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심한 나는 하늘을 보았다
구보 미스미 지음, 서혜영 옮김 / 포레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에세이, 자기계발서의 느낌이 물씬 풍기는 책 제목 때문에 책을 선물받고 한동안 책장에 고이 모셔두었다. 요즘 제대로 되는 일이 없구나, 싶은 생각이 책 제목과 맞물려지면서 읽어보게 되었는데, 알고보니 소설책이다. 그것도 19금 소설이다.

여성 작가가 쓴 여성을 위한 관능소설에 주어지는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R-18문학상' 대상을 수상한 '미쿠마리'외 네편이 연작이 수록된 소설집으로, 그 수위가 생각외로 높다.

아줌마의 호기심인가, 취향이 아님에도 열심히 읽어내려간다. 대상을 수상한 '미쿠마리'는 열여섯 살 소년 타쿠미와 스물여덞 살의 주부 안즈의 온전치 않은 사랑을 담아내고 있는데, '미쿠마리'를 기점으로 한 4편의 작품에서는 이들의 온전치 않은 관계가 거미줄처럼 뒤덮인 인간관계에  불러온 파장을 엿보게 된다.

 

조산원을 하는 어머니와 단둘이 살고 있는 타쿠미가 또래의 전형적인 성생활에서 크게 벗어나게 된 것은 고등학교에 들어가자마자 친구에게 억지로 끌려간 코믹마켓에서 우연히 유부녀였던 안즈를 만나 그녀에게 꼬임을 당한 후였다. 그 이후 타쿠미는 자연스레 안즈의 아파트에서 섹스를 즐겼지만, 더 이상의 관계가 지속되는 것이 옳지 않다고 여긴 그는 안즈와 헤어지고, 자신을 좋아하는 나나를 만나지만 다시 안즈를 찾게 된다. 그러나 불임이었던 안즈는 아기를 낳기 위해 미국을 떠나게 되고 타쿠미는 방금 태어난 아기가 우는 것처럼 자신도 소리 내어 울고 싶었다.

타쿠미의 이야기가 끝난 후 이어지는 '세계를 뒤덮는 거미줄'에서는 안즈가 이야기를 엿보게 된다. 왕따였던 그녀의 학창시절, 결혼생활 그리고 타쿠미를 만난 이야기가 수록된다. 원치않았지만 불임치료를 받아야하는 결혼생활, 공허함 그리고 자신의 외도로 인한 미국행 등이 타쿠미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구성된다.

 

미안해, 타쿠미 군. 나와 만난 것이 불시에 얼굴에 달라붙는 거미줄같이 네 인생에 달라붙어 다니게 될지도 몰라. 멍청하고 못생기고 뚱뚱하고 불임에 변태 주부인 나를 지금까지 만나줘서 정말 고마워. (본문 87p)

 

'2035년의 오르가슴'에서는 타쿠미를 좋아하는 나나가 타쿠미의 성생활을 알게 되면서 느끼는 감정이 묘사되어 있으며, '세이타카의 하늘'에서는 치매에 걸린 할머니와 살고 있는 가난한 타쿠미의 친구 료타 이야기가, '꽃가루와 꿀벌'에서는 조산원을 운영하는 타쿠미 어머니의 삶을 담아내고 있다.

<<한심한 나는 하늘을 보았다>>에서는 수많은 나와 수많은 이웃들을 보게 된다. 세상으로부터 상처를 입은 이들의 모습이었다. 누구나 삶에서 한번 쯤은 지치고 힘들 때가 있다. 그 힘겨움에 아기처럼 울고 싶은 타쿠미의 심정을 느껴본 적도 있으리라. 저자는 상처입은 우리네 모습을 불온한 성생활을 하게 된 타쿠미를 시작으로 그들과 연결된 주변인물 속으로 풀어내고 있지만, 사실 이 작품은 그저 '19금 소설'이라는 결말 외에는 더 이상의 감동이나 공감은 부족했다. 상처입은 이들을 다독여 줄 희망을 좀더 강하게 어필해주었다면 좀 나았을려나, 작품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