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매미 같은 여름 푸른도서관 51
한결 지음 / 푸른책들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일곱 살의 나는, 엄마가 정해준 진로에 따라 묵묵히 걷고 있을 때였다. 겉으로는 내색하지 않았지만, 그 길이 마음에 들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어떻게 해야하는 건지 알지 못했고 그저 엄마의 말을 따라가다보면 나아지지 않을까, 라는 작은 희망에만 매달려 있었다. 결국 나는 엄마가 정해준 진로에 맞추어 가게 되었고, 그 뒤로 몇 년이 흐른 뒤에야 엄마를 원망하기 시작했다.

현재 열다섯 살의 딸은 주인공 민희처럼 아직 꿈을 찾지 못했다. 꿈을 찾아보려는 노력(찾는다고 찾아지는 것도 아니겠지만)도 별반 해보지 않는다. 열일곱 살의 내 모습을 그다지 기억하고 싶지 않은 나이기에, 딸에게 늘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찾아보라한다. 결국 내가 정해준 길을 가게 될까, 결국 나를 원망하게 될까 나는 두렵기 때문에.

 

민희, 조앤, 진동은 열일곱 살이다. 민희는 아직 꿈이 없다. 하지만 엄마의 강요에 못이겨 미술부에 들어갔다. 다행이 단짝 친구 조앤이 미술부인 탓에 견딜만 했다. 민희는 훌륭한 사육사처럼 언니와 자신을 훈육해온 엄마를 '마녀'라고 부른다. 민희의 한밤에 폭식을 한 뒤에 개워내기를 반복하는 폭식증 환자였고, 그런 엄마의 모습을 보고 민희는 거식증 놀이를 시작하면서 점점 먹는 것이 힘들어졌다.

반면 조앤은 자신을 버리고 간 엄마로 인해 알코올 중독자인 아빠와 단둘이 살고 있는데 점점 아빠를 견디기가 힘들다.

민희를 좋아하는 진동은 '요리하는 래퍼'가 되겠다는 확고한 꿈을 가지고 있으며 매일 자장면 요리사인 아빠를 도와 면발을 뽑는 연습을 한다. 민희도 그런 진동이 싫지 않은 듯 하다.

조앤은 죽어가는 매미를 보며 자신의 처지가 매미와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도 저렇게 되는 건 아닐까?....저렇게 한철 울고 가려고 땅속에서 17년을 견디는 것처럼 우리도 이렇게 학교 갇혀 공부만 하는 거 아닐까? 대학에 가거나 어른이 된다고 해서 크게 달라지는 건 ㅇ벗는 거 같아. 애벌레가 매미가 된 것처럼 그냥 우리도 저절로 성인이 되는 거잖아. 원하지 않아도 말이야. 한철 울다 허무하게 죽어 버리는 매미처럼 우리도 성인이 된다고 꼭 무엇을 이루는 것도 아니고 지금보다 더 행복해지는 것도 아닌 거 같아." (본문 66p)

 

아빠,엄마의 강요와 간섭에 못 견디는 민희와 수학 선생님으로부터 성추행을 당하고 알코올 중독인 아빠를 견디지 못한 조앤은 결국 가출을 감행한다. 가출 첫날은 아빠와 함께 등산을 떠나는 진동이와 함께 산에 올라가는 것으로 시작된다. 한때 방황하는 고독한 양아치였던 진동 아빠는 날개를 갖기 위해 너무 오래 기다리는 매미와 같은 자신이 너무 억울하다는 조앤에게,

"날개는 이미 매미 안에 있는걸. 아예 없는 게 생기는 게 아니라 이미 유충의 디엔에이에 내재되어 있는 거야. 그걸 생각하면 견디는 게 좀 수월하지 않을까?" (본문 151p) 라며 다독여 주는데, 그들을 들은  민희는 내 안에 뭐가 내재되어 있을지, 그걸 어떻게 밖으로 끄집어내야 좋을지 복잡한 심경이 된다.

진동이네 가족과의 헤어진 뒤 조앤과 함께 가출로 방황하던 민희는 어느 날 밤, 돈을 뺏으려는 남학생들로부터 무서운 일을 겪고 집으로 돌아가지만, 조앤은 홀로 가출을 지속한다.

아빠, 엄마의 따가운 눈초리에 민희는 그동안 드러내지 못했던 엄마의 불만, 아빠의 불만 그리고 엄마가 앓고 있는 심각한 폭식증에 대해 폭로하고 함께 치료를 받으며 아직은 어색하지만 서로간의 간극을 차츰 좁혀가게 된다.

그리고 조앤의 사고로 혹독했던 여름은 끝나고 있었다.

 

"나는 좀 다른 의미로 너희가 매미 같은 걸. 사실 나는 너희들 나이가 정말 부러워....너의 여름에서 가장 빛나는 시절이 지금이라는 뜻. 돌이켜보면 청소년기는 매미의 한철처럼 굉장히 짧지만 선생님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웠던 나이는 너희들 나이였어. 그런데 그걸 너희만 모르는 것 같아." (본문 233p)

민희는 상상해본다. 조앤과 자신 그리고 진동 속에서 이미 빛나고 있을 날개를 말이다.

 

조앤에게 민희는 부모님의 관심과 사랑에 대해 힘겨워하는 모습이 투정부리는 것만 같다. 자신과 아빠를 버리고 간 엄마때문에, 자신에 대해 관심조차 없는 아빠때문에 조앤은 외로웠다. 그렇다면 민희의 반항은 정말 과분한 사랑에 대한 투정일 뿐일까?

뭐지, 이 느낌은? 서로가 서로를 두려워하는 것 같다. 눈이 마주치면 불편하고 어색했다. 가족끼리 말이다. (본문 31p)

서로 다른 모습이지만 조앤, 민희가 가족에게 느끼는 불편함은 같다. 서로에게 두터운 벽을 쌓아둔 가족은 표현이 어떻든 견디기 힘든 일임에는 틀림없다.

열일곱 살, 매미처럼 미래가 없을 것 같은 두려움, 오랜 시간 애벌레로 살아야하듯 갑갑한 현실에 대한 두려움, 아무런 희망이 보이지 않는 미래에 대한 두려움 등이 공존하는 모습이 조앤과 민희를 통해 그들의 심리가 잘 드러나있는 작품이다.

또한 가족간의 불화는 역시 소통에 의해서 치유할 수 있음을 덧붙히고 있다.

 

<<우리들의 매미같은 여름>>는 사실 성장소설에서 보여주는 식상함을 많이 내재하고 있다. 가족, 꿈, 가출 등 성장소설에서 보여주는 똑같은 주제를 담고 있기 때문에 타 성장소설과 다를 바 없는 감동을 준다. 그러나 꿈을 가져야한다는 것을 거듭강조하는 담임 선생님 '덕배 형'의 이야기와 꿈을 갖고 노력하는 진동이의 모습과 매미에게 비유하여 누구나 날개가 내제되어 있음을 강조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희망을 눈앞에 그려준다는 점에서 차별화를 두었다.

꿈을 없는 민희와 꿈을 가진 진동이의 모습이 서로 상반되어 그 희망이 더욱 강하게 다가오는 거 같다.

 

"너희들이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는 대학 잘 가기 위해서가 아니다....인간만이 꿈을 가질 수 있는 거다. 그래서 공부를 해야하는 거란 말이야. 너희들이 이런 깊은 고민을 해 봤을 리가 없지. 어린 것들! 공부를 해야 지가 뭘 잘하는지, 뭘 못하는지, 뭘 하고 싶은지, 뭘 좆나 하기 싫은지 알게 된단 말이다. 또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어떻게 살고 싶은지도 알게 되는 거다." (본문 26p)

 

아직 꿈을 갖지 못한 딸아이가 <<우리들의 매미같은 여름>>의 진동, 민희를 보면서 자신안에 내제되어 있는 날개를 발견하고, 꿈을 꿀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