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어 주는 로봇 저학년을 위한 꼬마도서관 53
정회성 지음, 원혜진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들에게 책을 읽어야 한다는 것을 어떻게 말로 설명할 수 있을까요? 독서의 중요성이 많이 강조되면서부터 어린이들에게는 독서라는 또 하나의 숙제가 늘었습니다. 하기 싫은 독서를 숙제때문에 억지로 한다면, 독서로 인해서 얻을 수 있는 많은 좋은 점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을 것입니다. <<책 읽어주는 로봇>>에 등장하는 마을 사람들의 모습은 바로 숙제로 인해서 억지로 독서를 하는 어린이들의 모습과 닮아 있습니다. 그들의 모습을 통해서 어린이들은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될 것이고, 주인공 로봇을 통해서 책 읽기가 주는 장점을 하나씩 알아가게 될 것입니다.

주니어김영사에서는 <책 먹는 여우>에 이어 <책 속으로 들어간 공룡><책으로 집을 지은 악어><책 만드는 마법사 고양이><책을 사랑한 꼬마 해적> 그리고 <책 읽어주는 로봇> 등 다양한 이야기로 책 읽는 즐거움을 일깨워주는 책 시리즈가 출간되고 있습니다. 이는 어린이들에게 책 읽는 즐거움과 책을 통해서 알게되는 다양한 지식과 경험 등을 스스로 깨닫게 하고, 책 읽는 어린이가 되기를 바라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은 아닌가 싶어요.
<<책 읽어주는 로봇>>은 최신형 로봇 보보가 책을 통해서 감정을 느끼게 되고, 사람들에게 책 읽기의 즐거움을 깨닫게 해주는 즐거움과 잔잔한 감동이 담긴 이야기입니다.
보보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공학박사가 만든 최신형 로봇입니다. 사람처럼 걸을 수 있고, 말을 할 수 있으며, 스스로 생각할 수도 있고, 가장 중요한 것은 책을 읽을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어느 날 보보는, 책과 담을 쌓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 마을의 도서관에서 책을 읽어주는 일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왜 책을 좋아해야 하죠?"

"우리 마을은 엄청 지저분해. 사람들이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거든!"
"마을 사람들은 사이가 좋지 않아. 양보도 할 줄 모르고, 걸핏하면싸운단다."
"이게 다 책을 좋아하지 않아 감정이 메말라서 그런 거야. 그러니 보보 네가 책을 읽어 줘.." (본문 中)

보보는 아무도 찾아오는 사람은 없자 가까운 거리로 나가 보았다가, 쓰레기 천지인 거리와 낙서투성이의 건물, 하나같이 무뚝뚝한 사람들, 그리고 말다툼을 벌이는 사람들을 보게 됩니다.
그러다 말썽꾸러기 아이들을 만나 놀림을 당하게 되었는데, 링링이와 강아지 꾸꾸가 아니였다면 보보는 많이 다치게 되었을 거예요.
그 후 링링이와 친구들은 보보를 찾아왔지만, 보보는 건조하고 딱닥한 기계 소리로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줄 뿐이었습니다.
일주일이 지나도 여전히 사람들이 보보를 찾아오지 않자, 도서관장은 일주일에 한 번씩 보보가 읽어 주는 이야기를 듣지 않으면 마을 청소를 해야하는 벌칙을 정하게 됩니다.
마을 사람들은 보보를 찾아왔지만, 꾸벅꾸벅 졸거나 투덜이 아저씨처럼 도장만 찍어달라고 윽박지르기도 했습니다.
말썽꾸러기 아이들은 끊임없이 보보를 괴롭혔고, 그때마다 링링이는 보보를 도와주었죠.

 

"넌 감정도 없는 차가운 기계야."
"맞아. 책만 읽을 줄 알지. 기쁨이 뭐고 슬픔이 뭔지도 모르잖아."
"책도 아주 딱딱하게 읽어. 감정이 없으니까 말이야." (본문  中)

링링이와 친구들에게 <인어공주>를 읽어주던 보보는 인어공주가 불쌍해서 우는 친구들을 보면서 감정에 대해서 생각하게 됩니다.

"어떻게 하면 감정을 가질 수 있나요?"

"사람들에게 책을 읽어 주는 것에 그치지 말고 네 스스로 느끼면서 책을 읽어 봐. 그럼 너도 감정을 갖게 될 거야."
(본문 中)

보보가 마을에 온지 두달이 지난 어느 날, 투덜이 아저씨는 귀찮은 보보를 고철더미에 버리게 됩니다, 자신을 찾아 애쓰는 링링이와 친구들 덕분에 무사하게 된 보보는 고맙다는 감정을 느끼게 되고, 책도 재미있게 읽게 되었어요. 덕분에 마을 사람들은 보보의 책 읽기를 즐거운 마음으로 듣게 되었고 마을은 점점 깨끗해지고 사람들은 행복해 했습니다. 그리고 스스로 책을 찾아 읽게 되었답니다.

 

보보가 감정이 생기게 되는 과정, 마을 사람들이 스스로 책을 찾아 읽게 되는 과정은 어린이들에게 책을 읽어야하는 이유를 깨닫게 합니다. 로봇이 감정이 생기는 과정을 담은 흥미로운 소재는 어린이들에게 책을 읽는 동안 정말 즐겁다..라는 생각을 갖게 할 거 같아요. 보보는 어떻게 되었을까? 하는 궁금증에 자꾸자꾸 페이지를 넘기게 되거든요.
왜 책을 읽어야 할까요? 그 물음에 대한 답은 바로 이 책 <<책 읽어주는 로봇>>에 담겨져 있습니다. 책 속에는 슬픔, 기쁨, 행복과 아픔 등 수많은 감정들이 담겨져 있어요. 차가운 기계일 뿐이었던 로봇이 감정이 생길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책’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책 시리즈는 그렇게 책을 읽는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동시에 책을 읽어야하는 이유를 스스로 깨닫게 하는 유익하고 즐거운 책 시리즈입니다.

(사진출처: ’책 읽어주는 로봇’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