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이순원 지음 / 뿔(웅진)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가을이 되면 담장 너머로 감나무, 대추나무 등의 가지가 뻗어지고 가지마다 열매를 맺은 나무를 보면 그 집에서 왠지 모를 여유와 풍성함을 느끼게 된다. 어쩌면 이런 부러움때문에 마당 있는 집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한치의 여유도 없이 쭉 늘어선 건물들 속에서 꽂꽂하게 서있는 나무의 풍채는 바삐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 속에서 쉴 수 있는 마음의 여유를 주는 듯 하다.
나무를 사랑한다. 내게 마음의 여유를 주고, 숨을 쉬게하는 나무를 사랑한다. 

연륜이라는 것은 삶을 살아오면서 경험을 통해 지혜를 쌓아가는 것을 말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간혹 어른들의 이야기를 잔소리로 치부하기도 하고, 지금은 불필요한 구닥다리 시절의 살아가는 방법이라 생각하며 흘려듣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그 분들이 살아오면서 실패와 성공을 거듭하면서 깨닫고 쌓아온 연륜은 어떤 좋은 전공서적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삶의 지혜가 녹아져있다.
이순원의 <<나무>>는 할아버지 나무가 손자나무인 작은 나무에게 들려주는 삶의 지혜가 있다.
할아버지 나무가 백여년을 살아오면서 다른 나무들을 바라보고, 바람과 비, 눈과 태풍에 맞서면서 깨달았던 지혜를 손자 나무에게 들려주고 있다.
할아버지 나무가 손자 나무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는 비단 좋은 나무로 성장하기 위한 지혜만은 아니였다. 나무들의 삶은 우리 사람들의 삶과 닮아 있었고, 우리 선조들이 삶을 살아오면서 깨달았던 연륜과 지혜와 맞물려져 우리들에게 들려주고 있는 듯 했다.

힘이 없어 나라를 빼앗기고 모두 먹고살기 힘들었던 시절, 열 세살에 결혼한 어린 신랑은 산에서 자란 밤을 일곱 말을 주웠다. 밤값이 쌀값을 웃돌았던 시절이기에, 어린 신부를 밤을 팔아 쌀을 살 생각에 들떴지만, 어린 신랑은 벌레 먹거나 알이 자잘한 것 두 말을 따로 골라 식량과 바꾸었고, 나머지 다섯 말은 부엌 바닥에 묻어두었다.
식량이 부족한 채로 겨울을 지내면서도 부엌 바닥에 묻어 놓은 밤은 건드리지 않았다.
이윽고 봄이 되어, 부엌 바닥에 묻어 놓은 밤을 꺼내 신랑은 어린 신부와 함께 산에 밤을 묻었다.
귀한 양식을 끼니도 제대로 챙겨 먹지 못하면서 밤을 산에 묻은 어린 부부를 보면서 사람들은 손가락질을 했지만, 몇 해가 지나 싹이 트고 밤이 열리면서 그제서야 사람들은 어린 신랑을 놀렸던 자신들을 부끄러워했다.
할아버지 나무는 그 다섯 말의 밤 중에 홀로 바닥에 흘려졌던 밤을 신랑이 신부에게 선물로 준 밤이였고, 신부는 부엌 바깥에 심어져 어린 부부와 함께 나이를 먹게 되었고 어린 신랑과 함께 나이를 먹어가면서 할아버지나무는 할아버지가 된 어린 신랑과 친구가 되었다.

7살이 된 작은 나무는 많은 열매를 맺고 싶었고, 태풍에도 맞서고 싶어한다. 좋은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열매를 떨어뜨려야 할 줄도 알아야 하며, 태풍에 맞서기보다는 가지를 굽혀야 하는 법도 알아야한다는 것을 할아버지 나무는 지혜와 경험을 통해서 작은 나무에게 알려 준다. 작은 나무는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통해서 그리고 함께하는 자두나무, 대추나무, 수선화, 냉이 등을 통해서 살아가는 법을 배워간다. 

"아무리 배가 고파도 밤 한 톨을 화로에 묻는 것과 땅에 묻는 것의 차이라고 말이지. 화로에 묻으면 당장 어느 한 사람의 입이 즐겁고 말겠지만, 땅에 묻으면 거기에서 나중에 일 년 열두 달 화로에 묻을 밤이 나오는 것이라고." (본문 34p)

"한 해를 살다 가는 풀이라면 당연히 꽃과 열매에 욕심을 내야지. 하지만 우리 나무는 백 년도 살고 천년도 사는 몸들이란다. 오래 살며 열매를 맺자면 우선 제 몸부터 튼튼하게 만들어야겠지. 네 몸이 어느 정도 자랄 때까지는 꽃보다는 줄기와 잎에 더 힘을 서야 하는 게야." (본문 114p)

"그때 제가 비가 온 다음엔 꽃을 피우고 싶지 않다고 했는데도 할아버지가 끝까지 피우라고 하셨잖아요."
"이미 네가 정해 놓은 것을 안  피운단 말이냐? 그건 한번 정하면 물릴 수 없는 세상과의 약속이고 네 몸과의 약속인걸."

"한 번의 실수는 오히려 좋은 경험이 되지. 앞으로 네 키가 저기 산수유나무만큼 자랄 때까지는 꽃 욕심을 줄이렴."
(본문 114,115p)

할아버지 나무의 이야기는 사람의 삶이 가치있게 그리고 후회없는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나무의 삶 그리고 인간의 삶은 오랜 세월동안 노력을 통해서 알이 꽉찬 열매를 맺는 일생과 닮아있다. 
’아낌없이 주는 나무’ 라는 동화가 있다. 소년에게 한 없는 베품을 주었던 나무의 모습을 이순원의 <나무>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사람과 친구가 되었던 할아버지 나무, 자신을 탄생시키고 자신을 돌봐주었던 어린 신랑에 대한 애정과 그리움이 묻어난다.
지금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를 보고 있다. 사람과 함께하고, 사람과 친구하고 싶어하는 그들의 소리가 들리는 듯 하다. 우리 집에는 나무를 심을 수 있는 터가 없다. 훗날 작은 터가 있는 집으로 이사를 가게 된다면, 내 자손들을 위한 나무를 심어보고 싶다.
나무가 잎과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과정을 통해서 나무가 알려주는 삶의 지혜를 터득할 수 있지 않을까?
그저 무심히 보고 지나쳤던 나무들을 책을 통해 알게되면서 나무의 또다른 면을 보게 되었다.

이제 나무는 계절에 맞추어 잎의 색을 바꾸고, 내년을 위한 준비에 들어갈 것이며, 좋은 열매가 맺을 수 있도록 몸의 기운을 힘껏 쏟고 있을 것이다. 한 해를 내다보며 준비하는 나무들의 모습이 우리 사람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이제사 알게 되었고, 이것으로 내가 나무를 사랑하는 또 하나의 이유가 생기게 되었다. 나는 나무를 사랑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