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위의 아이들 청소년문학 보물창고 26
브록 콜 지음, 최지현 옮김 / 보물창고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왕따를 당한 한 아이가 자살을 했다. 우리 사회는 충격과 경악을 금치 못 했고, 가족들은 오열했으나 가해자들은 그저 장난이었다고 말했다. 누군가에게는 장난이, 누군가에게는 견딜 수 없는 상처가 되었다. 삶을 포기할 정도로 말이다. 못된 장난이라고 치부하기에 그들의 장난은 범죄에 가까웠다. 그들이 장난이라고 말할 때, 또 다른 그들의 마음은 얼마나 아프고 힘들었을까.

이 책에는 그렇게 누군가의 장난으로 발가벗겨진 채 섬에 버려진 소년과 소녀가 등장한다. 발가벗겨진 채 고립된 섬에서 먹을 것도, 입을 것도, 하다못해 모기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도 없는 힘없는 소년과 소녀는 그렇게 두려움에 떨고 있었다.

"우리 이제 뭘 해야 하지?"

"아무것도. 여기 앉아 있는 것 말고는." (본문 11p)

 

하위와 로라는 캠프에 참여하게 되었지만, 친구들에 의해 고트(고트goat는 '염소'라는 뜻으로, 작품 안에서는 집단 괴롭힘의 희생자를 의미한다. 염소를 제물로 바치던 옛 관습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본문 8p)가 된다. 이 캠프장에서는 오랜 전통이라는 미명하에 발가벗겨진 채 아이를 하룻밤 섬에 버려둔다. 후에 하위와 로라가 없어진 사실을 알고 로라 엄마가 캠프장을 찾아왔을 때 캠프의 간사인 웰스는 오래된 텐트 플랫폼이 있어 정말 안전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아이들은 오히려 스스로를 대견스러워하며 돌아온다고 말한다. 하지만 섬에 남겨진 하위와 로라는 하루를 보내고 캠프에 돌아가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통나무에 의지한 채 헤엄쳐 섬을 나오게 된다. 또래에 비해 사회성이 늦은 두 아이는 섬을 나와 해수욕장에서 옷과 동전을 훔쳐 그들을 쫓는 경찰들을 피해 달아난다. 우여곡절 끝에 엄마에게 전화를 건 로라는 엄마가 데리러 와 주길 바라지만, 상황을 알지 못하는 엄마 매디는 로라가 스스로 해결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렇게 엄마의 도움을 받지 못하게 된 두 아이는 길 위를 헤매이다 다른 캠프 시설의 아이들 틈에 합류하게 되고, 그들에게 도움을 받으면서 자신이 고트였다는 사실조차 무의미함을 느끼게 된다.

 

더 이상 긴장되지도, 두렵지도 않았다. 어쩌면 다들 자신에게 친절하게 대해주어서 그런지도 몰랐다. 고트에게 친절한 사람이 있다니. 소녀는 자신이 고트였다는 사실을 깜빡 잊을 뻔했다. 아니, 잊은 게아니다. 잊지 않을 것이며 또한 용서하지도 않을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보면 그다지 중요한 일은 아닌 것 같았다. (본문 114p)

 

자신이 야위어 가면서 단단해지고 있다는 뜻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그들은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본문 117p)

 

함께 여정을 보내게 된 소년과 소녀는 서로에게 더욱 의지하게 되었고, 소녀보다 왜소한 체구였던 소년은 길 위에 오르면서부터 조금씩 강해지고 있음을 느낀다. 이제 그들은 캠프장을 나와 엄마를 만나기 위해 또다시 길 위에 서게 되고 언제나 그랬던 것처럼 스스로를 지켜나간다.

 

"우린 방법을 생각해 낼 거야. 언제나 그랬으니까."

갑자기 소년은 모든 것이 잘될 거라는 강한 확신이 생겼다. 소년은 바보가 아니었다. 앞으로 언쟁이 있을 것이고 장거리 통화도 해야 하며 자신이 잘 알지 못하는 일에 대해서 부모님과 캠프 상담 선생님과 경찰관들이 어려운 말로 이야기할 것이다.....하지만 중요하지 않았다. 두 사람은 방법을 생각해 낼 테니까. (본문 216p)

 

<<길 위의 아이들>> 속 하위와 로라는 그렇게 자신의 삶의 주인이 되기 위한 긴 여정을 통해 자신들을 지켜나가기 위한 방법을 통해 점점 강해지고 있었다. 우리가 하위와 로라가 된다면 대부분은 섬에서 하루가 지나기를 기다렸을지 모른다. 내 삶을 그들이 좌지우지 하는 것을 그저 지켜보면서 말이다. 하지만 이들은 힘들고 어려운 길을 선택했고, 결국 스스로를 지켜내며 성장해나갔다.

이 책에서 보여주는 소년과 소녀가 성장해가는 과정도 주목할 부분이지만, 사건에 대해 대수롭지 않게 여기며 그저 장난이라 치부하는 캠프의 간사가 보여주는 안일한 대처에 대해서 너무도 화가 났다. 로라가 처음 엄마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엄마 매디가 로라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주었다면 어땠을까? 매디와 로라의 소통이 결국 여정의 끝을 보여주는 것을 통해 소통의 중요성을 다시금 되짚어 보게 된다.

 

학교폭력, 왕따 등 우리 사회는 풀어내야 할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다. 책임을 회피하려는 학교측, 가해자 부모들의 어처구니 없는 행동, 피해 아이들이 내미는 손을 제대로 잡아주지 못하는 어른들로 인해 문제는 더더욱 커져버렸다. 마치 캠프의 간사와 엄마 매디처럼 말이다. 요즘 출간업계는 왕따를 소재로 한 다양한 내용의 책을 출간하고 있다. 어른들의 무책임한 행동으로 인해 아이들은 혼자가 되고 있으며 결국 삶을 포기하는 문제가 일어나고 있기에 <<길 위의 아이들>>과 같은 책은 혼자일 또 다른 하위와 로라에게 자신을 지키기 위해 용감하고 씩씩해질 수 있도록 힘을 주고 있다. 상처 입은 두 아이가 강해지는 과정이 탁월한 심리 묘사를 통해서 그려진 이 이야기를 통해서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을 지켜나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