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려도 괜찮아 토토의 그림책
마키타 신지 지음, 하세가와 토모코 그림, 유문조 옮김 / 토토북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생 시절, 나에게 발표하기는 너무너무 어려운 일이었다. 자신있게 손을 들지도 못했고, 혹여 선생님께서 질문을 하면 틀리지 않을까 걱정하며 쭈뼛쭈뼛 대답도 제대로 못하고 서 있기 일쑤였다. 학년이 높아지면서 다소 바뀌기는 했지만, 어린시절의 그 어줍던 내 모습은 아직도 맞닥치가 않다.

얼마 전 타출판사 '자기주도 학습동화' 시리즈에서 자기주도 학습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질문하기'라고 하였다. 이해 되지 않는 부분이나 모르는 부분에 대해 손을 들고 질문하는 습관은 자기주도 학습 효과를 높이는데 그 과정에서 하나 둘 배워가다보면 학습의 즐거움을 선물한다는 요지였다.

생각해보니, 학창시절 수업이 끝나기 전에 선생님께서 늘 '이해 안되는 사람?'이라는 질문을 하곤 하셨다.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한 번도 손을 들어 질문한 적이 없다. 혹여 친구들에게 놀림을 당하는 것은 아닐까, 두려움과 걱정 때문이었으리라. 그러나 누구도 나에게 '괜찮다'라도 얘기해주고 다독여준 사람이 없었다.

혹 내 아이들이 나와 같은 두려움을 갖고 있거나 부끄러움 때문에 용기를 내지 못한다면 나는 "괜찮다"라고 말해줄 것이다.

틀려도 괜찮아, 라고.

 

<<틀려도 괜찮아>>는 두려움없이 용기있게 학교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아이들을 다독여주는 이야기이다. 엄마가 아이에게 말하듯 들려주는 이야기는 독자 어린이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을 듯 싶다.

 

 

 

틀려도 괜찮아, 교실에선.

너도 나도 자신 있게 손을 들고 틀린 생각을 말해. 틀린 답을 말해. (본문 中)

 

틀린 걸 두려워하면 안되고, 친구들이 틀린다고 웃어도 안된다. 틀린 의견과 답은 함께 생각하면서 정답을 찾아가는 과정 속에서 다 같이 자랄 수 있다.

틀리는 게 무섭고 두려워서 작게 움츠러들면 조금도 자랄 수 없다.

 

 

 

구름 위의 신령님도 틀릴 때가 있는데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우리들이 틀린다고 뭐가 이상해. 틀리는 건 당연하다고. (본문 中)

 

다 자란 어른들도 모르는 게 많고, 배운 것도 기억 못하는 게 얼마나 많은데, 아이들이 정답만 말한다는 건 오히려 말이 안되는 일은 아닐런지. 자꾸 말하고 자꾸 틀리다보면 가끔은 정답을 말할 수도 있다. 혹여 친구들이 이상하다고, 틀렸다고 놀린다고 해도 기 죽을 필요도 없다.

 

 

 

누가 웃으면 어때.

틀리는 게 왜 나빠.

틀린 걸 알게 되면

스스로 고치면 되지. (본문 中)

 

책 전반에 걸쳐 아이들에게 용기를 북돋아주는 구절이 너무도 많다. 틀렸다고 부끄러울 필요도 없으며, 틀렸다고 기 죽을 필요 없다. 괜찮다는 말 한마디가 이렇게 용기를 줄 수 있다는 걸 새삼스레 깨달으면서, 아이들이 용기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괜찮다'라는 말을 자주 들려줘야 할 듯 싶다.

틀린 답을 말하고 정답을 찾아가는 과정 속에서 더 성장할 수 있음을, 괜찮다는 말 속에서 위로를 받고 용기를 얻을 수 있음을 기억해야겠다.

<<틀려도 괜찮아>>를 통해서 우리 아이들도 큰 힘을 얻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스스로도 기억해야 할 말, 괜찮다..괜찮다..괜찮다...되뇌이며 자신감을 찾기를.

 

(사진출처: '틀려도 괜찮아'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