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 멋대로 찍어라 - 포토그래퍼 조선희의 사진강좌
조선희 글.사진 / 민음인 / 2009년 11월
품절
아이를 키우면서 가장 많이 하는 일이 바로 사진찍기이다. 하루하루 달라지는 아이의 모습을 담아두기 위해, 아이가 태어난 순간부터 나는 포토그래퍼가 된다. 사실 마음은 포토그래퍼인데, 정작 찍혀진 사진을 보면 마음에 드는 사진은 몇 장 없다. 얼마 전 아이들의 앨범을 만들기 위해서 1년동안 찍은 아이들의 사진을 고르면서 속상한 적이 있었다.
사진 찍기를 참 좋아하지만, 정작 사진을 찍을 줄은 모른다. 그러고보니 카메라 매뉴얼도 제대로 읽어본 적이 없다는 것을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떠올렸다.

연예프로그램을 보다보면, 연예인들의 화보 촬영 현장을 찾아가는 경우를 종종 접하게 된다. 그럴 때 만나게 되는 사진작가 있는데 바로 ’조선희’ 포토그래퍼이다. 연예인의 모습을 몇 배는 더 예쁘고 멋지게 찍는 그녀를 보면서, 사진찍기에 몰두하는 그녀의 모습이 참 아름답다는 생각을 한적이 있다. 사진 참 잘 찍는다.......라는 부러움은 말할 것도 없다. 포토그래퍼들을 보면서 느끼는 것인데, 그들이 사진을 잘 찍는 것은 사진을 잘 찍기 위해 노력했던 부분도 있을 것이고, 사진을 잘 찍을 수 있을 나름대로의 노하우도 있겠지만, 좋은 카메라를 가지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었다.
그런데 조선희 포토그래퍼의 가장 손에 잘 맞는 카메라는 25만원짜리 카메라라고 한다. 이쯤되면, 카메라를 탓하고 있던 나의 착각은 끝나게 되고, 그녀의 사진 잘 찍는 노하우에 큰 관심을 갖게 된다.
장비에 집착하지 마라! 사진가들은 흔히 장비엔 연연하는 사람처럼 정말 사진을 사랑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고 말한다. 그들의 카메라는 장롱 신세가 되기 일쑤다. (중략) 요즘처럼 기술이 발달한 시대에 내 손에 맞는, 내 손에 착 달라붙는 카메라를 찾는 것은 그다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본문 中)
그녀는 카메라를 주어 보고 만져 보면 점차 감이 오는데 단순한 그립감뿐만 아니라 느낌이 확 오는 카메라를 구입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포인트는 렌즈이며, 카메라가 아무리 싸더라도 렌즈는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칼 자이스 같은 렌즈 전문 제조 회사에서 만들어진 렌즈가 부착된 디카나 필카를 사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만약 기계치라면 로모 카메라를 추천한다는 그녀는 필카 신봉자란다.
그림이 백지 캔버스에 물감 등의 재료가 더해짐으로써 얻게 되는 것이라면 사진은 이미 100으로 존재하는 세상의 것을 내 카메라로 찍어 떼어 냄으로써 얻게 된다. 한마디로 그림이 덧셈이라면 사진은 뺄셈이다. 카메라에서 무엇을 덜어 내느냐에 따라 존재의 의미가 달라진다.
사진 초보자라면 ’잘라내기 연습’을 할 필요가 있다. (본문 中)
조선희 포토그래퍼는 초보자에게 카메라를 구입하는 법부터 사진을 잘라내는 법, 빛에 집중하는 법부터 세세하게 설명하고 있지만, 사실 조금은 어렵게 느껴진다. ’일단 마구 셔터를 눌러라. 무엇이 두려운가’라는 그녀의 말처럼 이해되지 않는 부분들은 몸소 셔터를 눌러봐야지 와 닿을 듯 싶다. 우리는 보통 여행을 통해서 혹은 특별한 날과 특별한 장소에서만 사진을 찍으려고 한다. 사소한 것에서 특별함을 발견할 수 있는 것처럼 ’고정관념 따위는 쓰레기통에나 처박아라’ 라고 외치는 조선희의 말처럼, 사진은 이렇게 찍어야 한다는 법칙에 우선하지 말고, 사진을 찍는 행위 차체를 즐거워할 줄 아는 마음부터 갖는 것이 우선일 듯 싶다.
이 밖에도 조선희는 이렇게 찍는다, 나만의 사진을 얻는 법,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인물 사진을 통해서 조선희는 자신이 갖고 있는 노하우를 조목조목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조선희는 플래시는 쓰지 말고, 되도록이면 존재하는 빛을 사용하기를 권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진이 흔들리지 않도록 카메라를 잡는 법부터 연습해야 한다고 말한다. 자동 플래시는 강하게 터져 피사체만 선명하게 나오고 주변 분위기는 어둡게 묻혀 버리므로, 슬로 셔터 플래시를 이용하여 주변의 약한 빛을 받아들이면서 피사체에 보조광을 주어 주변 분위기도 함께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권하고 있다. 사진을 통해서 그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 느낌이 확연하게 틀림을 알 수 있다.
<조선희 식으로 연습하기>는 4가지 방법을 통해 알려주는 부분으로 그녀가 직접 경험을 통해서 얻은 노하우를 전수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에게 흥미로운 부분이 될 거라 생각된다.
사진찍기 초보자인 나에게 그녀는 많은 부분을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줌 기능’에 대한 그녀의 조언이 크게 와 닿았다.
보통 똑딱이 카메라에는 줌 기능이 있기 마련이다. 그리고 카메라 회사에서는 무슨 대단한 기능인 것처럼 그것을 강조하고 사람들은 아무 생각 없이 그 기능을 사용한다. 편리를 위해 장착한 기능이겠지만, 그것이 사진을 시작하는 많은 사람들의 시각을, 사진의 질을, 능력을 갉아먹는다. 이 쓰레기 같은 기능을 다장 기억에서 지워 버려라. (본문 中)
그녀는 피사체에 한발자국 더 가까이 다가가라고 권하고 있는데, 줌 기능은 사실 내가 많이 쓰는 기능으로, 줌 기능을 쓴 후에 잘 나오지 않은 사진을 보면서 늘 실망하는 부분이기 때문인지 크게 와 닿았다. 누구나 알아주는 포토그래퍼 조선희에게 직접 드는 사진 강좌는 사진 찍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궁금증을 자아낼 만한 내용이다. 더군다나 자신의 경험을 통해서 얻은 많은 지식들을 모두 전달하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또한 그녀의 개성 뚜렷하고, 멋진 사진들과 잘생긴 연예인들의 사진들을 감상할 수 있어 그 또한 즐거운 시간이었다.
사진은 감정이다. 머리로 되지 않으면 심장을 뛰게 하라. 계산하지 말고 일단 몸으로 부딪쳐 보란 거다. 의도니 구도니 뭐니 다 집어치워라. 일단 셔터 소리에 맞춰 춤을 춰라. (본문 中)
(사진출처: ’네 멋대로 찍어라’ 본문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