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민이의 왕따 탈출기 ㅣ 미래의 고전 29
문선이 지음 / 푸른책들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얼마 전, 왕따, 학교 폭력을 견디다 못한 아이들의 연이은 자살로 온 나라가 발칵 뒤집어진 사건이 일어났다. 그동안 모두 알고 있었던 일임에도 불구하고, 모른 체 했던 탓에 우리 사회를 뒤흔드는 큰 문제로 불거져버렸다. 이런 문제가 터지면 내 아이가 아니라서 다행이다, 라며 가슴을 쓸어내리곤 했지만, 내 아이들 역시 이런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사실만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문선이 작가는 <양파의 왕따일기>를 통해 왕따 문제를 일찌감치 제시했는데, 이번에 <양파의 왕따일기 2>와 함께 <<수민이의 왕따 탈출기>>라는 작품을 내놓았다.
아이들에게 간혹 넌즈시 물어보곤 하지만, 지금까지 언론에 보도된 내용에 따르면 아이들은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자신의 상황을 어른들에게 얘기하기를 꺼려한다고 한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왕따를 소재로 한 이런 작품들이 우리 아이들에게 큰 용기와 힘을 줄 수 있으리라는 믿음을 갖기게 <<수민이의 왕따 탈출기>>는 반가운 작품임에 틀림이 없다.
주인공 수민이는 스스로를 찌질이라고 표현한다. 이유인 즉, 4학년 때 왕따였기 때문이다. 다행스럽게도 수민이는 아빠의 직장문제로 전학을 한 탓에 새로운 곳에서 5학년을 맞이하게 되었고, 더 이상 찌질이 왕따로 살지 않기로 결심했다. 새로운 학교인 탓에 낯설긴 하지만, 유치원을 같이 다니다 헤어진 엄마의 친구 딸인 하은이와 같은 반이 되어 조금 위안이 된다.
민석이는 수민이네 반 짱이다. 하은이에게 관심있던 민석이는 수민이가 하은이와 친한 것을 본 후 수민이에게 먼저 말을 건네 주었고, 짱인 민석이가 말을 건네 준 것이 수민이는 너무도 행복했다. (이)민석이의 주도하에 구영환, 동성민, 성수민 4명이 모여 항상 한목소리를 내는 의리의 이구동성파를 결성하게 되는데, 왕따였던 자신이 이구동성파의 한 일원이라는 것에 감탄하지만, 사실 수민이는 그저 꼬봉에 불과했다. 세 명의 친구들 숙제를 혼자 도맡아 해야겠고, 민석이가 갖고 싶다는 물건을 엄마에게 거짓말을 하며 타 낸 돈으로 사주어야했으며, 나중에는 엄마 지갑에도 손을 대야만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민이는 왕따였던 시절보다는 낫다며 스스로를 위안한다.
어느 날 조금 통통한 대현이가 아빠가 사준 게임기를 학교에서 자랑하다 민석이에게 찍히는 일이 일어났다. 반장도 꼼짝 못하는 민석이인지라, 대현이는 그날 이후 졸곧 반의 왕따가 되어버렸다. 4학년 때 자신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아 민석이는 마음이 좋지 않았지만, 그런 대현이를 감쌀 수 있는 용기는 없었다. 대현이가 선생님에게 고민을 상담하지만, 반 아이들이 이구동성으로 그저 장난을 치는 것이라 변명하자, 결국 대현이는 선생님에게도 도움이 받지 못했다. 장난과 폭력이 점점 심해지면서 대현이는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는데, 수민이가 4학년 때 왕따였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결국 대현이 대신 수민이가 반의 왕따가 된다.
대현이를 보는데 자꾸 4학년 때 내 모습이 겹쳐 보였다. 그런데도 말릴 수가 없었다. 그 자리에 못박힌 듯 꼼짝도 할 수가 없었다.....대현이는 지금, 그때의 나와 비슷하게 당하고 있는 거였다. 그런데도 난 아무 말도 못했다. 대현이 편을 들다가 내가 다시 반따가 되어 일 년 내내 힘들게 지내게 될까 봐 두려웠다. (본문 38p)
결말에서 대현이가 하염없이 눈물을 쏟아내는 장면에서는 나도 함께 울었다. 쉽게 상처입는 우리 아이들이 왕따로 인해 얼마나 큰 상처를 껴안고 살아가게 될까, 라는 생각에 너무도 마음이 아팠다.
<<수민이의 왕따 탈출기>>에는 왕따를 당하는 대현이, 왕따를 시키는 짱 민석이, 그리고 왕따였다가 민석이 옆에서 대현이가 왕따를 당하는 모습을 보게 되는 수민이, 이렇게 서로 다른 세 명의 아이가 등장한다. 성적이 떨어지면 골프채로 맞는 민석이는 받은 상처는 고스란히 대현이에게 되돌려주고 있었는데, 민석이 역시 어른들로부터 큰 상처를 입고 있는 또 하나의 피해자였던 셈이다.
이 작품에는 서로 상반되는 수민이의 부모, 민석이의 부모도 등장한다. 왕따였다가 왕따를 시키는 아이가 된 걸 안 수민이의 부모는 수민이의 잘못을 인정하고, 왕따로 인해 마음의 상처를 입었던 수민이를 보듬어주려 했으나, 민석이의 엄마는 내 아이가 그럴 리 없다는 현 부모의 모습을 여과없이 보여준다. 서로 다른 상황이지만, 마음에 깊은 상처를 입은 두 아이의 서로 다른 부모의 태도는 부모로서 우리가 왕따를 당하는 혹은 왕따를 시키는 아이에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서로 상반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던 수민이의 4학년때 담임선생님과 현 담임선생님의 모습 역시 주목할만 하다.
왕따로 자살하는 아이들에 관한 뉴스를 보면, 학교에서는 무조건 사건을 은폐하기에 급급하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대현이가 왕따였음을 알게 된 담임 선생님이 방조자였던 아이들에게 입장 바꿔 생각해보고, 사람의 마음을 병들게 하는 무서운 범죄임을 통해서 아이들이 함께 왕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이끌어가는 모습이야말로 또 다른 왕따문제가 대두되지 않을 방법임을 생각하게 한다.
얼마 전 읽은 자녀교육서에서 왕따 문제는 우리 어른들이 가르친 것이라고 쓰여있었다. "너 걔랑은 놀지마!"라는 말로 아이에게 선 긋기를 가르친 것이 아이들에게 패자와 약자라는 타이틀을 걸어준 셈이라고 하는데, 충분히 공감하고 수긍할 법한 이야기였던 터라 왕따를 아이들만의 잘못이라 단정짓기를 어려웠다.
왕따 문제는 남의 문제가 아닌 바로 내 문제라는 인식에서 실마리가 풀릴 수 있다고 하는데, 문선이 작가의 당부의 글 중 "이 세상 누구도 왕따나 폭력을 당해도 되는 사람은 없답니다. 모든 인간은 다 소중하니까요. 나만큼 말입니다."(작가의 말 中) 라는 말을 기억한다면 왕따 문제의 얽힌 실타래는 조금씩 풀어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수민, 대현, 민석이를 통해서 사람은 모두 소중한 존재임을 인식하고, 어른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을 때 문제는 쉽게 풀릴 수 있음을 기억해주었으면 좋겠다. 물론 어른들의 잘못된 판단으로 또 한번의 상처를 입을 수 있겠지만, 또 다른 이에게 도움을 청한다면 더 이상의 아픔은 받지 않으리라는 것을 꼭꼭꼭~!! 기억하길 바란다.
덧붙히자면, 이 작품은 아이들에게 뿐만 아니라, 어른들의 문제점을 꼬집으면서 우리 아이들이 자존감을 갖고 살아가는데 부모 그리고 어른들의 역할이 중요함을 다시한번 상기시키고 있다. 제발 아이들의 내민 손길을 작은 일로 치부하는 실수를 범하지 않기를 바라고 또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