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개의 고양이 눈 - 2011년 제44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최제훈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정말 독특하다고 얘기하지 않을 수 없는 구성을 가진 작품이다. 소설 속에 또 다른 소설이 존재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거나 혹은 서로 다른 이야기들이 서로 모여 하나의 소설로 만들어진 작품인 듯한 느낌이기도 하다. 저자의 첫 장편 소설이라 알고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첫 번째 이야기 <여섯번째 꿈>으로 이야기가 막을 내렸다. 단편인가 하여 다음편을 읽다보니 앞서 이야기와 만나는 접점이 생긴다. 앞서 이야기를 이해하지 못한 듯 하여 다시금 앞선 내용을 뒤적여보며 다시 책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같은 듯 그러면서도 다른 듯한 이야기가 나로 하여금 책에 몰두하게 만들어 버렸다. 이런 독특한 구성의 작품을 만난 적은 없었던 것 같다. 신선하면서도 난해하면서도 흥미로운 작품이다. 그러기에 이 작품을 두고 ’장르와 경계를 무너뜨린 벼락처럼 찾아온 한국문학의 축복’이라 하고, ’한국소설에서 좀처럼 만나기 어려웠던 낯설고 진귀한 물건’이 될 거라고 했는가보다. 

’실버해머’ 카페의 운영자인 ’악마’로부터 초대를 받은 여섯 명이 산장에 모여 주인장을 기다리며 서로 연쇄살인범에 관한 이야기를 늘어놓는다. 늦은 시간까지 악마는 나타나지 않았고, 이들은 이야기를 나누다 산장에 있는 여섯 개의 방에 각자 들어가 잠을 청하지만, 닉네임 ’한니발’을 시작으로 한 명씩 살해되는 것을 보며 두려움에 떨게 된다. 꿈 속에 나타난 검은 가면을 쓴 사람이 살해하는 장면을 목격하지만, 다음 죽음을 막을 수는 없었다. 악마를 기다리며 나누었던 연쇄살인범의 대한 이야기처럼 죽어가는 이들...게임은 시작되었다.  

"우리는 ’실버 해머’의 일원으로 여기에 모이게 됐습니다. 놈은 ’실버 해머’의 주인이고, 힌트가 있다면 그곳에 숨겨뒀겠죠. 우리가 아는 지식을 동원해봅시다. 지금까지의 형태로 봤을 때 악마라는 놈은 철저한 조직적 연쇄살인범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조직적 연쇄살인범은 일정한 기준과 목적을 먼저 세우고 거기에 맞춰 희상자를 선택하는 게 특징이죠." (본문 41p)

밀실 살인에 대한 공포,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남은 자들은 게임의 단서를 풀기 위해 서로에 대해 알아가기 시작하지만, 그들을 하나로 이어줄 연결점은 찾지 못했다.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민규는 사람들이 꿈 속에서 보았다는 검은 가면을 보았다. 민규는 꿈을 꾸고 있는 것일까? 게임은 정말 끝난 것일까? 굉장한 미스터리를 남긴 채 <여섯번 째의 꿈>은 끝이 났다.

그리고 이어지는 <복수의 공식><π><일곱 개의 고양이 눈>은 앞선 <여섯번 째의 꿈>에서 파생된 각자의 이야기를 보여주고 있다. 게임의 단서를 풀기 위해 각자에 대해 알아가려했던 이들의 이야기가 후속편으로 보여지고 있는 느낌이라고 해야할까? 그렇다면 여기서 악마가 만들어놓은 실마리를 우리는 풀어내야 하는 것인가보다. 이들은 서로를 모르는 듯 하지만 그들의 이야기 속에서 과거를 되짚어보면 그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자의 이야기를 먼저 풀어내고 마지막에 <여섯번 째의 꿈>을 읽었다면 이 정도로 책에 몰두하지 못했으리라. 단편이라 생각했던 이야기가 결국 하나로 묶여지면서 독특한 구성을 가진 깜짝 놀랄만한 작품으로 탄생되었다.
조금은 난해한 느낌을 주고 있고, 그 연결고리를 파악하는 것도 쉽지 않은 작품이지만 읽어갈수록 매력적인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이 연결고리를 제대로 찾아내었는지도 의문이고, 여전히 작가가 만들어놓은 미스터리한 미로 속에 갇혀있는 느낌이다. ’마법 같은 완벽한 미스터리!’라는 책 소개 문구가 책을 다 읽은 후에야 눈에 들어온다. 정말 마법같은 작품 그래서 도저히 그 마법에서 풀려나지 않는 몽환적인 느낌을 주는 작품이다.

"단순한 미스터리소설이 아냐."
"그럼?"
"단 한 편의 완벽한 미스터리소설."
"단 한 편의 완벽한 미스터리 소설........그게 어떤 건데?"
"그게 바로...............그 소설의 핵심 미스터리야."
(본문 196p)

이 책에 대한 느낌이 본문 내용 중에 실려있다. 이 소설은 단 한 편의 완벽한 미스터리 소설이다라고 할 수 있다. 이 소설이 가지고 있는 독특함을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단지 읽어보라고 권할 수 밖에...그의 독특함에는 묘한 중독성이 있는 듯 하다. 그의 전 작품인 <퀴르발 남작의 성>이 궁금해진다. 과연 이 책에서도 그의 작품이 가지고 있는 마력을 느낄 수 있을까? 사뭇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