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캥캥캥 우리 형
야마시타 하루오 지음, 고향옥 옮김, 히로세 겐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간혹 동물학대로 상처입은 강아지, 버려진 동물들에 대한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애완동물이 아닌 반려동물로 생각하며 가족으로 받아들이고 사랑하는 가족들도 많아졌다. 교감을 하고 서로 의지하는 모습을 간혹 텔레비전을 통해서 보게 되면 괜시리 뭉클해지면서 잔잔한 감동을 받는다. 함께 시청하는 두 아이는 늘 강아지, 고양이를 키우고 싶다고 입버릇처럼 말하곤 하지만, 새로운 가족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그만큼의 책임이 따른다는 점을 먼저 깨우치는 것이 더 중요하리라.
<<캥캥캥 우리 형>>은 이렇듯 우리네 모습을 그대로 반영한 동화책으로,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생각하며 함께하는 요즘 가족의 모습을 그려냄으로써 반려동물에 대한 올바른 시각을 갖게 해준다.
잘 짖지는 않지만 짖을 때에는 감기 걸리 목소리로 캥 캥 캥 짖는 탓에 이름이 '캥'이 된 프렌치 불도그는 주인공의 형이다. 시끄럽다고 캥을 혼내면 아빠는 생일이 나이는 같아도 생일이 빠르기 때문에 형이라고 부르라고 하고, 엄마도 그냥 넘어가지 않는다. 아빠는 개는 말을 못 하니까 거짓말도 안 한다고 하지만, 사실 캥은 아이와 단둘이 있을 때는 사람처럼 말을 할 줄 안다. 으스대면서 명령하는 걸 좋아하는 캥은 형이라고 잘났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이렇게 캥과 아이는 하루에 열 번은 더 싸우는데, 혼내거나 귀찮게 하면 벌러덩 드러누워서 눈의 흔자위를 드러내곤 하는게 캥의 가장 큰 무기다.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아빠랑 엄마는 직장에 가기 때문에 온종일 혼자서 집을 봐야 하는 캥의 심술은 더 심해졌다.
아이와 캥은 같은 여덟 살이지만, 아빠는 캥을 어른 취급해주면서 포도주를 따라주자 아이는 심술이 난다.
일요일, 모모 이모가 갑자기 배가 아파서 엄마가 병원에 데려가야 하는 탓에 아이는 혼자 집을 보게 되었다. 엄마는 캥 형이랑 같이 있으니 괜찮을거라며, 누가 와서 문 열어 달라고 해도 절대로 문 열어 주면 안 된다고 당부한다. 엄마가 없으니까 갑자기 집이 넓어져 울적해진 느낌이 잠시 들었지만, 캥은 곧 슈퍼캥 놀이를 하자며 빨간 수건을 물고 왔다. 응해주지 않자 부엌 쪽으로 간 캥이 좀처럼 돌아오지 않아 가 보니, 캥은 어제 아빠가 남긴 포도주를 핥아먹고 있었는데, 그때 낯선 남자에게서 전화가 걸려오고 곧 집으로 찾아온다는 말에 아이는 다급해진다.
택배가 왔다는 초인종 소리에 아이는 엄마의 당부대로 문을 열어주지 않았고, 문을 열어달라는 남자를 캥과 함께 멋지게 물리친다.
그러나 곧, 곧드레 만드레 취한 캥은 화장지를 뽑아내고 엄마의 립스틱을 갉아먹는 사고를 저지르는데, 아이는 캥이 저지른 사고를 의연하게 수습한다.
하지만 아이와 캥이 제일 무서워하는 천둥이 치자 캥은 배꼽을 드러내고 눈은 확 뒤집힌 채 누워 있었다. 입에서 거품을 내뿜고 다리를 벌벌 떠는 캥을 보며 아이는 울먹이며 캥을 보살펴주는데, 다행스럽게도 아이의 도움으로 캥은 깨어난다.
"어때, 캥 형이랑 함께 집 보는 건 재미있었니?"
"응, 내가 캥 목욕도 시켰어." (본문 84p)
여전히 하루에 열 번은 싸우지만, 아이는 캥이 좋아졌다. 왜냐하면 형이니까!
외동아이인 주인공이 혼자 집을 보게 되는 과정 속에서 그려지는 캥와의 에피소드는 반려동물과 형제애라는 뭉클함을 선물한다. 엄마가 없어 집이 넓어져 무서웠을 아이에게 캥은 정말 형처럼 다가왔다. 함께 있어 무섭지 않았으며 낯선 남자까지 물리쳤으니 혼자 집보는 일이 그리 외롭고 무섭지만은 않았다. 사고를 칠 줄은 알지만 수습할 줄 모르는 캥을 위해 책임감있게 정리해가면서 아이는 책임감도 배워나간다. 캥이 기절하자 울먹이는 아이는 캥이 죽을까봐 걱정하고 슬퍼한다. 캥과 아이 단 둘이 집을 보게 되는 상황 속에서 아이는 그렇게 캥에게 형제애를 느끼게 된다.
엄마 아빠가 캥을 형이라 부르라고 하고, 사랑하는 모습을 탐탁치 않았던 아이는 그렇게 캥을 가족으로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캥캥캥 우리 형>>은 유쾌한 에피소드 속에 반려동물에 대한 우리의 시각을 고취시켜 줄 뿐만 아니라, 형제애를 보여준다. 우리가 반려동물을 키울 때는 책임감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 캥에 대한 아이의 모습처럼 말이다.
코믹한 삽화, 유쾌한 이야기가 즐거움을 주고, 그 속에 담아낸 잔잔한 감동이 마음을 채워주는 <<캥캥캥 우리 형>>은 반려동물과 형제애, 그리고 책임감에 대한 생각을 심어줄 수 있는 기분좋은 동화책이었다.
덧붙히자면, 흑백과 컬러의 반복적인 구성으로 담겨진 삽화가 인상적이다.
(사진출처: '캥캥캥 우리 형' 본문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