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수아비춤
조정래 지음 / 문학의문학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그동안 보여주었던 작품 <태백산맥><아리랑> 등 대하소설에 대한 부담감때문인지, 선뜻 이 책을 읽지 못하고 있었다. 사실 경제, 정치 등 사회적인 분야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았기에, 쉽고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이 아니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어서인지 작년 말 많은 잇슈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손이 가지 않았고, 더군다나 이 작품을 쓰는 내내 우울했다는 작가의 말도 한 몫했다. 조정래 작가에게서 풍기는 느낌이(연륜에서 오는 고지식함?), 이 책은 지루하고 재미없을 거라고 나는 섣부른 평가를 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우연치 않게 작가를 직접 만나는 기회가 생겼고, 그동안 내가 작가에게 가지고 있었던 선입견과는 전혀 다르게 유쾌하시고, 전혀 고지식하지 않은 작가를 뵙고 나니, 제일 먼저 든 생각은 서둘러 이 책을 읽어봐야겠다는 것이였다.
결론을 말하자면, 대작을 쓴 작가의 글답게 구성이나 짜임이 좋았다는 것이고, 우리나라가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룬 경제성장에 있어 투명하지 못한 비리들과 정치와 법,언론과도 얽혀있는 온갖 추악한 모습을 그려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책읽기가 어렵거나 힘들지 않았다는 점이다. 

<<허수아비춤>>이란 제목은 과연 어떤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일까?에 대한 궁금증이 가장 컸다. 책을 읽으면서 하나의 장면이 떠오른다. 상점을 오픈하면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기 위해서 춤을 추어대는 풍선 인형의 모습이었다. 돈 앞에서 꼭두각시 놀음을 하는 ’문화개척센터’의 세 인물이 마치 그 풍선인형같은 느낌이었고, ’허수아비춤’은 돈 앞에서 쩔쩔매고 있는 온갖 비리의 주범들과 그와 적절하게 타협하고 있는 우리들의 모습을 빗대고 있는 말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일류의 태봉그룹과 달리 이류 그룹인 일광그룹은 세상 관리 조직의 허술함을 보완하기 위해서 스카웃을 시도한다. 태봉그룹에 다니던 박재우를 스카웃에 성공하자, 윤성훈을 필두로 박재우, 강기준의 세 명은 ’문화개척센터’라는 부서명을 내걸고 일광그룹의 아들 상속 문제를 스무스하게 해결하기 위한 일을 시작한다.
뉴스를 접하다보면, 우리는 심심치 않게 대기업과 정치적으로 얽혀있는 석연치않는 비리들을 접하게 된다. ’억’이 오가는 정치자금과 뇌물수수 등 뉴스 속의 이야기는 가히 현실적이지 못한 느낌이 들 정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기업과 정치적인 비리는 끊임없이 지속되어지고 있고 이는 우리나라의 빠른 경제적 성장 속에서 생겨난 오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적인 성장을 통해서 풍요와 돈의 맛을 알게 된 부유층 사람들은 귀신도 부릴 수 있으며, 처녀 불알도 살 수 있다는 돈의 힘 앞에서 허수아비춤을 추고 있는 셈이다. 이 책은 그렇게 돈의 힘에 굴복하여 잘못된 자본주의의 오류를 일광그룹과 윤성훈, 박재우 그리고 강기준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대기업의 오류는 50년의 경제발전을 통해서 꾸준히 지속되고 있지만, 늘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한 공로와 국민경제에 더 이상 부담을 주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라는 허울 좋은 명분을 앞세워 40여 년의 전통을 자랑하고 있으며, 그 생명력을 과시해 오고 있다.
그것이 단지 대기업과 정치적인 교류를 통해서만 이어올 수 있었던 것일까?

세상 사람들이 그 반복 행위를 지겨워하지도 않고, 신물 내지도 않고, 의심하지도 않고 그대로 믿어 주고 따라 주었기 때문이다. 그렇지, 큰 기업이 잘돼야 우리도 잘살게 되지. 대중들은 이렇게 동의하고 동조하면서 재벌들이 저지르는 죄를 가볍게 여겼고, 그들이 받는 사법적 특혜에도 지극히 관대했다. 국민경제를 위하여...........그 기업 옹호론과 재벌 보호론의 주문은 그 효력 좋고 생명력 강대하기가, 우리를 믿어야만 재물운이 트이고 건강하게 오래 산다는 그 한마디로 2천 년이 넘도록 줄기차게 배부른 번성을 누려온 종교들의 질긴 생명력과 맞먹었다. (본문 64,65p)

뉴스를 통해서 우리는 대기업과 정치, 법,언론에서 일어나고 있는 비리에 대해 대부분 알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의 일은 현실과는 동떨어진 일처럼 묵인하고 넘어가는 것이 일상이다. 그러기에 이 40년의 전통이 꾸준히 이어오고 있는 것이 아닌가? 쓴소리에 대학교수를 연임하지 못하게 된 허민과 대기업의 비리를 파헤쳐야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한 마디에 검사직을 물러나야 했던 전인욱 변호사는 비리에 맞서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서 여론을 모으게 되지만, 그들의 모습이 계란으로 바위치기라는 것을 모르는 바도 아니다. 

저자는 이 땅의 모든 기업들이 한 점 부끄러움 업싱 투명경영을 하고, 그에 따른 세금을 양심적으로 내고, 그리하여 소비자로서 기업을 키워 온 우리 모두에게 그 혜택이 고루 퍼지고, 특특한 복지 사회가 구축되어 우리나라가 사람이 진정 사람답게 사는 세상이 되는  ’경제민주화’를 이루기 위해서 이 책을 썼다고 말했다. 
저자는 책 속에서 유한양행의 유일한 사장과 빌 게이츠의 이야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노조’’분배’’사회 환원’이라는 말에도 치가 떨리는 기업인들의 모습이 왠지 더 현실감 느껴지는 것은 그동안 우리에게 익숙한 기업인들의 모습이 그래왔기 때문일 것이다. 

"어느 인류문화사가가 말했습니다. 장구한 인류사에서 가장 강한 권력은 돈이었다." (본문 72p)

우리나라의 빠른 경제성장은 20세기의 기적 중의 하나라고 한다. 그러나 돈의 힘 앞에서 허수아비춤을 추고 있는 경제성장의 주축을 이루어냈다는 대기업들의 진상을 보고 있자면, 이 기적이라는 표현에 씁쓸함을 느끼게 된다. 
씁쓸하지만 이것이 바로 우리의 현실이며, 나 또한 동조하고 있는 사실임에 틀림이 없다. 경제민주화는 꼭 이루어져야 한다는 저자의 글에 백배 공감하면서도, 쉽게 이루어지지 않을 부분이라는 것 또한 나는 이미 인정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싶다.
저자는 공공연한 대기업의 비리를 통해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비꼬고 있을 뿐 아니라, 이런 사실에 동조하고 있는 우리 국민들 모두에게 일침을 가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민주화는 대기업 스스로가 만들어낼 수 있는 부분이 결코 아니다. 허민과 전인욱과 같은 인물들이 있어야 하고, 우리가 바로 그런 인물들이 되어야 가능한 일인 것이다.

씁쓸한 이야기지만, 그 허탈함만을 가지고 책을 덮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저자는 이들의 실상을 낱낱이 공개함으로써 우리 스스로에게 대책을 강구하도록 하고 있다. 결국 나라의 주인이 바로 ’나’라는 의식, 그리고 나 역시도 경제성장에 한 몫을 하고 있다는 주인의식이 있을 때 경제민주화는 조금씩 앞당겨지는 것이 아닐까.
바람빠진 풍선 인형이 힘겨운 춤사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이 내 모습과 다를 바 없다는 생각에 순간 긴장을 하게 된다. 나 역시 돈의 힘 앞에서는 나약한 풍선 인형이므로. 저자의 힘있는 필체가 그들의 춤사위에 함께 동조하고 있는 바람빠진 풍선인형인 나를 향해 있는 것만 같다. 나도 함께 춤을 추고 있었던 것일까?

"돈 앞에서 인간이란 허약하기 짝이 없는 군상이지요. 고깃덩어리를 본 굶주린 하이에나 뗄라고 해야 할 겁니다." (본문 367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