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가슴에 해마가 산다 ㅣ 보름달문고 23
김려령 지음, 노석미 그림 / 문학동네 / 2007년 10월
평점 :
예전에 비해서 입양에 대한 사람들의 시선이 많이 달라졌다. 입양아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 뿐만 아니라, 입양을 하는 방법도 많이 변한 듯 하다. 입양아 당사자에게 조차 비밀이였던 입양이 이제는 공개입양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차인표 신애라 부부, 배우 윤석화 등 공개입양을 사람들에게 입양 사실을 떳떳하게 공개하고 있다.
그만큼 우리나라의 입양 문화가 많이 달라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으리라.
그러나 아직도 우리의 시선을 곱지많은 않다.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에서는 그들에게 우리와 다른 무언가를 찾아내려는 눈빛이 포함되고 있다. 아마 그들도 마찬가지일 거라는 생각이 든다. 다른 이들과 다를 바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더 애쓰고, 더 감추려 할지 모른다.
<내 가슴에 해마가 산다>는 공개 입양을 통해서 입양된 하늘이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어린이문학으로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그만큼 구성이 탄탄하고, 이야기 속에 느껴지는 진정성 때문에 잔잔한 감동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기억해야 할 점은 이 책은 입양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가족’ ’부모와 자녀’ 사이에서 겪고 있는 서로 채워지지 않는 빈 공간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늘이는 선천성 심장병 때문에 태어나고 얼마 후 수술을 받았고, 가슴에 남은 수술자국이 해마를 닮아있어 하늘이는 자신이 해마를 품고 산다고 생각한다. 공개입양아인 하늘이가 싫어하는 말은 가슴으로 낳았다는 말이다.
하늘이는 정신과 의사인 엄마, 치과 의사인 아빠 그리고 중풍으로 쓰러져 얼마 전부터 함께 살게 된 할머니와 함께 산다.
연예인처럼 텔레비전에 나오고 사람들의 시선을 한 몸에 받는 엄마, 남들의 눈에 좋은 엄마로 보이려는 엄마때문에 하늘이는 힘들고 지친다. ’공개입양아 하늘’이라는 명칭이 하늘이를 숨막히게 한다는 것을 엄마는 이해하지 못하는 듯 하다.
그런 하늘이는 종이 모형 집을 만들면서 혼자만의 시간을 갖는다. 하늘이가 살고 싶은 집을 만들면서 답답함을 풀어낸다,
"집을 만들었어야? 허이고, 니나 나나, 이 집이 불편허기는 매한가지가 보다. 멀쩡허게 큰 집 놔두고 쫀깐한 집 만드는 거 보니께." (본문 90p)
엄마에게는 자신의 마음을 털어놓지 못하는 하늘이는 유독 할머니에게는 투닥투닥 말을 잘 한다. 할머니도 며느리에게는 하지 못하는 말을 하늘이에게는 잘도 한다. 엄마의 눈에 보이지 않는 하늘이의 빈 공간이 할머니 눈에는 보이는가 보다.
어떤 영화이든, 책이든 늘 가족의 빈 공간을 채워주고 연결고리를 만들어주는 것은 ’할머니’이다. 삶을 통해서 얻은 경륜이 그렇게 부모의 눈에도 보이지 않는 채워지지 않는 빈 공간을 느낄 수 있는 것이가 보다.
"니 몫이 있고, 에미 몫이 있어야. 친엄마는 뻐꾸기마냥 넘의 둥지에 새끼 놔두고 없어지고, 양엄마는 해마마냥 애비헌티 척 앵겨 주고 나몰라라 허니, 하느링 쟈가, 뻐꾸기 새끼여, 해마 새끼여?"
해마: 암컷과 수컷이 짝짓기를 하면, 암컷은 수컷의 육아낭에 알을 낳는다. 이 알을 수컷은 새끼가 될 때까지 품고 다닌다. 알이 부화되면서 수컷의 몸에서 새끼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본문 93p)
아빠를 바라보는 할머니의 사랑은 몸에서 나오는 따뜻한 무언가가 있는 듯 한데, 하늘이는 한번도 엄마에게 그런 느낌을 받아본 적이 없는 것 같아 슬프기만 하다. 더욱이 자신을 애완용 아이 취급하는 듯한 세상의 편견에 하늘이는 가슴이 먹먹하다.
그런 하늘이는 엄마를 닮아가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고, 엄마와의 다툼으로 소통의 물꼬를 튼다.
자신이 하늘이의 엄마라는 것을 확인하고 싶은 엄마의 마음을 나는 이해한다. 온전한 내 것이 아닌 거 같은 불안감이 엄마에게는 있었으리라. 그런 엄마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도 다름 아닌 할머니이다.
이 책의 이야기를 이끌어주고, 하늘이와 엄마를 이끌어주는 것은 며느리를 못마땅해하고, 하늘이를 구박하는 할머니였다.
할머니는 바로 ’사랑’이 가지고 있는 따스함을 알려주는 존재라고 할 수 있으리라.
입양을 하는 가족 그리고 입양가족을 바라보는 우리 시선은 아직도 선진화되지 않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따가운 시선으로 인해서, 하늘이의 엄마는 사람들에게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만 했을 것이고, 하늘이는 그런 갑갑함에 숨이 막혔던 것일 테니 말이다.
"..사람들 인식이라는 게 워낙 단단하게 고정돼서 쉽게 바뀌지 않을 거예요. 우리나라처럼 혈연을 강하게 따지는 나라도 드무니까요. 친자식이라는 말이 살아있는 한, 배 아파서 낳은 자식과 가슴으로 낳은 자식의 경계는 무너지기 힘들 거예요." (본문 87p)
입양에 대한 우리의 선입견, 그들의 마음을 엿볼 수 있는 책이라고 단정짓는 것으로 이 책을 평가하기는 참 어렵다. 입양이라는 골자 외에도 가족간의 소통 부재에 대해서도 함께 생각해 봐야할 부분이다. 하늘이가 가슴에 묻고 있었던 그 답답함을 이야기해 주었다면 혹은 엄마가 세상 사람들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가족의 의미에 대해서 하늘이에게 이야기해 주었다면 그들은 좀더 행복하지 않았을까? 소통은 이들 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을 얽어주는 가장 좋은 매개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깨닫는다.
친부모라는 말도, 입양이라는 말도 없는 곳에서 살고 싶은 하늘이의 마음은 지금 우리 사회에서 사람들의 고정된 선입견으로 힘겨워하는 입양아 가족 모두의 마음일게다.
(사진출처: ’내 가슴에 해마가 산다’ 본문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