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옹, 고양이 놀이 네버랜드 아기 그림책 116
에즈라 잭 키츠 지음, 공경희 옮김 / 시공주니어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다르기 때문에 선입견을 가지고, 나와 다른 사람들을 밀어내려고 합니다. 다르다고 해서 나쁜 것을 결코 아님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편견이 우리는 흑과 백으로 나누어 으르렁거리기도 합니다.
어쩌면 다르기 때문에 서로의 장점을 본받고, 서로를 도우며 상호 보완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사람마다 다른 개성을 가지고 있고,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기에 다르다고 해서 다른 눈으로 볼 것이 아니라, 나와 다른 상대방의 능력과 개성을 인정할 줄 알아야 합니다. 
<야옹, 고양이놀이>에 나오는 강아지와 고양이처럼 말입니다.

흔히 고양이와 강아지는 원수지간이라고 합니다. 어쩌면 전래동화로 인해서 우리는 고양이와 강아지가 사이가 좋지 않다는 편견을 가지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귀여운 고양이 4마리가 어울려 놀고 있을 때, 강아지가 다가옵니다. 고양이 무리에 끼어서 함께 어울리기 위해 강아지는 다가서죠.

너도 고양이니?
어.........그럴걸.
그럼 우리랑 놀자!

 

그렇고 강아지는 고양이들과 어울려 놀게 되었어요. 고양이처럼 우유를 핥아먹고, 고양이처럼 앞발로 얼굴을 닦고, 고양이처럼 울부짖고, 고양이처럼 풀쩍 뛰어넘고, 고양이처럼 쥐를 쫓습니다. 물론 고양이가 아닌 강아지는 고양이처럼 할 수 없었어요.
강아지는 엄마와 함께 집에 돌아갈 시간이 되었고, 강아지는 손을 흔들며 말합니다.

다음에는 다 같이 강아지 놀이 하자!

 

고양이들도 강아지에게 손을 흔들어줍니다. 이제 그들은 친구가 된 거예요. 강아지는 고양이를 따라하면서 자신과 다른 고양이를 이해하게 되었을 거예요. 다음에 만나서 강아지 놀이를 할 때는 고양이는 자신들과 다른 강아지를 이해하게 되겠죠?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고, 다른 능력과 성격을 가졌지만 서로 친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야옹, 고양이놀이>>에서 귀여운 강아지와 고양이들은 보여주고 있습니다.
고양이면 같이 놀자고 했던 고양이들은 자신과 다른 행동을 하는 강아지가 의아했지만, 친구가 되었어요.



이 그림책은 우리 아이들에게 서로 다름을 이해할 줄 알고, 나와 다른 이들과 친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문화 국가가 되어가고, 다문화 가정이 늘어나고 있는 요즘 우리 아이들에게 다름에 대한 이해는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네버랜드 마음이 자라는 성장 그림책>> 시리즈 중 17번 째 <<내 친구는 얼굴색이 달라요>>와 함께 읽으면 좋을 거 같아요.


(사진출처: ’야옹, 고양이놀이’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