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함을 드세요
오가와 이토 지음, 권남희 옮김 / 북폴리오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사람이 살면서 행복함을 느낄 때 중의 하나가 바로 먹는 행복이라고 한다. 먹는 동안에는 슬프고, 아픈 일들을 잠시 놓아둘 수가 있기에 그 행복함이 더 커지는 거 같다. 즐거운 기억을 떠올리거나, 누군가를 기억할 때 우리는 그 기억과 함께했던 음식도 함께 떠올리게 된다. 난 친정엄마가 떠오를 때면 으레 엄마가 끓여주었던 만두국과 김칫국이 떠오른다. 아무리 노력해보아도 그 손맛을 흉내낼 수가 없다. 반대로 만두국과 김칫국이 먹고 싶을 때는 자연스레 친정 엄마가 떠오른다. 누구나 이런 기억 하나쯤은 있지 않을까? <<따뜻함을 드세요>>는 바로 음식에 얽힌 우리네 이야기 7편이 수록되어 있다. 읽는내내 따뜻해지는, 겨울에 따뜻한 어묵국물을 마실 때처럼 온 몸에 따뜻함이 전해진다.

 

 

첫 번째 이야기 [할머니의 빙수]는 나에게 참 특별한 이야기로 다가왔다. 치매인 할머니에게 캐러멜을 주려던 마유는 할머니의 '후'라는 소리에 몇 년 전에 가족 모두 빙수를 먹으러 갔던 일을 떠올렸다. 한참이나 줄을 서서 겨우 소문난 빙수를 먹었을 때, 후지 산 같다고 했던 할머니와의 기억을 말이다. 마유는 황급히 할머니를 위해 빙수를 사 오게 된다.

할머니는 지금 이 순간에도 달콤하게 발효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본문 26p)라는 마지막 글귀는 코끝이 찡한 느낌을 주었는데, 어제 치매로 요양병원에 계신 아버지를 뵙고 온 탓에 그 찡함이 더 했는지도 모르겠다. 평소 군것질을 절대 하지 않으시던 분이 어제는 情파이를 너무 맛나게 드시는게 아닌가. 얼마 전 친정 아버지의 치매가 식탐으로 온 거 같다는 의사의 말이 떠올랐다. 한동안 情파이를 보면 친정 아버지 생각이 많이 날 거 같다.

 

 

주카가이에서 제일 더러운 식당으로 애인을 따라 오게 된 여성은 애인이 마음대로 선택한 메뉴를 먹으면서 애인의 아버지 이야기를 듣게 되고, 아주 로맨틱한 프러포즈를 받는다. [아버지의 삼겹살 덮밥]은 함께 맛있는 식사를 먹을 수 있는 상대가 제일이라는 애인 아버지의 유언처럼 좋아하는 사람과 소소한 대화를 나누는 사소한 행복을 느끼는 법을 알게 된 한 여성의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안녕, 송이버섯]은 일년 반 전 처음 함께했던 노도 여행지에서 마지막 여행을 하게 된 남녀의 이별 여행을 보여준다. 큰 공감이 느껴지는 이야기는 아니었지만, 이들의 이별은 나중에 이들에게 아름답게 기억 될 것 같다.

[코짱의 된장국]은 엄마가 돌아가시고 아빠와 함께 단둘이 살던 딸이 결혼식 전날 아빠를 위해 마지막 된장국을 끓이는 내용을 담아냈다. 엄마와 아빠의 사랑이 된장국을 통해 여전히 이어져 있음이 따뜻하게 그려졌다.

"엄마는 코하루 속에 살아 있어. 전혀 외롭지 않다고 하면 거짓말이겠지만 이 된장국 속에도 엄마가 있는걸." (본문 86p)

 

[그리운 하트콜로릿]은 생각지도 못한 반전을 준 작품이다. 거동이 불편해진 남편과 자주 다니던 레스토랑에 온 할머니의 이야기는 할머니가 남편에게 말하는 대화로 구성되어 있는데, 남편에게 건네는 할머니의 말이 너무도 애달프게 들려온다.

[폴크의 만찬]은 프랑스 어로 돼지고리라는 뜻을 가진 폴크라는 애인과 파리로 자살 여행을 떠난 동성애 남자의 이야기를 담았으며, [때아닌 계절에 기리탄포]는 아빠의 49제에 딸을 초대해 남편이 마지막까지 가장 먹고 싶어하던 음식 기리탄포를 만들어 먹는 아내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남편을, 아빠를 잃은 딸이 기리탄포를 만들어 먹으면서 그 아픔을 이겨내는 과정이 담백하게 그려져있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저편에서 엄마가 미소 지었다. 이제야 조금 평소 엄마의 웃는 얼굴에 가까워졌다. 아빠는 이런 표정의 엄마 얼굴을 보고 싶었을지도 모른다.

때아닌 계절의 기리탄포는 의외로 씁쓸하고 맛이 없었다.

이 맛을 잊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다. (본문 156p)

 

7편의 이야기에는 일곱 가지의 음식과 일곱 가지의 사연들이 담겨져 있다. 때로는 안타깝게, 때로는 따뜻하게 다가오는 이야기를 통해서 [아버지의 삼겹살 덮밥]의 주인공이 느낀 것처럼 좋아하는 사람과 소소한 대화를 나누는 소소한 행복이 얼마나 가치있는 것임을 느끼게 된다. 이 작품은 이렇게 가족이 함께 저녁을 먹으면서 소소한 대화를 나누는 행복, 내가 만든 음식을 가족들이 맛있게 먹을 때 느끼는 행복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다시금 일깨워주었다.

함께 맛있는 음식을 나눌 수 있다는 것, 그것은 사랑하고 있다는 의미가 아닐런지.

 

(이미지출처: '따뜻함을 드세요'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