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쓴 글이 부끄러워 오늘도 쓴다 - 거리의 인문학자 최준영 에세이
최준영 지음 / 이지북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지 교수, 거리의 인문학자라 불리는 저자 최준영, 그는 전국 초청 1순위 대중 강연가이며 '420자 칼럼' 페이스북의 논객으로도 유명하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이스북과 인문학과는 별개로 살아온 나였기에 그의 이름을 알게 된 것은 이 책을 통해서이다. 편독이 심한 탓에 인문학과 관련된 책은 잘 읽어보지 않는 편이지만, '거리의 인문학자'라는 타이틀에 호감이 느껴져 읽어보기 시작했는데, 에세이라 그런지 술술 재미있게 읽힌다. 읽다보며 작가에게서 사람 냄새, 사람의 온기가 느껴지곤 하는데, 저자는 그것이 바로 인문학이라고 말한다. 그가 만난 사람 중 노숙인 김씨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그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인문학이라는 것이 그리 어렵고 까다로운 학문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시대 가장 낮은 곳에서 소통하고 실천하는 거리의 인문학자 최준영을 통해 나는 사람 냄새와 온기가 전하는 인문학이 주는 희망에 한껏 매료되었다.

 

김 씨를 행복하게 해준 건 사람의 온기였습니다. 흔히 인문학을 사람을 알아가기 위한 학문이라고 말합니다. 삶의 의미를 알아가는 것이라고도 하고, 더 구체적으로는 삶의 궁극적인 의미를 성찰하는 학문이라고도 말하지요. 그러나 김 씨를 만난 뒤 인문학에 대한 제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거창하게 설명할 필요가 없어요. 김 씨처럼 사람으로 인해 사람이 행복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것, 사랑을 통해 사람의 온기를 느낄 수 있는 것, 그것 이상의 인문학은 없다고 생각하게 된 것이지요. (본문 34p)

 

우리가 흔히 인문학자라고 하면 그럴싸한 학벌이나 학력을 떠올리게 되는데, 저자의 학력은 그리 화려하지 못하다. 고등학교를 자퇴한 후 야학을 거쳐 어렵사리 대학에 들어갔지만 세 번씩이나 제적을 당한 끝에 끝내 졸업장 없이 나왔기 때문이다. 그런 그가 전국 초청 1순위 대중 강연가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순수한 열정으로,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며 묵묵히 일을 해왔던 탓이었으며 그에 대한 그저 합당한 대가를 받게 된 탓이다. 원고료 없는 매체에 글을 보내고, 원고료가 아니라 외려 후원금을 내야 할 법한 수원의 한 공부방의 소식지에 칼럼을 써 주었던 것이 지금의 저자 최준영을 있게 했다. 강사비, 강의 공간, 강의를 위한 기자재 등 제대로 갖춘 건 아무것도 없이도 자신을 필요로 한다면 오래도록, 열심히, 의미 있는 강의를 하겠다는 그의 다짐은 댓가를 위해 무작정 달리고 있는 사람들의 마음을 꿈틀거리게 하는 무언가를 전해준다.

 

이번 주엔 어디서 강의하고 다음 주엔 또 누가 날 불러줄까나. 강사비, 강의 대상, 강의실, 수강 인원 따질 것 없이, 필요하다면 기꺼이 달려가 사람들을 울리고 웃기고 숙연케 하고 성찰하게 하는, 나는야 강의하는 광대, 거지 교수, 거리의 인문학자! (본문 22p)

 

1장 인문학에서 희망을 길어 올린 사람들 / 2장 일상에서 만난 생각들 / 3장 텍스트와의 만남과 단상들 / 4장 어제 쓴 글이 부끄러워 오늘도 쓴다/ 총 4장으로 나뉘어 수록된  매냥 흔들리고 부유하고 떠도는 삶을 선택한 저자의 삶, 강의를 통해 만나게 된 사람들, 그리고 가족의 이야기를 담은 에피소드에는 사람을 배려하지 않는 사회이기 때문에 인문학이 필요한 우리 사회에 살고 있는 독자들에게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하는 의미를 부여한다.

 

그는 자신의 글이 너무나 초라하고 무디고 부족하며 문장력도 형편이 없고 깊은 사유나 올곧은 반골 정신도 찾아보기 힘들다고 말한다. 책을 읽다보면 그런 그의 말에 공감을 하게 되는 부분이 있다. 그가 작가 이외수의 글에 반감을 느낄 때가 있듯이 나 역시도 그의 글에 반감을 느끼게 되는 대목도 분명 존재한다. 그런 저자는 자신의 글이 미우나 고우나 자신이 낳은 자식이기에 좋아하지 않을 도리가 없다고 말했지만, 나는 투박하고 평범한 듯 보이지만 그 글 속에서 느껴지는 사람 냄새, 사람의 온기가 있어 나는 그의 글이 좋다. SNS에 친숙하지 않은 탓에 그의 '420자 칼럼'을 읽어본 적 없으며, 그의 글을 읽어보는 것도 이 책이 유일무이하고, 글에 대해 잘 모르는 탓에 그의 글을 평가할 능력은 없지만 말이다. 이해하기 난해한 글보다는 읽기가 훨씬 수월한데다 나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 탓이다.

 

"내 글의 완성도가 높지 않다는 건 누구보다 내 자신이 잘 알고 있다. 그러나 나는 걱정하지 않는다. 어제도 썼고, 오늘도 썼으며, 내일도 쓸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은 부족한 글이지만 몇 개월 후 혹은 1년 후의 내 글은 지금보다 훨씬 좋아질 거다. 어쨌든 나는 계속 쓸 테니까 말이다." (본문 284p)

 

 

<<어제 쓴 글이 부끄러워 오늘도 쓴다>>는 "중요한 건 현재의 조건이 아니라 삶에의 의지와 용기"라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인문학의 의미를 이해하고 삶의 성찰을 갖게 된다는 의미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꽤 괜찮은 이야기였다. 문학과 글쓰기에에 대한 그의 단상을 엿보는 것도 재미있었다. 그는 묻는다.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따스한 손길이었느냐고. 나는 이 책을 통해 그리고 저자의 에피소드와 단상들을 통해 나는 되돌아본다. 나는 어떠했는가를.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 -안도현, 「너에게 묻는다」전문 (본문 233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