닮았지만 다른 교과 개념 54가지 - 교과서에서 쏙쏙 골라 뽑은
이영란 지음, 조위라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 녀석 모두 어릴 때, 사자와 호랑이를 너무도 헤깔려했다. 어른의 눈에는 서로 전혀 다른 동물인데, 아이들의 눈에는 서로 닮아보이는가 보다. 이처럼 어른들이 보기에는 다른 두 가지가 아이들에게는 너무도 헤깔리는 것들이 있다. 호랑이와 사자 뿐만 아니라, 까치와 까마귀, 거문고와 가야금, 민족과 인종처럼 말이다. 사실 아이들이 물어오면, 나 조차도 두 개념의 차이를 설명하기 어려울 때가 한두번이 아니다. ’가르치다와 가르키다’처럼 서로 닮은 듯 하지만, 다른 뜻을 가진 용어들이 많기에, 확실하게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년이 높아갈수록 생소한 학습 용어 때문에 과학, 사회 과목에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데, 이는  한자에 익숙하지 않은 아이들에게 우리나라의 학습 용어의 많은 부분 한자어로 되어 있어 개념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렇게 닮았지만 다른 뜻을 가진 개념들로 인해서 개념이해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호소한다.





<<닮았지만 다른 교과 개념 54가지>>는 교과서에서 중요하지만 헷갈리기 딱 좋은 개념을 쏙쏙 골라 뽑아 수록한 책으로, 닮았지만 다른 개념을 비교하여 확실한 이해를 돕고 있다.
닮았지만 다른 개념, 닮았지만 다른 것, 닮았지만 다른 동물로 나뉘어 확실히 구별되는 특징을 구별시켜준다.
문화가 같은 사람들의 집단은 민족이고, 피부색에 따라 나뉘는 집단을 인종이라 한다. 대통령제를 채택한 나라의 대표는 대통령이라 부르고, 의원 내각제를 채택한 나라의 대표는 수상이라 한다. 대통령은 국민이 선출하고 수상은 의회에서 선출하기 때문에 대표와 수상은 닮은 듯하지만, 두 개념에서 확연한 차이점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현악기인 거문고와 가야금은 모양이 비슷해서 학창시절 나 역시도 많이 헤깔렸던 기억이 난다.
줄이 6개인 거문고와 줄이 12개인 가야금은 연주하는 방법도 다르며, 악기를 만드는 나무도 다르다. 



이렇게 헤깔리기 쉬운 교과 개념을 확실하게 잡아주는 것은 학습 효과의 증대와 학과 수업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특히 두 가지 개념을 비교해 놓음으로써,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함은 물론 탐구력, 사고력, 관찰력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의 구성과 형식은 큰 장점으로 부각된다.
부록으로 수록된 초등 교과 연계표는 교과 진도에 맞추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3학년 과학과 사회 과목이 생겨나면서 가장 힘들어하는 하는 시기에 <<닮았지만 다른 교과개념 54가지>>는 어려운 용어 개념을 확실하게 잡아줄 듯 싶다.

(사진출처: ’닮았지만 다른 교과 개념 54가지’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