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룡을 찾아서 ㅣ 꼬마박사의 신기한 발견 3
클로딘 롤랑 지음, 레미 자이야르 외 그림, 장석훈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1년 9월
절판
아이들에게 가장 흥미로운 동물이 있다면 바로 '공룡'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 어느 누구도 실제 모습을 볼 수 없는 동물이기에 공룡에 대한 신비로움은 호기심을 더욱 자극하는 거 같아요. 자신의 흔적을 아주 조금씩 남겨 놓은 공룡들 덕분에 아이들의 상상력은 마구마구 샘솟지요. 아들녀석은 동물, 곤충에 관한 책을 무척 좋아합니다. 그중에서도 '공룡'이라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날 정도로 좋아하지요. 덕분에 저희 집에는 공룡에 관한 책들이 여러 권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공룡책을 갖고 싶어하는 아이를 위해 새로운 구성을 가진 책을 또 들여놓았습니다. 소장하고 있는 공룡책들은 각각 그 구성이 다 다르지만, 그 중에서도 날개책이나 팝업북은 아이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더욱 자극하는 구성이라 아이들도 좋아하지요.
<꼬마박사의 신기한 발견> 시리즈는 처음 접해보는데, 우리 아이가 좋아할법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어서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유치단계의 아이들부터 초등저학년 어린이들이 읽기에 적합한 내용과 흥미로운 구성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공룡 책을 받자마자 아이는 신이나서 책 읽기에 몰두합니다. 더군다나 펼쳐보고, 돌려보고, 뒤집어보는 구성이 더욱 아이의 마음을 사로잡은 듯 합니다.
공룡에 대한 궁금증은 끝이 없습니다. 공룡은 정말 살았을까? 공룡은 왜 사라졌을까? 공룡은 어디서 살았을까? 등등 사라진 공룡에 대한 궁금증은 좀처럼 쉽게 풀어낼 수 없지요. 고생물학자들은 이런 궁금증을 가지고 공룡의 화석을 찾아다니며 연구를 하지요. 덕분에 우리 아이들은 공룡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기도 하고, 공룡에 대한 호기심을 더욱 키워나가고 있답니다.
<<공룡을 찾아서>>에서는 공룡에 대한 우리의 궁금증을 재미있는 구성과 삽화로 해결해주고 있기에, 공룡에 대한 호기심은 더욱 커질 듯 합니다.
원반을 빙글빙글 돌리면 지금으로부터 2억 년 전 공룡이 살았음을 알 수 있어요. 하지만 오늘날 공룡은 박물관에서나 볼 수 있지요. 공룡이 멸종하고 나서야 꽃을 피우는 식물이 처음 나타나고, 풀은 그보다 수백만 년이 더 지난 뒤에 나타났다고하니, 공룡이 얼마나 오래전에 사라졌으며, 얼마나 오래전에 살고 있었는지 짐작이 갑니다.
종이를 펼치면, 다양한 공룡의 모습을 볼 수 있지요. 스테고사우루스, 파라사우롤로푸스, 파키케랄로사우루스, 트리케라톱스, 브라키오사우루스, 안킬로사우루스, 알로사우루스 등 제각각 다른 특징을 가진 공룡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습니다.
공룡은 티라노사우루스처럼 동물을 잡아먹는 사나운 공룡과 풀을 뜯어머는 온순한 공룡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들의 삶은 간단하게 잡아먹을 것인지, 아니면 잡아먹힐 것인지로 분류되지요.
하지만 온순한 초식 공룡들은 대체로 큰 몸집을 갖고 있기에, 사나운 육식 공룡에 맞서 싸우기도 하는데, 안킬로사우루스와 티라노사우루스가 싸우는 장면을 움직여보면 더욱 실감나게 볼 수 있답니다.
그런데 공룡은 왜 사라졌을까요? 책을 펼치면 그 해답이 나타납니다. 두 가지 학설이 가장 크게 작용하고 있는데, 최근에 본 책에서는 운석이 떨어진 것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고 하네요. 운석이 떨어진 흔적이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공룡이 사라진 것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알 수 가 없습니다. 그 이유를 찾기 위해 고생물학자들은 더 열심히 연구를 하고 있는 것이겠지요? 어쩌면 나중에 우리 아이들이 그 이유를 찾게 될지도 모르는 일입니다.
<<공룡을 찾아서>>는 재미있는 구성으로 아이들의 흥미를 더욱 자극하고, 작지만 알찬 구성과 내용을 가진 책입니다.
책을 좋아하는 아이들은 말할 것도 없겠지만, 책을 좋아하지 않는 아이들도 좋아할법한 구성이라, 책읽기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거에요.
<꼬마박사의 신기한 발견>시리즈의 다른 책들도 궁금해집니다. 어떤 재미있는 구성으로 아이들의 흥미를 자극할지 기대가 되는 책입니다.
(사진출처: '공룡을 찾아서' 본문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