장으로 살던 주인공은 이른 새벽부터 철거되는 집에서 나왔다가 놓고 온 헤드기어를 찾으러 다시 집으로 돌아갔다가 자신을 지키려던 엄마의 죽음을 보게 된다. 눈앞에서 엄마와 보금자리가 부서지는 것을 지켜봐야했던 어린 시절,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주인공은 먹고살아야겠기에 철거 용역 일을 하게 된다. 어린시절부터 자신을 초능력으로 만들어주었던 헤드기어를 쓴 채.

[악당의 탄생-슈퍼맨과의 인터뷰]에서도 성공하기 위해서는 돈을 내야 사람을 구하는 슈퍼맨과의 인터뷰를 담아냄으로써 자본주의의 병폐를 담아냈다. 이 외에도 [미운 고릴라 새끼][아담의 배꼽]에서도 배상민 작가의 고유의 단독성을 엿볼 수 있다.

 

주위를 둘러보면 세상살이에 지친 하류들은 누렇게 뜬 얼굴로 오로지 자신의 길만 걸어가고 있었다. 내 눈에는 우리가 무엇엔가 내몰리는 좀비처럼 보였는데, 뒤에 무엇이 있는지 아무도 돌아보려고 하지 않는 것 같았다. 그래서 나는 이 소설들을 쓰기 시작했다. 우리 뒤에 무엇이 있는지 조금이라도 그려보고 싶었다. (본문 263,264p 작가의말 中)

 

<<조공원정대>>에서 깨알 같은 유머와 능청스러운 입담으로 보여준 우리 청년들의 모습은 우리 사회의 모순 속에서 비롯되었다. 세상의 잣대로 바라보는 우리들은 그들을 하류인생이라 하겠지만, 그 모순 속에서 더 열심히 살아가려는 그들의 모습은 결코 하류 인생이라 말할 수 없었다. 좀비같았던 그들이 실은 그 자리에서 묵묵히 자신의 꿈을 위해 무던히 노력하고 있음을 이 책을 통해 비로소 느끼게 된다. 웃으면서도 슬픈, 그러나 결코 웃을 수 없었던 작품이었다.

 

(사진출처: '조공원정대' 표지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