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티, 나의 키티 동화 보물창고 33
빌 월리스 지음, 원지인 옮김 / 보물창고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내가 좋아하는 분위기의 파스텔톤의 표지 삽화가 내 눈길을 사로잡았다. 더불어 표지에서도 이 책이 많은 감동을 줄 거라는 힌트를 주고 있었지만, 생각보다 더 진한 뭉클한 감동이 책 읽는 즐거움을 맛보게 해주었다.

길거리에서 유기견과 길고양이를 마주치는 일은 아주 흔한 일이 되었다. 가끔은 너무 지저분해서 눈쌀을 찌푸리는 경우도 있지만, 사람에게 버림받고 상처입은 그들의 모습을 보면 너무도 안타깝다. 연예인의 유기동물 입양사례가 늘어나면서 유기동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반면 유기동물이나 기르던 애완동물을 폭행하는 사례도 심심치 않게 일어나면서 우려의 목소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요즘 이런 불편한 진실에 대한 이야기를 소재로 한 책들이 출간되면서 유기동물에 대한 관심을 높여주고 있지만, 여전히 유기동물에 대한 우리들의 부정적 시선은 쉽사리 변하지 않고 있다. <<키티, 나의 키티>>는 한 소년과 유기견을 통해서 보여주는 우정을 통해서 유기동물에 대한 우리들의 관심을 일깨운다. 또한 누구나 가지고 있는 두려움은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희망의 메시지도 함께 전한다.

도시에 살던 리키네 가족은 시골에서 사는 것을 오랜 숙원으로 생각하던 아빠로 인해 오클라호마에 있는 농장으로 이사를 하게 되고, 2년 후 리키에게 작은 소동이 일어난다. 어린 시절 개에게 물려 큰 부상을 입었던 리키는 개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데, 그런 리키에게 고양이 여섯 마리 사이에서 먹이를 먹으려던 작은 강아지 한마리가 나타난다. 털북숭이 고양이들이 한 덩어리가 되어 강아지 한 마리를 향해 할퀴도 달려든 탓에 강아지는 먹이를 먹지 못하고 달아나야만 했다. 강아지를 본 리키는 두려운 나머지 무심결에 오른쪽 눈 아래에 있는 상처 자국과 목 뒤에 있는 길고 거친 상처 자국을 문질렀다.

며칠 뒤, 남자 아이들과 미식축구 경기를 하던 중 새미는 리키를 괴롭혔고 화를 참지 못한 리키는 새미를 혼내주었지만, 새미의 도베르만 러프를 보자 도망을 가야했다. 이 사건으로 아빠는 여전히 개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리키에게 불만을 토해내고, 리키 역시 자신의 두려움을 이해하지 못하는 아빠에 대한 불만을 갖게 된다.

"개를 무서워하는 것은 저도 어쩔 수가 없어요. 어쩔 수가 없다고요."
"뭔가 두려워하는 건 받아들일 수 있는 일이야. 하지만 공포가 네 인생을 좌지우지하게 둬서는 안 돼. 공포가 널 몰아붙이게 둬서도, 네가 기억조차 못하는 미친 짓을 하게 만들도록 둬서도 안 돼. 그건 네가 극복해야 하는 거야. 두려움은 네가 통제해야만 하는 거야. 그게 널 쓰러뜨리기 전에 네가 먼저 쓰러뜨려야 하는 것이란 말이다." (본문 49p)

말 뷰티를 외양간으로 데려다 주던 리키는 건초 속에서 고양이에게 쫓겨 먹을 것을 먹지 못해 굶어 죽기 직전 어린 강아지를 보게 되고, 안타까움에 먹이를 주기 시작한다. 먹이를 주면서 강아지를 만지게 되고, 떨림과 두려움, 개가 가까이에 있을 때마다 느껴지던 울렁거림도 없어지게 되었다. 그렇게 리키는 개에 대한 두려움을 조금씩 극복해가고 있었다. 강아지는 리키의 보살핌으로 어느 새 듬직한 개로 성장하게 되었고, 이제 고양이 여섯마리를 거뜬히 이기게 되었으며, ’키티’라는 이름도 생겼다. 
고모네 가족의 사고로 아빠가 며칠 동안 집을 떠난 어느 날 밤, 리키와 키티는 사라진 암소를 찾으려다 들개떼의 공격을 받게 되고, 리키는 사라졌던 개에 대한 두려움이 다시 생겨나는 것을 느낀다. 

<<키티, 나의 키티>>에서는 우리에게 많은 생각거리는 던져준다. 소년과 유기견의 뭉클한 우정과 한 소년이 가지고 있는 두려움에 대한 큰 줄기에서 파생된 이야기 속에는, 사람들에게 버림받은 유기견들이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유기동물은 생존을 위해 먹을 것을 찾아 쓰레기통을 뒤지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예전에 동물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는 프로그램에서 유기견들이 생존을 위해 시골의 가축들을 잡아가는 장면을 보여준 적이 있다. 버림 받은 이들이 생존을 위해 살아남기 위한 방법이 이것 뿐이었던 들개들에게 우리가 그들을 손가락질할 자격이 있을까? 이는 사람들의 이기적인 행동으로 인해 생겨난 일임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 밖에도 이 책은 가족과의 갈등과 친구와의 갈등 등 일상 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공감을 선사한다.

리키와 키티의 행복한 결말을 기대했지만 안타깝고 슬픈 결말은 죽음과 마주하게 되는 소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결코 어둡거나 암울하지 않았던 것은 ’죽음’으로 인해 우정이 사라지는 것은 결코 아니라는 것을 느끼게 해주기 때문이었다. <<키티, 나의 키티>>는 유기동물에 대한 우리들의 관심이 그들에게 큰 희망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일깨운다. 말 못하는 동물이지만, 그들도 하나의 소중한 생명체이며, 우리와 똑같은 가슴 뜨거운 심장을 가지고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이것이 키티가 우리에게 꼭 하고싶었던 말이었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