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옹주의 결혼식 ㅣ 푸른숲 역사 동화 2
최나미 지음, 홍선주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 모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1년 12월
평점 :
성년되면 결혼에 대한 이런 저런 생각을 해보게 되는데 설레임도 있지만 걱정되는 부분도 많다. 요즘은 '처가살이'라는 말이 흔해졌을 정도로 결혼하고 처가집에서 함께 사는 신혼부부도 많이 생기곤 있지만, 아무래도 여자가 결혼을 할 때 가장 큰 고민 중의 하나는 '시집살이'가 아닌가 싶다. 전혀 다른 환경에서 살아야하는 어려움,고부간의 갈등 등으로 여자들은 결혼에 대해 적지않은 걱정을 해야하는게 현실이다. 아주 오래전에는 처가살이를 하다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시집으로 들어갔었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언제부터 '시집살이'가 시작되었던 걸까? 대부분은 시집살이가 아주 오래된 우리의 결혼 풍습이라 생각하지만, 사실 시집살이는 조선 중기 이후에 정착된 풍습이라고 하니, 우리나라 역사상 시집살이가 시작된 것은 그다지 긴 시간이 아니었던 거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시집살이는 아주 오랜 전통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 여전히 깊숙이 뿌리박혀 있는 유교사상 때문은 아닐까 지레짐작해본다.
얼마 전 푸른숲역사동화 시리즈 첫번째 이야기 <서찰을 전하는 아이>를 처음 접한 후, 이 시리즈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역사적 사건에 상상력을 불어넣어, 주인공을 통해 역사적 사건을 직접 접해봄으로써 역사를 다양한 시각으로 재조명해볼 수 있는 내용이 너무도 마음에 들었기 때문이다.
두번째 이야기 <<옹주의 결혼식>>에서는 그동안 몰랐던 우리나라의 결혼 풍습에 대해서 엿볼 수 있는데, 처음 '시집살이'를 하게 된 그 시발점을 엿볼 수 있게 된다.
숙신 옹주는 맨 처음 유교의 예법대로 '친영례' 혼례를 치룬 역사적 인물이다. '친영례'란 여자가 시집가는 것을 말하는데, 오랜시간동안 처가살이를 했던 전통을 바꿔버린 사건이기에, 이 역시 역사적 큰 사건 중의 하나로 해도 과언이 아니다.
파원군 윤평이 숙신 옹주를 친히 맞아 가니, 본국에서의 친영이 이로부터 비롯되었다. <조선왕족실로>세종 17년 3월 4일 (본문 中)
이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때는 조선 세종대왕 때로, 숙신 옹주(운휘)는 선왕인 태종의 열입곱 번째인 막내딸로 태어나, 태어나던 해에 태종이 세상을 떠났고, 궁녀 출신이었던 어머니는 태종이 죽기 전에 궁 밖으로 쫓겨나 어미의 얼굴을 알아보기 전에 궁으로 들어왔기에 아버지와 어머니의 얼굴을 모른 채 살았다. 운휘와 친오빠인 후령군은 태종의 다른 후궁인 숙의 최씨가 명선당에서 돌보았는데, 말썽 없이 곱게 자란 후령군에 비해 운휘는 천성적으로 한자리에 가만히 있지 못하는 아이라 말썽을 부리곤 했다.
운휘를 딱하게 여기는 왕실 어른들 빼고는 모두 고개를 설레설레 흔들정도였으니, 왕실 법도와 궁궐 예법, 여인으로서 지켜야 할 덕목을 제대로 익혔을리 만무하다.
그런 운휘에게 전해진 어머니 소식으로 운휘는 큰 아픔을 겪게 되는데, 설상가상 명나라와의 외교관계에서 운휘의 친영례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된다. 명나라 새 황제 즉위식에 세자가 사절로 참석하기를 요구했기 때문인데, 세자의 몸 상태도 좋지 않거니와 왕의 건강도 걱정스러운 일이었기에 명나라의 혼인 풍속을 좇아 친영례를 치러서 문제를 해결하기로 한 것이다.
그동안 조선의 혼인 풍속이 미개하다가 트집 잡던 명나라 사신도 왕실에서 솔선하여 친영례를 대대적으로 치른다는데, 무리하게 세자 참석을 요구 할 수 없을 것이다.오래 고민해 온 친영례도 자연스레 자리 잡을 수 있을 터였다. (본문 134p)
친영례로 혼인이 거행되고, 운휘의 시집살이가 시작되지만 운휘는 궁에서나 궁밖에서나 외로운 처지였다. 믿고 따라야 할 남편조차 운휘의 편이 되어주지 않았고, 생모의 제사를 모시기로 한 남편 파원군이 약속을 제대로 지켜주지 않자, 운휘는 큰 결심을 하게 된다.
"...제게는 어머니가 세 분이셨습니다. 낳아 준 생모와 키워 준 숙의와 아버지 같은 중전 마마이시죠. 그분들은, 제 자신을 믿으라고 가르치셨습니다. 그 말이 무슨 뜻인지 이제야 알겠습니다." (본문 169p)
'그 태평성대가 남자들한테나 해당되는 말이니 그렇지. 편하게 살려면 고객 숙이면 되고, 아니다 싶으면 싸워야지. 그러지 않고는 얻을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어.' (본문 171p)
여자가 중요하지 않아서라 아니라 행해야 하는 길이 다르기에, 여자는 반드시 정숙해야하고, 부인의 덕을 바르게 해야한다는 것과 남편은 하늘이고 아내는 땅이어야 하는 것에 대해 반기를 들던 운휘의 당당함은 친영례를 시작으로 가부장적 문화가 뿌리 깊이 스며들기 시작한 이 결혼 풍습에서 여성으로서의 자리를 당당히 지키고자 했던 첫걸음이 된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친모를 잃게 된 슬픔을 이겨내고, 시집살이라는 또 한번의 역경을 이겨내기 위해 당당하게 걸어가는 숙신 옹주의 모습은 당차지만, 안타까운 마음도 많이 든다.
명나라와의 외교적인 관계를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유교 사상을 백성들에게 전파하기 위한 방편이 되어야 했던 숙신 옹주의 '친영례'는 그다지 유쾌한 일은 아니었던 듯 싶다. 그만큼 나라의 힘이 강하지 못했던 것에 대한 단면적인 모습이 드러난 것이었으며, 지금까지도 가부장적인 문화에서 벗어나지 못해 여전히 남성과 여성에 대한 편파적인 현실을 초래했기 때문이다.
<<옹주의 결혼식>>은 현 결혼문화의 시발점이 된 역사적 사건을 보여주고 있으며, 슬픔과 어려운 환경에 맞서 씩씩하게 이겨나가는 운휘의 모습을 통해서 옳다고 생각하는 일에 자신의 생각을 굽히지 않고 당당하게 주장하는 용기를 보여준다.
주인공 운휘를 통해 바라본 현 결혼 문화의 시발점은 상상력이 가미된 역사동화를 통해서 다양한 각도에서 역사를 보는 눈을 키우게 되는 듯 하다. 역사적 순간에 가미된 상상력은 역사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어, 어린이들에게 역사가 가진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하나의 방편이 되지 않을까 싶다. <서찰을 전하는 아이>에 이어 <<옹주의 결혼식>>이 보여준 <푸른숲 역사동화>는 다른 시각으로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을 녋혀주면서 재미또한 선사한다. 이 책으로 앞으로 보여줄 이 시리즈에 대한 기대가 더욱 커지고 있다.
(사진출처: '옹주의 결혼식' 본문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