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식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1
이상권 지음 / 자음과모음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장이란 무엇인가 소중한 것을 잃어가는 과정이다"

 

라는 표지 글에 이끌어 읽어보게 된 작품이다. 성인이 되었다는 의미는 무엇일까? 꽃다발, 향수, 키스를 받는 성년의 날을 맞이하고, 만 20살이 되면 어김없이 성인이 되는 것일까? 사회적 제약없이 가고 싶은 곳,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 성인이 되었다는 뜻의 전부는 아닐 것이다. 상실감을 겪을 때마다 자아를 형성하고 우리는 조금씩 성장해나간다. 이는 표지글에서 말했듯이, 소중한 것을 잃어가는 고통 속에서 하나둘 알아감을 통해 자신의 정체감을 형성하는 과정이야말로 바로 성장임을 인지할 수 있다.

<<성인식>>의 주인공들이 갈등을 통해 겪게 되는 모순과 이치를 알아가는 아름다운 상실의 나날들은 이러한 성장의 의미를 일깨운다.

 

 

<<성인식>>은 표제작인 성인식을 포함하여 총 다섯 편의 단편을 엮은 성장 소설이다. 이 다섯 편의 작품에는 주인공들이 가지고 있는 왕따, 가족, 부모와의 갈등, 사회의 모순으로 인한 상실감 등의 성장통을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성장하는 모습을 담아냈는데, 그들이 보여주는 서로 다른 성장통은 청소년들의 내면을 잘 표현하고 있다.

 

표제작 [성인식]은 자식을 향한 맹목적인 집착을 받아내기 어려운 주인공 시우가 6년을 함께 산 강아지 칠손이를 제 손으로 죽이면서 느끼는 상실감 속에서 성인식을 치루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과외 한 번 없이 밤잠을 아끼면서 공부에 매달려 과학고에 입성한 시우는 어버이날을 앞두고 시골집에 오게 된다. 얼마 전 맹장수술을 받은 시우에게 어머니는 가족이나 다름없는 칠손이를 잡는다고 선포한다. 그 답답한 마음을 풀어내기 위해 친구 진만이를 만나게 되는데, 진만이는 여자친구 새봄이의 임신에 대해 책임지고 나름대로 계획을 세워두고 있었다. 시우는 그런 진만이와 자신의 처지가 바뀌어 버렸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한 발자국도 뒤로 물어서지 않는 어머니의 뜻을 받아들이기로 한다.

 

"생명의 불을 끄면서 그 아픔을 느껴본 사람은 절대 살아 있는 목숨을 함부로 안 죽여. 아암, 저 개를 죽인다고 아파하지 말고, 내 몸속으로 작은 목숨 하나 끌어들인다고 생각해라....저 개 잡아서 네 목숨으로 만들고 가라. 그것이 사는 것이다." (본문 46p)

 

그렇게 시우는 칠손이를 잡으며, 진만이는 새봄이의 부모에게 걷어차이는 과정을 겪으며 성장의 고통을 느끼게 된다.

 

[문자 메시지 발신인]은 친구들로부터 왕따를 당하게 되는 슬기가 자신의 얼굴에서 잊고 살았던 정미를 보게 되면서 겪는 성장을 담아냈다. 어찌된 내막인지도 모른 채 다른 친구들 맘에 들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한순간에 정미를 내팽개칠 수밖에 없었던 슬기는 친구들에게 덤으로 공격을 받지 않기 위해 정미가 내미는 손을 뿌리칠 수 밖에 없었다. 슬기는 왕따당한 정미가 삭였어야 할 시간의 아픔을 느끼게 되었고, 그 고통을 어찌할 수 없었다. 슬기는 전학간 정미에게 사과하고 싶은 마음에 전화를 걸어보지만, 정미의 엄마로부터 정미가 전학을 간 학교에서도 힘들게 지내고 있다는 것을, 친구를 사귈수록 불안하고 두려워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슬기 역시 정미처럼 왕따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전학을 생각하게 되는데, 얼마 후 할머니 생신을 맞아 내려간 시골에서 처음 만난 아이들과 꽹과리와 장구, 북을 치면서 어색하지 않고 불편하지 않았다는 사실 속에서 희망의 메시지를 보여준다. 현 우리 사회에서 우리 아이들이 짊어지는 가장 그 고통의 무게가 바로 친구들과의 갈등이 아닐까 싶다. 왕따에 대한 기억으로 전학을 간 학교에서도 친구에 대한 두려움으로 융화되지 못하는 정미와 다르게 슬기는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용기를 보여주었다.

[암탉]에서 보여주는 예분이의 모습 역시 왕따로 인한 고통의 무게를 짊어진 아이의 모습이다. [문자 메시지 발신인]에서 비추어졌던 정미의 모습과 닮아 있는 예분이가 어른들의 모순을 통해 또 한 번의 아픔을 경험하게 되는 과정이 다소 아프게 그려졌지만, 온 힘으로 알을 품는 구름이를 통해서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

 

[욕짱 할머니와 얼짱 손녀]는 조류독감으로 힘들어가는 시골의 모습을 배경으로 삼았다. 거위 '때까우'를 지키려는 할머니와 거위들을 처분해야한다는 이장, 교회 목사 등과의 갈등 속에서 필분이는 이해할 수 없는 할머니에 대한 화가 치민다.

[먼 나라 이야기]도 이 작품과 비슷한 설정이다. 광우병으로 고통받는 시골의 모습 속에서 빚어지는 갈등과 고통, 상실의 무게가 그려진다. 소가 있음으로 해서 삶의 가치를 내세울 수 있었고, 장애도 묻혀버릴 수 있었기에 당당했던 아버지에게 광우병으로 인해 더 이상 소를 키울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는 절망감은 오연이에게도 아픔이었다.

 

서로 다른 갈등과 상실감 속에서 성장해가는 주인공들은 "무엇인가 소중한 것을 잃어가는 과정"을 통한 성장의 모습을 너무도 잘 보여주고 있다. 소중한 것을 잃었을지 모르지만, 그 속에서 그보다 더 소중한 삶에 대한 희망, 용기, 애착 등을 알게 된 주인공들은 하나의 상실감으로 하나의 성장으로 또 하나의 작은 목숨 하나를 끌어들이고 있었다.

요즘 우리 청소년들은 삶의 무게로 다가오는 상실감을 견뎌내지 못하고 삶의 포기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상실감은 고통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삶의 열어줄 뿐만 아니라 성장이라는 새로운 인생을 열어준다.

<<성인식>>의 주인공들을 통해서 상실감의 고통이 결코 힘든 것만은 아님을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란다.


(사진출처: '성인식' 표지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