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를 드립니다 - 제8회 윤석중문학상 수상작 미래의 고전 27
이금이 지음 / 푸른책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금이 작가의 신작 소식은 내게는 늘 반가운 일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재로,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하는 부분을 깨달을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감동이 있는 이금이 작가의 작품들을 나는 너무도 사랑한다. 금새 후두둑 눈물을 흘리다가도 행복한 결말을 보며 미소를 띄울 수 있는 작품속에서 나는 가족과 이웃에 대한 사랑과 고마움을 느낀다. 또 그 안에서 내 아이의 마음을 엿보고, 그릇된 내 모습을 반성할 수 있기에 이금이 작가의 책을 찾게된다.

이번에 출간된 <<사료를 드립니다>>는 다섯 편의 동화가 수록된 단편동화집니다. 이 다섯 편의 동화 안에서 우리 아이들의 모습을 보게 되었다. 꿈을 꾸는 아이, 관심받고 사랑받고 싶어하는 아이, 부모와의 갈등으로 겪고 있는 아이 등 이 작품 속에는 평범한 우리 아이들의 모습을 고스란히 녹아내고 있는데, 그 평범한 아이들의 심리적인 묘사를 통해서 '성장'이라는 커다란 감동을 끄집어내고 있다.

 

첫 번째로 수록된 <조폭 모녀>는 읽으면서 괜히 내 뒤통수가 가려운 느낌이었는데, 내 딸에게 나는 '조폭 엄마'이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딸의 의견 따위는 아랑곳하지 않는 조폭 엄마와 딸 민지와의 갈등과 화해가 민지가 좋아하는 영민이를 통해서 재미있게 풀어낸 작품이다. 학습지 선생님인 엄마와 개그맨이 꿈인 민지 사이에서 가장 큰 갈등은 아무래도 '성적'이다. 그 성적때문에 영민이에게 예쁘게 보이고 싶어 하고 싶었던 파마 대신에 짧게 머리를 짤리게 되었으니 민지에게 엄마가 좋게 보일리 만무하다. 공부를 잘하는 영민이는 학습지 선생님이 좋다고 한다. 그런데 이런 무슨 아이러니인가? 민지 엄마가 바로 영민이의 학습지 선생님이 아닌가.

이제 민지와 조폭 엄마는 영민이에게 결코 들켜서는 안 될 공통의 비밀이 생긴 것이다. 그리고 민지에게는 영민이라는 비장의 무기가 생겼다. 엄마에 대한 불만을 가졌던 민지가 영민이를 통해서 엄마의 다른 면을 보게 되고 그로인해 갈등을 해소해가는 과정이 너무도 유쾌하게 그려진 작품이었다.

 

<건조 주의보>는 공부 잘하는 누나 때문에 늘 소외감을 느끼는 건우의 마음이 너무도 안쓰러운 작품이다. 학원이나 과외 대신 공짜거나 값싼 인터넷 강의를 듣는 것만으로 성적이 전국에서 몇 손가락 안에 드는 누나 덕분에 건우는 걸핏하면 엄마의 분풀이 대상이 된다. 공부를 너무 많이해서 안구 건조증에 걸리 누나, 온몸이 가려운 피부 건조증인 아빠, 입이 바짝바짝 마르는 구강 건조증인 엄마, 그러나 건우는 아무 건조증에 걸리지 않았다. 건우는 왠지 더 큰 소외감을 느낀다. 그런 건우를 좋아하는 윤서는 자신의 마음을 몰라주는 건우에게 마음이 건조하다고 한다. 그 말에 이제 가족이 된 것 같아 기뻐하는 건우를 보니 짠한 마음이 든다.

 

누나는 안구 건조증, 아빠는 피부 건조증, 엄마는 구강 건조증, 그리고 나는 마음 건조증! 이제 나도 당당히 한 가족이 됐다. 건조 가족. (본문 52p)

 

<몰래카메라>는 요술 주머니 때문에 생긴 에피소드를 담아냈는데, 돈이 필요했던 유나가 할머니를 도와주고 얻게 된 요술 주머니에서는 거짓말처럼 돈이 쏟아진다. 그러나 돈이 생긴 기쁨에 기분을 내고 즐거워했던 것도 잠시 근심을 얻게 되는데, 이 작품에서는 유나가 요술 주머니를 얻고 그로 인해 갖게 된 기쁨과 걱정 등의 심리 묘사가 잘 드러나있다.

<이상한 숙제>는 아름다운 사람을 찾아보는 숙제 때문에 고민을 하는 혜빈이가 선생님께 보내는 편지 형식의 글이다. 아름다운 사람의 기준에 대한 아이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요즘 우리 아이들은 마음보다는 외모를 상당히 중시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는데, 아름다움의 기준이나 선한 사람의 기준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는 우리 아이들에게 이 이야기는 좋은 본보기가 될 거 같다.

 

표제작 <<사료를 드립니다>>는 어른들 결정에 의해 유학을 떠나면서 어쩔 수 없이 강아지 장군이와 헤어졌다가 다시 집으로 돌아오면서 장군이를 찾는 과정을 담아낸 작품이다. 자신의 의견과 상관없이 결정된 유학, 그리고 장군이와의 이별로 인한 불만과 외할머니의 암 말기 판정으로 다시 집으로 돌아오지만, 장군이를 찾고 싶어하는 자신의 마음에 관심없는 부모에 대한 장우의 불만 등이 드러나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작품에서는 주시해야할 부분은 장우가 장군이를 애완동물이 아닌 친구 혹은 가족으로서 사랑하는 법을 배우게 되는 과정이다. 이 작품에서 장우는 돌아가신 외할머니에 대한 아픔이나 슬픔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는 듯했는데, 장군이를 진심으로 좋아하는 미리의 일기를 통해서 장군이를 놓아주게 되면서 비로소 이별에 대한 아픔을 알게 된다. 특히 가족의 문제나 가족들의 입장보다는 장군이를 찾아야하는 자신의 문제에만 치중해있던 이기적이었던 장우가 '타인'을 생각하게 되는 성장도 눈여겨 볼 만하다.

 

다섯 편의 동화 모두 짠한 마음과 뭉클함을 느끼게 했다. 이금이 작가는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아이들의 모습을 너무도 잘 표현하고 있는데, 그저 무심코 넘겨버릴 법한 아이들의 마음을 잘 잡아내어 '성장'이라는 주제로 감동과 함께 잘 버무려주었다.

이는 엄마 조차도 무심히 넘겼을 아이들의 마음을 잘 어루만져 주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또한 조폭엄마처럼 강압적인 말이나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어른들 마음대로 이 결정되어버리는 일들로 인해서 아이들은 상처받고 있음을 저자 이금이는 아이들을 대신해 우리들(부모)에게 전해주고 있다.

더불어 저자는 요즘 이기적인 아이들의 마음을 이야기를 통해 지적하고 있는데, 이 작품을 통해서 상대방의 마음을 잘 헤아리지 못하고, 아름다운 마음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하는 삭막해져버린 우리 아이들의 마음이 따뜻하고 풍성해졌으면 좋겠다. 이금이 작가는 항상 기대한 것 이상의 감동을 주곤 하는데 씨앗으로 커다란 나무를 그려낸 <<사료를 드립니다>>를 통해서도 많은 것을 얻고, 깨달을 수 있어 책 읽는 시간이 너무 즐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