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강현의 제주도 이야기 - 어린이 제주 인문서 ㅣ 아이세움 배움터 32
주강현 지음, 조혜주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2년 4월
절판
(이미지출처: '초등2학년 읽기 책' 본문에서 발췌)
제주도의 올레길이 화제가 되면서 제주도의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졌다. 그에 따라 제주도에 관한 다양한 책들이 쏟아지고 있는데, 대부분은 제주도, 올레길 등을 소개하는 여행 서적들이다. 요즘은 세계7대자연경관 선정, 제주 해군기지로 인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아름다운 섬이라는 점이다.
초등학교 2학년 아들녀석의 읽기책에는 <설문대 할망>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제주도의 창제신화로 아이들에게 제주도에 대한 관심을 끌어내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된다.
요즘은 서울의 초등학교에서도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갈 정도로 제주도는 한 시간이면 갈 수 있는 가까운 곳이 되었지만, 실상 우리 아이들이 제주도에 대해서 아는 것은 그다지 많지 않다. 삼다도, 관광지, 한라산 등이 우리 아이들이 아는 제주도의 전부일게다.
하지만 제주도는 이재수의 난과 4.3 사건 등 우리나라 역사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제주만의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는 곳이다.
제주도는 시간과 거리상으로 많이 가까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람들은 제주도에 바다만큼 넓고 깊은 거리감을 두고 있다. 우리는 제주도를 그저 관광지라는 선을 그어놓고 생각하는 것은 아닐런지.
나에게도 제주도는 그저 관광지라는 틀에 박힌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가까운 이웃 블로거가 제주도로 이사하면서 제주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관광지로서가 아니라, '우리'라는 의미로서의 관심이 생기게 된 것인데, 이는 나 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가 가져야 할 관심은 아닌가 싶다.
지은이가 30여 년간 제주도 곳곳을 돌아다니며 사진찍고 기록하고, 또 제주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분들에게 들은 바를 토대로 쓴 책 <<주강현의 제주도 이야기>>는 바로 그 관심을 높여줄 수 있는 책이다. 특히 '어린이 제주 인문서'라는 타이틀을 단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책이라는 점에서 더 큰 의미가 있으며, 아이들에게 제주도가 좀더 가까운 이웃으로 자리매김하는데 도움을 줄 듯 싶다.
이 책은 어린이서적임에도 불구하고, 제주도에 대한 내용을 알차게 수록되어 있어, 어른인 내가 읽어도 무방한 구성이다.
바람을 이용한 해양 세계의 징검다리였던 제주는, 생활 곳곳에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처마 밑에 풍채를 설치하고, 초가지붕을 새(띠)로 얽어매어 둥글게 만든 제주 초가는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이 책에도 설문대할망 이야기가 수록되어 책을 읽는 아이가 참 반가워했다. 예전에 들은 적은 있지만 제대로 알지 못했던, 우리나라에서는 제주에만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자연환경인 곶자왈의 이야기를 통해서 우리가 지켜야 할 자연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다시금 느껴본다.
돌은 제주 사람들의 숙명이라고 하는데, 크고 작은 길이 돌담으로 연이어져 아름다운 정경을 연출하는데, 골목을 뜻하는 올레는 외부 시선을 차단하여 독립 공간을 가지려는 것인 동시에, 강한 바람이 직접적으로 집 안에 들어치지 못하게 하는 바람막이 역할(본문 89p)도 했다고하니, 환경에 맞추어 살아가는 제주도민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돌, 바람 외에도 제주는 여자가 많아 삼다라 불렸는데, 정말 여자가 많을까?
"배가 침몰하여 돌오오지 아니하니 남자가 한 해에 100여 인이나 된다. 그 때문에 여자는 많고 남자는 적어 시골 거리에 사는 여자들은 남편있는 사람이 적다." (본문 113p)
조선 시대 시인 임제는 기행문 <남명소승>에서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그저 제주의 특징으로만 생각했는데, 지리적 환경에 의한 제주의 슬픈 역사가 숨어있어 안타깝다.
이 책에서는 '해상 강국이었던 독립 왕국, 탐라'를 통해서 제주의 역사를 보여주는데, 제주는 탐라 멸망 이후 붙여진 호칭으로 탐라는 엄연히 독립 왕국이었다. 주제에서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민란이 끊이지 않았는데, 혹독하게 착취하는 관리에게 저항한 자그마한 민란은 그 숫자가 너무 많아서 일일이 거론하기 어려울 정도(본문 153p)라고 한다. 특히 제주민에게는 4.3사건의 슬픈 역사가 있는데, 이는 1948년 4월 3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일어난 민중 항쟁을 말한다. 이외에도 조선 시대에 정부가 출항 자체를 통제하여 고대 탐라의 해양 세계를 상실하는 엄청난 사건도 있었다.
그동안 겉핥기 식으로만 알고 있던 제주를 제주의 곳곳을 담은 사진과 제주의 역사를 볼 수 있는 그림 자료 등을 통해 많은 부분을 알게 되었다. 아름다운 섬 제주가 가지고 있는 역사와 그들의 지혜를 통해서 제주의 아름다움은 자연에서 오는 미(美) 외에도 제주도민의 삶에서도 함께 풍겨나고 있음을 느껴본다.
<<주강현의 제주도 이야기>>는 제주를 아름다운 관광지로 다가가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지켜야 할 아름다운 섬인 제주의 자연환경과 역사 그리고 문화와 제주도민의 삶을 보여줌으로써 우리나라의 섬 제주를 이해할 수 있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지난 가을엔 가족들과 제주 여행을 계획했지만, 일이 틀어져 굉장히 아쉬워했었는데 이 책을 통해서 제주도를 직접 여행한 것보다 더 많이 제주도를 알게 되고, 이해하게 된 듯 하여 그 아쉬움을 달랠 수 있었다.
오히려 이 책을 읽은 후 제주여행을 떠난다면 좀더 바람직한 여행을 할 수 있을 거 같아 다행이다 싶을 정도이니, 그만큼 이 책이 제주도를 잘 담아냈다는 의미일게다.
이 책을 통해 여행으로는 절대 볼 수 없는 제주가 가지고 있는 속내를 엿본 듯 하여 즐거운 여행이 되었다. 왠지 제주도와의 거리가 많이 좁혀진 듯 싶다.
요즘 아이들 수학여행을 제주도로 많이 간다고 하는데, 여행에 앞서 이 책을 통해서 제주를 이해할 수 있는 마음과 눈을 갖고 떠나는 것은 어떨까? 여행을 제대로 다녀온 기분을 얻을 수 있을 듯 싶다.
(사진출처: '주강현의 제주도 이야기' 본문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