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한 살에 읽는 삼국지 1 - 도원결의 열한 살에 읽는 고전 만화 8
김우영 글.그림 / 파랑새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중국 명나라의 나관중이 지은 '삼국지'는 중국의 대표적인 역사 고전으로 영웅들을 통해서 삶의 지혜와 인의예지를 배울 수 있어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꼭 읽어야 하는 필독서로 자리잡은 작품이다. 좀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나는 아직까지 소설 '삼국지'를 제대로 읽어본 적이 없는데, 몇 해전 만화 '삼국지'를 통해서 복잡한 이야기를 그나마 쉽게 읽을 수 있었다. 이후에도 소설 '삼국지'를 읽을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파랑새에서 고전만화 <열한 살에 읽는> 시리즈로 <<삼국지>>가 출간되어 소설에 앞서 먼저 읽어보고 싶었다. 최근 <열한 살에 읽는> 시리즈를 통해 <명심보감><손자병법>을 접한 바 있었는데, 그 내용이나 구성면이 알차고 만화가 가진 단점을 최소화하였다는 점에서 마음에 들었는데, 이번에 출간된 <<삼국지>>역시 다소 어렵고 까다롭게 느껴지는 고전을 접하기에 탁월한 작품이었다.

 

예로부터 동양에서는 "삼국지를 세 번 이상 읽지 않은 사람하고는 인생을 논하지 마라."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삼국지'에는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와 바른 삶의 규범이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본문 저자의 글 中)

 

저자는 <<열한 살에 읽는 삼국지>>를 읽은 후 꼭 소설 '삼국지'를 찾아 읽으라고 당부하였는데, 어린시절에 복잡하고 어려워서 이해하기 힘들었던 '삼국지'를 <코주부 삼국지>를 읽고 난 뒤 소설 '삼국지'를 찾아 읽었을 때 어렵고 복잡하던 '삼국지가' 쉽게 읽혀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저자의 글을 읽으면서 이 작품을 읽은 후에 꼭 소설 '삼국지'를 읽어보리라 결심하게 되었다.

 

 

서기 200년경 400여 년에 걸쳐 중국 대륙을 지배해 온 하나라 왕조는 환제 때부터 혼란이 시작되었고, 환제가 죽은 뒤 영제가 즉위하면서 조정은 더욱 부패했고, 나라는 어지러워졌다. 이에 머리에 누런 두건을 쓴 황건적이라 불리는 도둑 떼가 일어났고 그 세력이 엄청나게 불어나서 관군도 토벌하기 힘겨울 정도였다고 한다. 

몸이 쇠약해진 어머님께 드릴 보약을 가지고 가던 유비가 황건적을 만나 위급해진 상황에서 불같은 성격을 가진 장비의 도음을 받게 되면서 두 사람의 인연은 시작된다. 한나라 황제였던 경제 유승의 후손인 유비는 토탄에 빠진 백성들을 구하고 한나라 황실을 바로 세워야 한다는 결의를 다졌는데, 이후 다시 만나게 된 장비 그리고 장비의 인연으로 만나게 된 관우와 함께 복숭아꽃이 만발한 뒤뜰에서 의형제를 맺게 된다. 후에 사람들은 이를 가리켜 '도원결의'라 불렀다.

 

 

유비,관우,장비 세 사람은 황건적을 토벌하기 위해 의병을 모집했고, 유비의 지혜와 장비의 용맹함, 관우의 기개로 황건적을 소탕한다. 하지만 조정의 부패로 큰 공을 세우고도 작은 마을의 현위 자리밖에 얻지 못하는데다 뇌물을 바쳐야하는 벼슬이었던지라 이들은 새로운 계획을 세우기 위해 고향으로 돌아간다.

 

 

한편, 황제를 에워싸고 권력을 쥔 십상시들의 횡포는 날로 심해졌는데 영제의 병환이 심해지면서 황태자 변이 계승해야 한다는 하진과 황태자 협이 계승해야 한다는 십상시의 대립으로 십상시의 난이 일어난다. 여기서 황건적의 난 때 토벌군 사령관이었던 동탁이 황제를 가까이 모시게 되면서 음흉한 욕심을 키우게 된다. 이후 동탁의 음모가 들어나자 동탁을 무찌르자고 모였던 동맹군들은 궁녀의 시체에서 옥새를 발견하게 되고, 이 옥새는 새로운 싸움을 야기하게 된다.

 

 

<<열한 살에 읽는 삼국지>>에는 영웅들의 호연지기, 위기에서 발휘되는 두뇌 싸움, 기개와 지혜 등을 엿볼 수 있었는데, 이는 경쟁사회를 살아가는 우리가 마땅히 가져야 할 인의예지를 일깨운다. 1권 <도원결의>에서는 시대적 상황과 등장인물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많은 등장인물과 어린이들이 이해하기는 다소 어려울 수 있을 시대적 상황들이 만화가 가진 특성을 이용해 다소 쉽게 접근할 수 있었고, 일러스트가 주는 장점으로 인해 인물들의 성격을 파악하는데 더 쉬웠던 거 같다.

덧붙히자면, 부록으로 수록된 [하루에 한 번 삶의 지혜를 깨우치는 삼국지 고사성어]에서는 삼국지 이야기에 유래된 고사성어를 원문과 뜻풀이를 담아내어 '삼국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듯 싶다. 특히 고사성어는 일상 생활 속에서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좀더 뚜렷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하여 언어 표현을 풍부하게 해주어 어휘력을 높이는데도 도움이 준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내용이해와 더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듯 싶다.

영웅들의 호연지기를 배울 수 있는 <<열한 살에 읽는 삼국지>>는 어린이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이치를 깨닫도록 도와주며, 저자의 말처럼 필독서로 자리잡은 소설 '삼국지'를 읽는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사진출처: '열한 살에 읽는 삼국지 1_도원결의'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